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신의 입자는 아직도 많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완공하는 게 목표지만 예산 등의 문제로 진척이 더뎌 장소도 미정이다.Epilogue마지막으로, 모두의 궁금증을 해결하고 끝맺자. “힉스 입자를 발견하면 내 생활의 어떤 점이 달라지는가?” 답은 “일상생활은 아무 것도 달라지지 않는다”다. 없던 입자를 발견하는 것도 아니고, 일부 언론이 실수했듯 ... ...
-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과학동아 l2012년 08호
- 0.04초를 강조한 까닭은 두 선수가 서로를 찌르거나 벤 시간 차가 0.04초 이하라면 양쪽 모두의 득점을 인정하는 펜싱 규칙 때문이다.펜싱 선수는 짝팔에 짝다리펜싱에서 상대방을 0.04초보다 빠르게 제압할 수 있는 비결은 속도다. 속도가 빨라야 적을 찌르거나 상대의 공격을 막거나 피할 수 있다. ... ...
- 여성의 IQ는 남성보다 높아질까과학동아 l2012년 08호
- 합하면 약 1000억 명인데, 1000억 분의 1보다 확률이 작다는 건 미래에 태어날 사람까지 모두 포함해 그중에서 가장 똑똑하다는 뜻이다. [4살 때 IQ 210을 기록해 기네스북에 오르기도 한 김웅용 박사(현 충북개발공사 근무)의 어린 시절 모습. 신동이라는 이유로 과도한 주목을 받는 게 부담스러웠다고 ... ...
- 대입 전략, 고교 선택에서부터!과학동아 l2012년 08호
- 학년에 적용된다. 개정교육과정의 가장 큰 변화는 종전 국민공통교육과정이 없어지고 모두 선택중심교육과정으로 운영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각 고교별 교육과정 편성과 개인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경로로 수업이 진행된다. 같은 일반고라도 학교에 따라 교육과정이 다르고, 같은 학교에 다녀도 ... ...
- 사방으로 직선을 뻗어라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선을 채워 보세요. 1) 숫자가 적힌 각 칸의 네 방향으로 선을 그을 수 있다. 2) 선들이 지나가는 칸의 개수를 모두 더한 값은 선이 시작되는 칸에 적힌 수와 같아야한다. 3) 빈 칸이 없어야하며 선은 서로 겹치거나 가로지를 수 없다. ... ...
- 과학특별시 열대해양탐사대 선발기!수학동아 l2012년 08호
- 인상적이었습니다. 참가자 모두 해양 지식과 관련 경험도 풍부하고 열정도 뛰어나, 모두 열대해양탐사대가 되기 충분했습니다. 결국 기존의 과학특별시 활동과 미션, 면접 결과를 합산해 예정 선발 인원보다 2명 더 많은 총 4명의 합격자를 선발했습니다.합격된 4명의 친구들은 8월 18일부터 8박 9일간, ... ...
- 가슴 뜨거웠던 7일간의 기록, 국제수학교육대회수학동아 l2012년 08호
-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런 것에 너무 크게 의미를 두고 싶지는 않습니다. 결국에 우리 모두는 성별에 관한 차이를 두지 않아야 하기 때문입니다.우리나라 학생들의 대부분은 앞선 학년의 수학내용을 미리 공부하는 편입니다. 수학을 공부하는 데에 선행학습이 필요한가요?수학처럼 중요한 과목을 ... ...
- 전력거래소 탐방 블랙아웃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2년 08호
- 시간 등을 집어 넣으면 전기를 얼마나 사용할지가 나오는 거죠. 물론 이 프로그램에 모두 의존하지는 않고, 오랫동안 쌓인 사람의 경험을 더해 내일 쓸 전기를 예측한다고 합니다. 전기를 쓰기 위해서 수학과 통계가 꼭 필요하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 ...
- PART 1. CERN에 가다 “21세기 물리학 최대 발견”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채 세 개의 팀으로 나눠서 따로 분석했다”며 “발표 하루 전날에야 두 검출기의 결과가 모두 5시그마를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5시그마는 99.999943% 정확함을 뜻한다.그러나 지아노티 박사는 발표를 마치면서 “이것은 단지 시작일 뿐”이라고 말했다. 오랫동안 찾아 ... ...
- 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2년 08호
- 것은 에쿠스 페루스(Equus ferus)의 아종 에쿠스 페루스 카발루스(E. ferus caballus)인데 이는 모두 가축화된 말이다. 가축화되지 않은 야생말은 몽골야생말 혹은 프르즈왈스키의 말이라고 부르는 에쿠스 페루스 프르즈왈스키(E. ferus przewalskii)아종이 유일하다. 1966년 이 말이 몽골에서 발견되기 전 모든 ... ...
이전5565575585595605615625635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