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뉴스
"
투과
"(으)로 총 568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콜릿에 테라헤르츠파 쏘면 이물질 바로 발각
2015.06.18
개발한 ‘테라헤르츠파 기반 실시간 식품 품질 검사기술’이다. 테라헤르츠파는 전파의
투과
특성과 빛의 특성을 모두 갖고 있어 이를 이용하면 포장된 식품 속에서도 1mm 이상인 금속, 벌레, 플라스틱 등 이물질을 영상으로 찾아낼 수 있다. 기존 방사선 검사기에서는 머리카락과 벌레 같은 연질 ... ...
탄소나노튜브가 이런 데까지?
2015.05.20
백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에 불과해 정수용 막으로 만들 경우 오염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
시킬 수 있다. 하지만 탄소나노튜브 막은 물 분자를 밀어내는 성질이 있어서 물을 통과시켜 정수하는 속도가 기존에 비해 획기적으로 빠르지는 않았다. 연구진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소나노튜브의 ... ...
도심형 싱크홀, 인공위성으로 잡는다
2015.05.15
현장에서는 싱크홀을 직접 찾아다니며 조사하는 탐사도 병행한다. 대표적으로는 지면
투과
레이더(GPR)를 땅속에 쏜 뒤 반사파를 분석해 싱크홀을 찾는 방식이 있다. 또 지표에 시추공을 뚫은 뒤 시추공을 통해 지반의 온도를 재고 주변 지하수의 수위 변화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방법도 싱크홀 예측 ... ...
이래도 화성에 가시겠습니까?
2015.05.05
차폐하는 방법으로 우주방사선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들이 강구되고 있지만
투과
력이 높은 고에너지 우주방사선은 차폐가 거의 불가능한 만큼 아직까지는 뾰족한 해결책이 없는 상황이다. ... ...
버튼만 누르면 투명 유리창이 TV로 변신
2015.04.29
볼 수 밖에 없다는 점도 문제였다. 윤 교수팀은 방향에 따라서 빛을 흡수하거나
투과
시켜 특정한 색상을 만드는 ‘이색성 염료’를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색성 염료로 도핑한 고분자 액정을 빛을 통과시키는 방향을 조절하는 ‘광셔터’에 붙여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작한 결과, ... ...
휘어지는 투명 스마트폰, 도장 찍듯 ‘꾹’ 찍어 만든다
2015.04.22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렇게 제작한 전극은 기존 인듐전극과 동일한 성능을 보였고, 빛
투과
도도 91%로 거의 투명했다. 또 비틀거나 구부려도 성능이 변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유리(a) 실리콘(b) 금속 호일(c) 테이프(d) 플라스틱 기판(e) 등 다양한 재료 표면에 플라스틱 투명전극을 찍어냈다. - ... ...
암덩어리 중심까지 약물 전달… 나노기술로 항암제 효과 높였다
2015.04.06
항암제가 잘 듣지 않는 까닭은 종양의 중심부까지 약물이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 연구진이 기존 항암제의 단점을 해결해 종양 전체에 약 ... 공개한 그래픽. 종양 전역에 약물이 골고루 전달되게 해 항암효과를 높이는 새 종양
투과
약물전달 나노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KAIST ... ...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
과학동아
l
2015.03.27
만큼 잘 채워 넣는 일이 중요하다. 지하수를 충전하는 주요 경로는 지표면의 갈라진 틈과
투과
성이 높은 지층이다. 과학자들은 이런 곳을 통해 연간 15조t 이상의 물이 지하수로 다시 돌아간다고 추측하고 있다. 인류가 한 해 동안 사용하는 신선한 물의 30% 정도로 엄청난 양이다. 하지만 이 과정은 ... ...
액체 상태의 나노물질 바로 ‘찰칵’
2015.03.24
알려져 있었지만, 액체상태로 살펴보니 끝과 끝(tip-ti-tip)이 붙어 조립됐다. 액체국면
투과
전자현미경을 통해 금 나노막대가 조립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 ACS Central Science 제공 또 연구팀은 전해질 용액에서 이온의 활발한 정도를 나타내는 ‘이온강도’에 따라 나노막대의 ... ...
5cm 크기 10분 만에 인쇄하는 3D프린터 개발
2015.03.17
액체로 존재하는 지점이다. - 카본3D 제공 3D프린터의 액체 잉크 용기 아래에 산소를
투과
시키는 창을 붙인 뒤 창 아래 자외선(UV)을 쪼이면 잉크가 굳지 않는 얇은 층인 ‘데드존(Dead Zone)’이 생긴다. 데드존 위에서는 잉크가 딱딱하게 굳어 버리지만 데드존 아래 잉크는 여전히 액체상태다.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