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뉴스
"
투과
"(으)로 총 587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리 투명전극을 LED에?
2014.08.20
면적이 넓어질수록 발광 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98%의 가시광선
투과
도를 갖는 질화규소 박막을 유리 투명전극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기존 금속전극을 사용할 때와 비교해 전력 소모는 0.5V(볼트) 감소했고, 1A(암페어)의 전류를 흘려줄 때 광출력은 9% 향상됐다. 누설전류 등 ... ...
석촌 싱크홀, 지하철 9호선 공사 탓?
2014.08.14
약해진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GPR 장비를 이용해 땅 속으로 전자기파를 쏴서 반사 또는
투과
된 파의 속도와 파형을 분석하면 지하수위와 구멍의 위치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도로가 처진 정도를 측정해 땅 속의 지지력을 측정하는 장비(FWD)도 유용하다. 서울시는 지난해 GPR 장비와 FWD 등을 도입해 ... ...
당신이 모르는 에센스 방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4.07.22
수수께끼였다. 연구팀은 기존 공초점현미경으로는 정확히 볼 수 없던 젖음주름 현상을
투과
X선현미경으로 선명하게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관찰 결과, 젖음주름의 형태는 꼭지점이 갈고리처럼 휘어진 비대칭 삼각형이며, 고체가 무를수록 젖음주름이 높게 생성되고 표면장력의 수직방향 힘과 ... ...
벽 뒤에 숨어도 다 보인다구!
과학동아
l
2014.06.30
“세계적으로
투과
형 레이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초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벽
투과
형 레이더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라면서 “이르면 3년 안에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 2편을 전기전자 및 통신 분야 학술지인 ‘IEEE 커뮤니케이션즈 ... ...
국산 연구용 원자로, 유럽門 열다
과학동아
l
2014.06.24
설비를 새롭게 구축하는 것으로 2017년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냉중성자는 엑스선(X선)보다
투과
력이 뛰어나면서도 에너지가 낮아 살아있는 세포 속 물질을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명공학이나 의약 연구에 중요한 도구로 주목받는 설비다. 미래부는 이번 사업 수주는 세계 최고 성능의 ... ...
세상에서 가장 복잡한 제올라이트
과학동아
l
2014.06.11
그 뒤 연구팀은 포항가속기연구소에서 PST-6에 대한 X-선 회절 데이터 분석과
투과
전자현미경 관찰, 컴퓨터 모델링 등을 실시해 구조 결정에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PST-6가 36개의 서로 다른 사배위 자리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홍 교수는 “PST-6는 서로 다른 크기의 두 세공 ... ...
색깔 변하는 유리창, 초간단 제작 기술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0
변하는 전기변색 물질을 이용하는 소자를 말한다. 건물 유리나 자동차 룸미러의 광
투과
도, 반사도 등을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적외선 차단효과까지 알려지면서 쓰임새가 더 늘어나고 있다. 문제는 소자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제작 시 변색을 돕는 전해질을 첨가해야 한다는 ... ...
첨단공정 최대의 적 ‘수분’ 막는 방법 찾아냈다
과학동아
l
2014.06.05
연구진은 이 기술을 차세대 휘어지는(Flexible) OLED 디스플레이 기판의 골칫거리였던 수분
투과
도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수분이나 산소 접촉으로 인해 식품이나 의약품의 변질을 방지해 보존기간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포장재 개발에도 직접 활용할 ... ...
‘누드’ 노트북에 쓰일 ‘누드’ 메모리소자 탄생
과학동아
l
2014.04.23
리포트(Scientific Reports)’ 9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ITO/RGO/ITO 메모리소자의 개략도와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왼쪽)과 ITO 층 위에 흡착된 RGO 플레이크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오른쪽). ※ITO=투명전극. - 고려대 ... ...
산소 원자 빈 자리로 전기 만들어
과학동아
l
2014.04.22
간단히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성이 클 것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김 연구원은 “
투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박막형 산화물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규명할 수 있었다”며 “이번 연구가 차세대 메모리나 소자용 신물질을 발굴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