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돼지 심장을 가진 원숭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못했어요. 이번에 실험에 성공한 원숭이 들도 이식 거부반응이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25일
정도
밖에 살지 못했거든요. 앞으로는 부작용 없이 돼지 장기를 이식하는 방법을 많이 연구해서 여러 사람들의 목숨을 구했으면 좋겠어요 ... ...
어메이징 모기맨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내지 않는다. 피를 빨아올리는 관의 안쪽 지름은 30μm. 미세무통주사를 만들려면 이
정도
두께로 관을 만들어야 한다.목 안의 펌프 두 개로 피를 쭉쭉~!모기는 피를 빨 때 사람처럼 목구멍에서 한 차례 ‘꿀꺽’ 삼키는 일이 없다. 피를 한 번 빨 때마다 목숨을 걸어야 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 ... ...
과학으로 그린 비밀의 정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없게 돼요. 그래서 곤지암수목원에서는 모든 조명을 끄고 반딧불이가 보지 못하는 10lux
정도
밝기의 빨간 빛을 내뿜는 안내등을 켜서 관람객들이 반딧불이를 관찰할 수 있게 했어요. 명예기자가 말하는 수목원 탐방 예절!1. 식물 훼손, 안 돼~!2. 동식물이 놀라는 큰 소리, 안 돼~!3. 쓰레기 함부로 ... ...
독수리 만 했던 잠자리가 작아진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메가네우라에게 한번 물어 봐야겠어요. 잠자리는 어떤 동물이니?잠자리는 몸길이가 15㎝
정도
로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곤충 가운데 큰 편에 속해요. 막대기처럼 가늘고 긴 몸에 그물처럼 생긴 날개가 두 쌍 달려 있어요. 세모난 머리에 달린 큰 눈과 기다란 배(꼬리가 아니에요)가 특징이랍니다.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25%가 선택했지. 인도양의 모리셔스 섬에 살던 도도새는 칠면조보다 크고 몸무게는 23㎏
정도
였지. 섬에 포유류가 없다 보니 하늘을 나는 능력도 잃었던 새야. 하지만 섬에 사람이 들어오자 1681년 결국 마지막 한 마리가 죽으며 멸종됐지. 공룡은 23%로 두 번째야. 세 번째로는 6%가 선택한 여행비둘기로 ...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또 태워야 한다.과학자들은 2000년대 이후 값이 싸면서도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을 일으킬
정도
의 에너지를 지닌 물질을 찾아냈다. 바로 메탄이다. 전기원 한국화학연구원 그린화학촉매연구센터장도 메탄과 이산화탄소로 메탄올(CH3OH)을 만드는 실험에 성공해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메탄올은 ... ...
화학자가 본 플루오린화 수소 유출 사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실수로 배출구의 밸브를 완전히 열었다고 하더라도 가스가 폭발적으로 솟아오를 만한
정도
의 압력은 아니라는 말이다. 결국 이번 사고는 작업자가 실수로 배출구의 밸브를 열어서 일어난 사고가 아니었다.맹독성의 플루오린화 수소 액체를 운반하는 탱크로리의 구조는 특별하다. 사고나 실수로 ... ...
과학으로 갈 데까지 크리스마스 파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탈출하려는 현아에게 술은 매우 중요한 도구다. 간에서 분해할 수 있는 양을 넘어설
정도
로 에탄올이 체내에 흡수되면 혈액을 통해 뇌에 침투한다. 신경 전달물질이 정확하게 전달되는 것을 막아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만들거나 운동을 조절하는 소뇌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판단 능력이 흐려지기 ... ...
자기 자신에게 휴식을 허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 “네. 영어토론 동아리에요. 시사적인 내용에 대해 토론해요. 영어 말하기도 어느
정도
할 수 있어요.” 입학사정관은 교내 활동 중에서도 동아리 활동을 중요하게 본다. 되도록이면 동아리에 가입해 활발하게 활동하는 것이 좋다. H학생이 희망하는 언론정보관련 학과와 같은 사회과학대는 ... ...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 여행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분류학상의 설명은 생략하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동물들을 중심으로 소화기관의 발달
정도
를 알아보자. 장이 없는 동물은 동물 중 가장 하등한 산호, 해면 등이다. 이들은 움직임이 없는 동물로 자칫 식물로 착각하기 쉽다. 그만큼 몸의 구조가 단순하며 기관의 분화가 거의 이뤄져 있지 않다. ... ...
이전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