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1. 지능 높은 로봇비행기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꿈을 가지고 있다. 무인기를 평화적으로 활용하는 좋은 사례 중의 하나다. 한편 맥기어
박사
는 그대로 인시투 그룹 사(Insitu Group)에 남아 에어로존데보다 훨씬 뛰어난 후속 기종인 ‘시 스캔’(Sea Scan)을 개발해 기상관측뿐만 아니라 어군탐지나 해안경비 등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홍보하고 있다 ... ...
1. 과학적 안목 가진 지도자가 세계 이끈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지지에 동의를 표시하면서 대세는 천수이볜 후보 쪽으로 확연히 기울어졌다.리위안저
박사
는 과연 어떤 과학자이기에 그의 지지가 선거에서 돌풍을 일으킬 수 있었을까. 그는 1986년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중국인으로서는 4번째, 대만에서는 처음으로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다. 그가 대만국민에게서 ... ...
돌고래 대화 엿듣는 잔점박이물범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보이지 않았던 잔점박이물범은 포유동물을 먹는 범고래의 소리에는 즉시 도망쳤다. 데케
박사
는 “잔점박이물범은 꽤 영리한 작은 동물”이라면서 “잔점박이물범이 범고래들끼리의 대화를 엿듣고 어떻게 행동할지를 결정한다”고 말했다.한편 잔점박이물범은 자신에게 전혀 해를 주지 않는 ... ...
요인암살용으로 변신한 무인기 프레데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890~1972 미국의 전자공학자·물리학자 그로브시티 칼리지를 졸업하고 1923년 예일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양극과 음극 사이에 그리드를 하나 또는 둘 가진 열음극방전관(熱陰極放電管 ; 음극을 가열하여 열전자방출을 이용하는 방전관) 그리드 제어 방전관(制御放電管)으로 분류되나 ... ...
올 겨울 슈퍼 독감 상륙 경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슈퍼 독감’은 지난해 ‘사이언스’에 발표된 미 위스콘신 매디슨 대의 카와오카
박사
의 연구에 근거한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독감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약간의 변화만으로도 엄청난 살상력을 갖는 변종으로 변할 수 있다. 또한 유럽의 보건 과학자들은 유전적 변이를 통한 바이러스의 ... ...
뇌의 '신호전달 접속장치'가 고장날 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법률가로 사르데냐 왕국의 요직에 있었다 아보가드로도 법률교육을 받아 1796년에 교회법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법률 실무에 종사하면서 독학으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하여 전기 등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그 결과 l806년 토리노 대학의 조교수로 채용되고 09년에는 토리노에 가까운 베르첼리의 ... ...
물과 햇빛만으로 꿈의 에너지 개발 광촉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이웃의 수소이온과 만나 수소분자(H₂)를 이룬다.광촉매로는 혼다와 후지시마
박사
가 발견한 이산화티타늄이 가장 많이 쓰인다. 이산화티나튬은 빛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활성도 좋기 때문이다. 하지만 치명적 단점이 있다. 광촉매가 활성을 나타내려면 빛에너지를 받아 전자와 정공이 만들어져야 ... ...
수능 실력 진단해줄 도우미 수학 모델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연구수준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연구실에는 현재 김성호 교수를 중심으로
박사
과정 2명과 석사과정 5명이 있다.수많은 데이터와 골치 아픈 통계기법을 밤새며 연구하는 고달픈 과정이지만, 이들 마음속에는 19세기 영국 과학자 프랜시스 갈톤의 다음과 같은 말이 있기에 오늘도 컴퓨터 전원 ... ...
2. 한국인 맞춤의학 실현하는 SNP분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시대가 국내에서도 시작됐다고 평가할 수 있다.한편 국립보건원 유전체연구소의 김규찬
박사
팀은 한국인 수백명의 특정 부위 염기서열을 모두 결정해 한국인 특이의 SNP를 발굴하고 각 염색체의 일배체형을 결정하는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생명공학벤처회사인 마크로젠은 동북아시아 국가들과 ... ...
1. '노벨상 후보감' 쇤
박사
의 논문 날조 충격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국내에는 아직 과학자의 행동을 규제할만한 이렇다 할 제도나 규정이 없다. 송성수
박사
는 “우리도 이제 과학의 발전만 외칠 것이 아니라, 올바른 과학 우리 모두를 위한 과학을 위해 과학자의 행동을 규제할 적당한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다. 국내에도 하루 속히 과학자의 윤리를 강화할 ... ...
이전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