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핏줄
혈맥
피쭐
핏줄기
d라이브러리
"
혈관
"(으)로 총 1,20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테로이드 약물로 ‘광명’ 되찾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폐쇄증은 당뇨병을 앓는 사람에게 흔히 나타난다. 망막에서 가지처럼 뻗어나간 주변
혈관
이 막히는 '망막 분지 정맥 폐쇄증'과달리 그동안 뚜렷한 치료법이 없었다. 망막 분지 정맥 폐쇄증에는 레이저 시술법이 쓰인다.연구진은 망막 중심 정맥 폐쇄증 환저 271명을 대상으로 92명에게는 안구에 ... ...
우리 몸속의 민들레 꽃밭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찍은 사진이다. 심장처럼 보이는 부분은 세포의 핵이며 그 주변을 둘러싼
혈관
처럼 보이는 부분은 세포 골격을 구성하는 미세소관(microtubule)이다. 배율 600배.옥수수의 교훈바이오과학상·고등부 | 이승경·대전과학고옥수수처럼 보이지만 작은명주실이끼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찍은 ... ...
1. 생활 속 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착용했을 때 몸이 받는 압력은 다음과 같다. 이 크기의 압력이면 안전띠 주변의 피부
혈관
을 터뜨려 멍이 들 수 있지만, 비록 멍이 들더라도 더 큰 부상을 막을 수 있기에 안전띠는 생명띠라는 별명을 얻게 됐다.물론 안전띠의 폭을 넓게 만들면 더욱 안전할 수 있다. 경주용 차에 쓰이는 안전띠는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관련학술지 ‘진 테라피(Gene Therapy)’ 8월호에 발표했다. 루게릭병에 걸린 쥐의 척수에 ‘
혈관
신생인자(VEGF)’ 유전자를 넣은 인간 신경 줄기세포를 이식한 결과 루게릭병 발병시기가 7일간 늦어졌고 운동기능이 호전돼 대조군보다 생명이 12일간 연장됐다.그러나 줄기세포로 루게릭병을 완전히 ... ...
사춘기 여드름보다 독한 성인 여드름 퇴치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없다는 말은 아니다. 전문가들은 “피부과에서는 여드름 흉터를 빨리 없애기 위해 모세
혈관
을 파괴하거나 피부 재생을 촉진시키는 치료를 하는데, 사춘기 여드름과 달리 성인 여드름은 진행 속도가 느리고 진행 기간도 긴데다가 흉터가 사라지는 시간은 6개월~1년 정도로 오래 걸리기 때문”이라고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얘기다. 또 몸속에 염증 같은 면역반응이 생기면
혈관
을 싸고 있는 내피세포가 손상돼
혈관
에 있던 혈액응고 촉진물질이 나와 혈액을 딱딱하게 굳혀 혈전을 만든다. 전문가들은 장기를 이식하면 이와 비슷한 이유 탓에 혈전이 생기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임상시험 규제 필요” 국제사회 한 ... ...
노벨상 수상자가 말하는 과학의 가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여러 개 파놓고 그 안을 헤집으며 다닌다. 암세포가 옆 조직으로 파고들어 가는 모습이나
혈관
을 타고 먼 조직까지 헤집고 다니며 암을 전이시키는 현상은 게와 많이 닮았다.교과서로 배우는 생물학이 지루하거나 신문의 의학과 과학기사를 더 잘 이해하고 싶은 독자라면 눈길이 갈 만한 책이다.글 ... ...
도시의 전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이 3/4에 대해서 3차원 입체인 생명체의 부피와 표면적 비율이나, 체내에서 필요한 각종
혈관
의 분포 차이 등으로 설명을 시도하는 학자들이 있다.한상근 교수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9년 KAIST에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암호학, 정보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1992년 ... ...
나노 세계 들여다보는 차세대 X선현미경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넣지 않고도
혈관
을 선명히 촬영할 수 있다. 2004년 연구단은 세계 최초로 쥐의 미세
혈관
을 조영제 없이 촬영하는 데 성공해 ‘국제의학생물물리학회지’에 발표했다. 그해 이 논문은 가장 많이 내려 받은 논문과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선정됐다.연구단은 X선현미경으로 금속을 전기도금하는 과정도 ... ...
[의학] 피부염서 나온 독성물질, 천식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의대 라파엘 코판 교수팀은 피부염에서 생성된 ‘TSLP’라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혈관
을 타고 돌아다니다 폐 조직을 공격해 동물의 호흡 능력을 떨어뜨린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5월 19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학술지 ‘PLoS 바이올로지’ 에 게재됐다.연구팀에 따르면 염증으로 손상 받은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