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쪽"(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그라운드 위에 수학을 펼쳐라! 2015 수학축구교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이용하는 복도를 이용해 선수 대기실을 탐방하고, 그라운드를 밟았다. 그라운드 한쪽 옆에 마련된 풋살 경기장에서는 간단한 축구 훈련도 진행했다.모든 체험 활동이 끝나고, 독자기자들은 인천 유나이티드팀과 전남 드래곤즈팀의 경기를 관람했다. 인천 유나이티드팀의 홈 경기장인 만큼 그들을 ...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전자 하나만 빠질 수 있는 우물 모양의 소자를 만든 뒤 앞뒤로 장벽을 만들죠. 이 장벽의 한쪽만 낮추면 전자가 양자점으로 들어오고, 다시 반대쪽 장벽을 낮추면 전자가 빠져나가요.”2012년 영국에서 최고 수준의 단일전자 펌프를 만들었는데, 우리나라 표준연이 올해 2월 공개한 이 펌프도 성능이 ...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나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때 새로 생기는 두 갈래는 굵기가 서로 같을 수도 있고, 한쪽이 훨씬 더 굵을 수도 있다. 원래 줄기에서 가느다란 한 가닥이 튀어나온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루는 두 갈래가 같은 굵기일 경우, 원래 줄기와 이루는 각도가 서로 같다고 설명했다. 만약 굵기가 다르다면,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든 주사기의 한쪽 끝을 손가락으로 막고 피스톤을 밀어주면 공기가 새어나오지 않아도 주사기 속 공기의 부피(V)가 줄어든다. 이처럼 기체의 부피는 압력(P)이 커지면 줄어든다. 바로 보일의 법칙(P∝1/V)이다. 공기주머니에 불을 지피면, 온도(T)가 올라갈수록 부피도 늘어난다. 샤를의 법칙(V∝T) 이다. ... ...
- [생활] 22년 만에 다시 펼쳐진 공룡 세상 쥬라기 월드수학동아 l2015년 06호
-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이론이다. 한쪽에서 나비가 날갯짓을 하면 이로 인해 다른 한쪽에서는 태풍이 생길 수도 있다는 것이다. 여러 가지 유전자를 섞어 새로운 생명체를 탄생시키는 일도 이와 마찬가지로 계산기에 숫자와 기호를 넣어 답을 얻는 것처럼 일정한 공식이 정해져 있지 않다.영화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무거운 지붕에서 나온다. 바람처럼 약한 힘에는 충분히 버텼다. 그러나 기둥이 조금만 한쪽으로 기울면 지붕의 무게 때문에 집 전체가 무너질 수 있다.그럼에도 이미 2층 이상의 높은 한옥은 있었다. 를 보면, 고려 시대 개경에는 3, 4층짜리 한옥이 있었다. 조상들이 한옥을 높게 지을 수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하늘과 땅을 잇는 통로)를 지날 수 있다. 불상 이마에 박혀있던 보석을 석굴암 한쪽 구석에 숨겨놔 직접 찾게 하는 미션도 있다. 보석을 원래 자리로 돌려놓으면 동해바다에서 해가 떠올라 불상을 비춘다. 석굴암을 만들 때 신라 사람들이 고려했던 점과 종교적인 의미를 가상현실로 구현한 것이다 ... ...
- 참깨 VS 들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다른 건가요? 이혜진(여주 북내초 3)참깨참깨를 자세히 보면 한쪽은 뾰족하고 다른 한쪽은 둥그스름한 타원형에 납작한 모양이에요. 우리가 먹는 참깨는 사실 식물의 씨앗이지요. 참깨는 쌍떡잎식물에서도 참깨과에 속하며, 식물 전체에 흰색 털이 빽빽하게 나 있어요. 늦봄에서 초여름이면 1m 높이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가능하다.귀가 특히 밝은 새들도 있다. 야행성인 올빼미는 귓구멍이 한쪽은 눈 아래, 한쪽은 눈 위에 비대칭적으로 있다. 대칭이 ‘대세’인 동물의 세계에서 이례적인 일이다. 이렇게 ‘짝짝이 귀’에 들어온 소리를 비교하면 소리 출처의 좌표를 x, y, z축으로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올빼미는 ... ...
- [Hot Issue] 한국말 일취월장 사랑이, 생각도 한국식으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걸 보여준 것이다. 이중언어 사용자는 평소에는 둘을 함께 사용하지만, 특수한 경우에는 한쪽으로 사고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언어에 따라 세계를 서로 달리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3월 6일 ‘심리과학’ 저널에 실렸다. 단정할 순 없지만, 사랑이가 한국어를 배우는 건 일본식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