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발
개척
뉴스
"
실용화
"(으)로 총 657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볼라 임상시험 13개 중 단 1개만 성공”
2016.01.03
1일 자 표지에는 얼음 속에 보관 중인 에볼라, 사스 등 백신의 모습이 담겼다.
실용화
단계로 나아가지 못한 채 보관 챔버에 갇혀 얼어붙어 버린 것처럼 보인다. 전염성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는 높아졌지만, 확실한 효과를 가진 백신은 나오지 않고 있다. 사이언스는 에볼라 종식이 코앞에 왔지만 ... ...
[과학입국(科學立國) 50년] 과학자 집안에 듣는 국내 근대과학 변천사
2016.01.02
기술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무선 전송기술을 연구한 적이 있다”며 “당시 미국에서도
실용화
여부가 불투명했던 이 기술이 지금은 한국이 가장 앞서 있을 정도로 국내 ICT 수준은 높다”고 말했다.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보다 10년 이상 늦게 시작한 ICT가 정부와 민간 기업의 적극적인 투자로 한 ... ...
'줄기세포 논문조작' 황우석…교수직 파면 '정당'(종합)
포커스뉴스
l
2015.12.23
2004~2005년 국제과학전문지 사이언스지에 조작된 논문을 발표하고 환자맞춤형 줄기세포의
실용화
가능성을 과장해 농협과 SK(주), 한국과학재단 등으로부터 총 20억원의 연구비를 받아낸 혐의로 2006년 5월 기소됐다. ... ...
日, 첨단 기초연구 산업화 시동…2020년 도쿄올림픽 목표
2015.12.18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CES)에 참가할 예정이다. 강훈 연구성과
실용화
진흥원장은 “연구실에서 나온 기초 및 원천연구가 논문으로 사장되지 않고 사업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랩투마켓(Lab-to-Market)’ 성공 사례가 많아질수록 한국 경제가 저성장 기조에서 탈출하는 데 ... ...
물 속에서 햇빛 받아 수소 만드는 2세대 ‘인공 나뭇잎’ 나왔다
2015.12.15
생산하는 기술이 실현되려면 수소 전환 효율과 가격 경쟁력이 모두 달성돼야 한다”며 “
실용화
를 위해 필요한 최소 효율을 10% 정도로 보고 있는데 이번 연구가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한 것”이라고 말했다. ... ...
무선전력전송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5.12.11
데 성공했다. 이준호 무선급전연구팀장은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한 경전철은 2020년경
실용화
될 것”이라며 “해외 기술에 비해 가볍고 가격도 저렴해 향후 국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소형화에도 강점을 갖고 있다. 한국전기연구원은 웨어러블 기기나 체내 ... ...
스타워즈 속 ‘3D 홀로그램’이 눈앞에 턱!
2015.12.02
소형화, 실사영상 홀로그램을 5G 네트워크로 송수신하는 기술을 개발해 2021년에
실용화
할 계획이다. 김진웅 ETRI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장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로 홀로그래픽 방송과 가상현실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 ...
KAIST-GIST-DGIST-UNIST ‘업그레이드’, 기업혁신-산학협력 견인차 된다
2015.12.02
자동차, 문화기술 등 3개 분야에서 융합전공 과정을 운영한다. 팀 프로젝트를 통해
실용화
기술 개발도 시도한다. 또 학제 간 융합을 위해 다른 학과에서 겸무를 수행하는 교원 수를 기존 16명(10%)에서 64명(40%)으로 늘린다. GIST는 이를 토대로 기술사업화와 창업을 통해 2020년까지 총 9500억 원의 경제적 ... ...
마이크로소프트(MS) ‘엑박’과 X선 촬영이 무슨 관계?
2015.12.01
Microsoft 社 키넥트(Kinect)를 활용해 손에 조종간을 쥔 것 처럼 게임을 즐기고 있는 모습 - 위키미디어 제공 X선 촬영을 할 때 우리 몸은 일정량의 방사 ...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며 “키넥트를 활용해 X선 촬영 보조기를 개발한 뒤 테스트를 통해
실용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고온초전도체’ 비밀 풀릴까… 美연구진, 새 전자현상 관측
2015.11.09
도 부근에서 ‘고온초전도 현상’이 관찰되고 있지만 과학적 원리가 규명되지 않고 있어
실용화
가 어려웠다. 이 박사팀은 고온초전도 현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이트륨 바륨 구리산화물’을 포항의 4세대 가속기를 이용해 촬영하고 3차원(3D) 형태의 전자 정렬모습을 관측했다. 기존에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