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IRT5를 이루는 미생물 5종은 모두 사람의 대변에서 분리한 유산균입니다. 다른 유산균이나 이들을 단독으로 쓸 때보다 5종을 조합할 경우 면역조절능력이 가장 탁월했습니다.”지난 4월 13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대한면역학회 춘계 학술대회에서 면역학자인 광주과기원(GIST) 생명과학부 임신혁 ... ...
- x-ray 숨은 그림을 찾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한가한 아침, 평소처럼 30분 일찍 출근한 아무개 씨는 독일의 대표적인 신문인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인’을 펼치고 앉았다. 신문을 다 읽은 다음 그는 ... 붙잡고 있는 중절모를 쓴 노인, 이번 역에서 내리려고 미리 계단에 내려 서 있는 사람…. 모두 프리다가 연기한 뒤 포토샵으로 합쳤다 ...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동반한다. 이 전자기장은 핵융합 연료인 중수소와 삼중수소에서 전자를 떼어낸 뒤 모두 양이온으로 만든다.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려면 높은 압력으로 고밀도 상태를 만들어야하는데 같은 극끼리는 밀어내는 척력이 발생해 고밀도 상태가 되기 어렵다.하지만 1996년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 ... ...
- 중성미자 대결, 중국과 무승부?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전인 지난해 12월부터 서둘러 실험을 시작해 결과를 얻었다. 현재는 두 연구팀의 논문이 모두 투고된 상태로 아직 학술지에서 승인을 받아 출판된 것은 아니다.그렇다면 레노 연구팀은 업적을 인정받을 수 있을까. 비록 레노의 발표가 3주 정도 늦었지만, 가능할 듯하다. 연구팀은 “지난 5년간 진척 ... ...
- 피망vs파프리카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피망과 파프리카를 구분 없이 ‘스위트 페퍼(Sweet Pepper)’라고 불러요. 피망과 파프리카 모두 단맛이 나기 때문에 달콤한 고추라고 이름을 붙였지요.대부분 피망과 파프리카는 고추 중에서도 카프시쿰 아눔이라는 종을 개량해 만들어요. 매운맛을 내는 성분인 캡사이신을 만드는 유전자가 없기 ...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학년이 됐는데, 친한 친구 둘이 모두 떠났어. 한 명은 전학 가고, 한 명은 다른 반이 됐지. 코봇이나 찌빠 같은 로봇 친구가 있다면 떠나지 않고 항상 내 곁에서 도와 주고, 나쁜 애들도 혼내 주는 친구가 될 텐데. 그런 로봇을 만들 수 없을까? 그래, 나누리 박사에게 부탁해 보자.“나누리 박사님 도와 ... ...
- 만났노라, 웃겼노라, 사귀었노라!!!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숨긴 채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고 재미있는 정도를 점수로 매기게 했습니다. 그 결과 남녀 모두 남자가 쓴 캡션이 더 재미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여자보다는 남자가 더 남자의 캡션을 재미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남자끼리 유머 코드가 더 잘 맞나 봅니다.두 번째 실험에서는 앞서 매긴 점수에 따라 ...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수학동아 l2012년 05호
- 성질을 정확하게 파악하자!뫼비우스의 띠나, 타원, 뢸로 삼각형을 활용한 발명품은 모두 그 도형의 정의와 성질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은 것이다. 기하학적인 아이디어를 활용한 발명품을 만들려면, 도형의 정의와 성질을 정확하게 알아 두자!➋ 서로 모양이 다르더라도 성질은 변하지 않는 구조나, ... ...
- 배려의 리더십으로 대학까지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읽고 친구들과 과학 토론도 하는 것이 정말 재밌었다.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에 모두 흥미있었다. 성적도 고르게 잘 나오는 편이었다. 그런데 왜 생명과학을 택했을까. “인간 생명에 도움이 되는 걸 하고 싶었어요. 처음엔 과학자는 그저 자기만족을 위해 연구하는 직업이라고 생각해서 매력이 ...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속도를 내는 경주용 보트는 선체 2개를 나란히 붙인 쌍동선 구조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경주용이지 여객용이나 화물용은 아니다.시속 수백km(200~600km)를 거뜬히 낼 수 있는 위그선도 있다. 선박 형태에 날개를 달아 수면과의 양력을 높여 마치 물 위를 떠서 간다. 이런 원리를 지면효과라고 한다. ... ...
이전5665675685695705715725735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