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뉴스
"
투과
"(으)로 총 587건 검색되었습니다.
긁히거나 늘어난 그래핀, 은(銀)으로 복원한다
2016.01.20
은을 도금하는 방식으로 원래 수준으로 복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투과
도 감소를 줄이기 위해 도금 공정을 최적화 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구에 참여한 윤태식 연구원은 “산업 분야에서 그래핀을 대량으로 제조할 경우 품질관리를 위해 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며 ... ...
푸른빛 LED, 백색광으로 바꾼 비결
2016.01.13
높고 수명도 길다. 하지만 스마트폰, TV 등에 많이 사용되는 LED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대신
투과
성이 큰 청색광의 비중이 높아 눈 건강은 물론 수면 장애 등 정신 건강에도 해롭다. 그런데 최근 값싼 청색 LED를 백색으로 저렴하고 간단하게 바꿀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루벤 코스타 독일 ... ...
‘이것’ 방치하면 큰일… 황반변성에 불면증, 비만까지
2016.01.12
일으켜 건강에 총체적으로 문제를 일이킬 수 있다고 지적한다. flickr 제공 ●
투과
성 높아 망막세포 변성 초래 청색광의 가장 큰 문제는 눈 건강을 크게 해친다는 점이다. 청색광은 파장이 380~500㎚(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로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 중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높다. 적당한 ... ...
영화 속 ‘투명인간’ 만드는 약, 현실에 등장
2016.01.11
실제로 만드는 ‘약’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생체조직이 투명해져 빛을
투과
하는 구조가 되는 원리로 내장기관의 모습을 그대로 들여다 볼 수 있어 의료 분야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걸로 보인다. 선웅 고려대 의대 교수팀은 생체를 초고속으로 투명하게 만드는 것은 물론 원하는 부위만 ... ...
주사 한 방에 암 2종류 24시간 안에 진단
2016.01.11
위치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송현석 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는 신체 조직을 잘
투과
하는 빛을 암 검진에 쓸 수 있도록 만들어 인체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암세포를 확인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암 종류 뿐 아니라 전이까지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라고 밝혔다. 이번 ... ...
대규모 연구과제 봇물…각 기관 ‘환골탈태’ 천명
2015.12.31
역할 한층 더 강화할 생각이다. 지난해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장비인 ‘슈퍼 바이오
투과
전자현미경’ 설치를 마친데 이어 7T(테슬라) 성능의 고성능 연구용 자기공명영상(MRI) 장비의 본격 가동을 시작한다. 이 밖에 고분해능 바이오전자현미경과 이차이온질량분석기장치 등의 새로운 장비도 오창과 ... ...
컨테이너 속 보안 검사는 어떻게 하나
2015.12.17
연구팀은 또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공동으로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적용해 방사선
투과
영상에서 유·무기물을 색깔로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이 기술은 농수산물, 유류, 담배, 마약 등의 밀수품을 선별하는 능력을 높여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컨테이너 검색기뿐만 ... ...
‘털복숭이’를 ‘민둥 몸’으로 바꾸는 이것
2015.12.13
초파리는 등에 있는 털을 감각기관으로 이용하는데,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투과
전자현미경(SEM)으로 확대한 초파리의 털이 담겼다. 표지 속 왼쪽 초파리(FICKLE)는 일반적인 초파리로 등에 털이 수북하다. 반면 오른쪽 초파리(FATES)는 돌연변이를 일으킨 초파리로 등에 털이 없다. 초파리 ... ...
복돼지가 활짝 웃고있네요~ 대식세포 속에서
2015.11.27
와요~. 돼지가 환하게 웃는 모습을 보고 있자니 절로 복이 들어올 것 같다. 대식세포를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찍고 다양한 세포소기관을 염색했더니 영락없는 돼지 얼굴이 나타났다. - 오송바이오진흥재단 제공 복돼지 한 마리가 순박한 웃음을 짓고 있다. 맛난 음식이라도 배불리 먹고 난 걸까. ... ...
작은 분자 하나로 알츠하이머 무력화
2015.11.23
사실도 확인됐다. 투여한 약물이 뇌 속에서 효과를 내려면 필터 역할을 하는 뇌장벽을
투과
할 수 있는 능력이 필수다. 실제로 알츠하이머에 걸린 쥐에게 이 분자를 30일 동안 투여했더니 퇴행한 인지능력과 학습능력이 보통 쥐와 동일한 수준으로 회복됐다. 임 교수는 “단일 분자로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