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6,439건 검색되었습니다.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06
수 있다. 그러나 자신의 미래를 과학기술자로 그려보고있는 청소년이라면 전기공학에서
지구
과학 물리학으로 자신의 연구주제를 바꿔나가는 바딘의 삶을 보며 한번쯤 '기초과학과 공학연구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과학자와 기술자의 삶은 판이하게 다른 것일까'라는 의문을 품어봄직하다 ... ...
뱀 대신 컴퓨터로 지진 예측한다
과학동아
l
199106
정밀센서를 지진대 지역의 땅속에 심어 지진을 예측하려고 한다. 미국 지질 연구소의
지구
물리학자 에드워드 크랜스위크는 미국 내에서 가장 지진이 잦은 샌프란시스코만 지역에 각 가정의 개인용 컴퓨터를 망으로 엮는 지진경보 체제를 만들고 있다. "말하자면 우리는, 이제 뱀 대신 매킨토시나 ... ...
21세기 우주수송수단은 어떤 모습?
과학동아
l
199105
있으면서도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허블우주망원경 감마선우주망원경 등을
지구
궤도위에 올렸고 구명줄 없는 우주유영을 실현시켜 고장난 인공위성을 수리하는 등 '유일한' 우주교통수단으로서 진가를 발휘했다.이러한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아직 기술적 신뢰도가 100%에 이르지 ... ...
해양계 탄소순환의 연결고리
과학동아
l
199105
70마이크로기압이나 됐다. 플랑크톤이 왕성하게 탄소를 흡수하고 있음이 드러난 것이다.
지구
전체적으로 보면 아직 판박사의 모델이 상당한 설득력을 갖지만, 플랑크톤이 왕성한 바다일수록 탄소흡수가 활발해 해양으로의 탄소유입은 생각보다 많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남극부근의 바다에는 ... ...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05
유성우/ 핼리 혜성이 뿌려놓은 우주먼지이달에는 핼리 혜성이 뿌려놓은 우주 먼지들이
지구
대기 속에서 붉게 타오르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병자리 에타 유성군(η Aquarid)이 만드는 유성우가 바로 그들이다. 이 유성우는 물병자리의 북쪽 부분에 자리한 에타 별 근처를 복사점으로 해서 매년 ...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
과학동아
l
199105
있으며 △주변어장 및 양식장의 소멸과 생태계변화가 초래될 가능성이 있고 △송도 영도
지구
의 토취장개발에 따른 자연훼손이 크게 우려된다는 것이다.그러나 지난해 10월 청와대 정책조정회의에서 이러한 부처간 이견은 세부계획 및 사업실시단계에서 반영하기로 하고 인공섬건설계획은 부산시 ... ...
4. 1백년 후엔 해안선이 20㎞ 후퇴할지도
과학동아
l
199105
지구
온난화현상이건 지질학적 시간규모에서 변화해가는
지구
과정에 중첩되어 일어나며,
지구
과정 해양과정의 일부로서 현상을 과학적으로 인식하면 우리가 가진 공학적 기술이 그 대응책을 마련해 주게 된다는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할 것이다. 해양개발의 기초자료 「종합해양관측망」해마다 ... ...
환경모니터링으로 주목받는 중금속의 표본실 새 깃털
과학동아
l
199105
이용해 왔으나 이들은 모두 단기적이고 지역적인 모니터링에 불과했다.장기적이고 범
지구
적인 차원에서 지표생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조건이 요구된다. 우선 세계 각국에 널리분포해 모두가 이용 가능해야 하며, 화학물질을 다량 축적 농축하는 능력이 있어야 하고, 그 생물의 생활사 및 ...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05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인조다이아몬드, 즉 공업용다이아몬드다. '보석의 왕' 다이아몬드는
지구
상에서 가장 단단한 물질로 각종 절삭공구에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천연 다이아몬드는 값이 너무 비싸 인공적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밖에 없다.87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은광용 박사(경질 재료 연구실장 ... ...
과학으로 풀어본 야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05
포함한 주루플레이실력을 비중있게 취급하는 것도 달리기가 야구의 근본이기 때문이다.
지구
상에서 단거리를 가장 빨리 달리는 사람은 미국의 칼 루이스다. 그가 1988년에 작성한 1백m 최고기록인 9.92초가 아직 공식적으로 깨지지 않고 있는데 이 속도라면 루이스는 1초에 10.1m를 달린 셈이다. 하지만 ... ...
이전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