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발
개척
뉴스
"
실용화
"(으)로 총 657건 검색되었습니다.
“불법조업 꼼짝 마!”… 바다 위 시속 133㎞ ‘씽’
2016.11.18
중이다. 공 팀장은 “지금까진 항우연이 독자적으로 드론을 개발해 왔지만 내년부터는
실용화
단계를 염두에 둘 계획”이라며 “해경처럼 복합형 드론을 실제 활용할 기관과 협력 연구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 ...
불가능했던 췌장암 조기 진단 혈액검사만 받으면 OK
2016.11.17
백 원장은 “이번 기술 개발은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췌장암 조기 진단 방법을
실용화
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 추세대로라면 2020년엔 세계적으로 41만8000여 명이 췌장암으로 사망할 것으로 추정했다. ... ...
저장 용량 50% 더 늘린 대용량 배터리 나온다
2016.10.24
전극 소재를 개발했다. 전력난의 해결책으로 주목받는 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실용화
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정경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에너지융합연구단장(사진) 팀은 ‘프러시안 블루 아날로그’란 이름의 금속유기구조체 소재를 이용해 새로운 전극 소재 개발에 ... ...
미래형 ‘양자컴퓨터’ 개발 성큼… 고성능 양자광원 개발
2016.10.18
컴퓨터로 불리는 ‘양자 컴퓨터’
실용화
를 앞당길 차세대 반도체 원천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팀은 피라미드 모양의 고효율 ‘양자점(Quantum dot)’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양자점은 광자(빛의 입자)를 내뿜는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크기의 ... ...
‘파동’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신물질 찾았다
2016.10.18
연구진이 제작한 무질서한 매질 내에서 질서 있게 전달되는 파동의 모습(왼쪽)과 무질서하게 전달되는 파동의 모습(오른쪽). - 서울대 제공 멀리서 부르는 친구의 목소리가 들리는 이유는 공기가 소리의 에너지를 전달해 오기 때문이다. 이렇게 공기처럼 에너지를 전달하는 물질을 매질이라고 한다. ... ...
[2016 노벨과학상 총정리] 핫한 신인보다 ‘명품 중견’ 택했다
2016.10.07
있는 분야다.
실용화
에 매우 근접해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물리학상과 화학상은
실용화
보단 발견의 창의성 그 자체에 높은 점수가 부여됐다. 노벨위원회는 “물질이 기묘한 상태로 존재하는 새로운 세상을 인류에게 보여준 공로(물리학상)”와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를 만든 공로(화학상 ... ...
값싼 ‘유기 태양전지’ 상용화 가능해졌다
2016.09.28
안전성과 효율이 뛰어난 유기 태양전지를 개발한 울산과학기술원 연구팀 - UNIST 제공 세계 최고 효율의 ‘유기 태양전지’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박혜성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팀은 같은 학과 양창덕 교수팀과 공동으로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고 고온에서 오랫동안 ... ...
환경문제 주범 ‘녹조’로 전기 만든다
2016.09.27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새로운 개념인 ‘바이오-태양광 에너지 변환 기술’의
실용화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저널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9월 14일자에 게재됐다. 류 교수팀이 개발한 나노전극에는 기존과 ... ...
‘이너 스페이스’의 마이크로 로봇 개발, 어디까지 왔나?
2016.09.03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 연구진들이 만들어낸 이번 성과들이 마이크로 로봇의
실용화
를 앞당기는 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참고 ☞ SF영화에서 찾을 수 있는 미래 의학의 모습(1) ☞ SF영화에서 찾을 수 있는 미래 의학의 모습(2) ※ 필자소개 이철민. 학부에서 계산통계학을 ... ...
첨단보안기술, 홍채-정맥이어 얼굴-몸짓 인식까지
2016.09.02
우리나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도 범죄수사 기법으로 연구 중이다. 박범근 연구성과
실용화
진흥원 정보전자소재기술팀 매니저는 “생체 인식 기술과 관련된 특허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2024년 시장 규모가 149억 달러(약 16조65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며 “지문은 제조업, 홍채는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