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뉴스
"
논문
"(으)로 총 6,509건 검색되었습니다.
구멍 송송 뚫린 검은 금(金), ‘블랙골드’ 개발
2016.03.23
또 전기가 잘 통하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생체에도 적합해 활용도가 클 전망이다.
논문
제1저자인 곽은지 UNIST 신소재공학부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질산의 농도와 온도를 조정하면 구멍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다”며 “이번에 개발한 제조법은 다른 금속에도 적용할 수 있어 각 금속의 ... ...
블랙홀이 내뿜는 ‘제트’ 예상보다 더 빨라
2016.03.23
23일 밝혔다. 이같은 내용은 이달 12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일본천문학회에서 구두 발표
논문
으로 선정돼 처음 공개됐다. 연구팀은 지구에서 5440만 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은하단 중심부분에 위치한 거대 전파은하 M87에 주목했다. 은하 중심에 태양보다 60억 배 무거운, 우주 최대급 초대형 ... ...
[사이언스 브리핑] 미래부, 뇌신경모방칩 연구 시작 外
2016.03.23
■ 미래창조과학부가 나노 및 소재 분야 핵심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5년간 총 576억원을 연구비로 지원한다. 인간 뇌에서 신호 전달을 담 ... 저널 중 상위 5% 이내의 저명한 학술지다. 박교수는 5월부터 유일한 한국인 편집장으로서
논문
을 심사하고 게재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임기는 4년이다 ... ...
모세관 현상 이용, 성능 최고 유기반도체 개발
2016.03.22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2월 24일자 표지
논문
으로 실렸다. 유기반도체 공정과정. 선형 나노 패턴이 있는 몰드를 유기 반도체 용액이 있는 기판 위에 올려두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패턴이 만들어진다. - 포항공대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논문
에 인용된 참고문헌 30편 가운데 리버만 교수의
논문
이 여러 편이고 랭엄 교수의
논문
도 여러 편 있지만 두 사람의 공저는 한 편도 안 보였다. 같은 과에 있으면서도 서로 다른 주장을 펼치는 학계의 라이벌이 확실한 것 같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항암치료 부작용 ‘탈모’ 원인 찾았다
2016.03.20
권오상 교수(교신저자·왼족)와 윤지선 연구교수(제1저자) - 서울대 의대 제공 흔히 항암 치료라고 부르는 항암화학요법은 암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위장 장애, 탈모 등 부작용 ... 인정 받아 피부과학분야 학술지 ‘저널 오브 인베스티게이티브 더마톨로지’ 3월호 표지
논문
으로 실렸다. ... ...
흐릿한 사진에 ‘인공지능’ 돌려보니
2016.03.18
운영하고 있다. 그는 “미국의 경우 AI 분야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논문
을 공유하고 토론하면서 기술을 발전시키는 분위기가 있다”며 “AI코리아를 통해 딥러닝 등 AI 기술을 자유롭게 토론하는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국내 AI 발전에 도움이 되고 싶다”고 밝혔다. ... ...
“허사비스는 융합형 인재… 한국도 ‘학문 칸막이’ 허물어야”
동아일보
l
2016.03.17
받았다. 그가 알파고 이전에 전 세계적 주목을 받은 것도 이때다. 그가 쓴 뇌 관련 학술
논문
들 덕분이다. △해마성 기억상실 환자들은 새로운 경험을 그려 내지 못한다 △단편적 기억 생성의 해체 △상상력을 이용한 단편적 기억의 신경 기저 이해(이상 2007년) △두뇌의 생성 시스템 △인간 해마 ... ...
당신이 알파고(인공지능)가 두려워진 이유는?
2016.03.16
의미로 다가옵니다. 이 9단과 알파고의 대결 소식은 세계적 권위지인 '네이처' 표지
논문
을 통해 소개되기도 했다. - 네이처 제공 다시 네안데르탈인의 이야기로 돌아와봅시다. 네안데르탈인은 호모 사피엔스와 전쟁을 벌인 걸까요? 유럽 전역에서 벌어진 원시전쟁에서, 호모 사피엔스는 ... ...
리포솜 화장품, 깊숙이는 커녕 각질도 못 뚫는다
2016.03.15
표피나 진피까지 이를 수 있다고 생각했다. 2012년 ‘Soft Matter’라는 학술지에 발표된 한
논문
의 그림으로 리포솜(녹색 공)이 각질층(stratum corneum)을 통과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 ‘Soft Matter’ 제공 ● 5㎛ 너머서는 흔적 안 보여 학술지 ‘플로스원’ 1월 11일자에는 젊은 시절 5년 반을 화장품 ... ...
이전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