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쪽"(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움직이는 방법에 따라 뿜어져 나오는 물의 모양과 속도가 다른 것도 볼 수 있답니다.다른 한쪽에는 보기만 해도 온몸이 짜릿해지는 ‘서스펜션 브릿지’가 설치돼 있어요. 세스펜션 브릿지는 총 길이가 130m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아치형 다리예요. 8차선 도로를 사이에 두고 과학관이 있는 산과 ... ...
- 까마귀끼리 돕고 살아야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너머의 치즈를 끌어 당겨 먹을 수 있는 실험 장치를 고안했다.만약 까마귀 한 마리가 한쪽에서만 줄을 잡아당기면 치즈 없이 줄만 빠져 나온다. 까마귀 7마리를 실험한 결과, 까마귀들은 사전에 훈련시키지 않았는데도 66.17% 확률로 서로 도와서 치즈를 먹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개체 별로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콜라겐이나 해조류에 들어 있는 알기네이트로 하이드로젤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한쪽에서는 뇌 신경세포와 같이, 연결부위가 엄청나게 복잡한 장기를 칩 위에 구현하려는 시도도 하고 있다. ‘브레인(뇌) 온어 칩’이 많은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알츠하이머의 치료제 개발을 앞당길 수 있기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이상의 전기가 필요하다. 카이트젠사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냈다. 연의 한쪽 끈은 풀고 한쪽 끈을 당겨 연을 바람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리는 것이다. 훨씬 적은 전기로 연을 하강시킬 수 있다. 카이트젠사는 1~2년 안에 상용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섬이나 오지에서 ‘좋아요’물론 이런 아이디어가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20년 경력의 요리사 양지훈 셰프야. 그런데…, 한쪽은 요리의 과학적인 접근을, 다른 한쪽은 요리하는 사람의 마음을 강조하더군. 맛있는 요리 비결은 뭘까?요리하는 실험실, 모더니스트 퀴진모더니스트 퀴진은 미국 워싱턴에 있는 요리 연구소예요. 일명 ‘요리하는 실험실’이라고 불리지요.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심리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심리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설문 방법이다. 10cm길이의 선에 한쪽 끝은 통증 없음, 다른 한 쪽은 상상 가능한 가장 심한 고통을 기록하게 한다. 주로 신체 통증에 사용하지만 심리적 고통을 측정하는 데도 사용한다.우리나라에서는 이렇게 랩을 이용해 치료하는 경우가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부러지거나 고장이 난다면 드론은 어떻게 될까요? 프로펠러 3개만 돌아가면, 드론은 한쪽으로 기울다가 그대로 추락할 것입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자동안전장치 알고리즘’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드론이 계속해서 회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 추락을 방지합니다.예를 들면, 남아 있는 ... ...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어, 조금만 더! 우와~! 골!” 경기장 한쪽에서 큰 함성이 터져 나왔다. 어찌나 소리가 컸던지, 다른 경기를 보고 있던 관람객들이 모여들 정도였다. FIRA로보월드컵(이하 FIRA컵)의 미니 휴머노이드 축구대회인 ‘안드로솟’ 부문 경기 중에 시원한 골이 터졌다. 상명대 ‘휴머노이드로봇클럽’ 팀이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아미노산 대신 플라스틱의 원료인 ‘숙신산’을 만들도록 유전자 조작을 했어요.그리고 한쪽에서는 이산화탄소를 먹고 자라는 미세조류를 길러냈어요. 미세조류를 먹고 사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을 빨리 성장시켜서, 더 많은 숙신산을 만들어내기 위해서지요. 이렇게 화석연료 대신 ...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높이려면 반대로 초점거리를 줄이고 렌즈의 크기를 크게 만들어야 하거든요. 어느 한쪽을 높이면 다른 쪽이 낮아진답니다.동물의 눈도 마찬가지예요. 해상도를 높이면 감광도가 떨어지기 마련이지요. 그런데도 사람이 좋은 시력을 가지고 있는 비결은 눈의 크기 덕분이에요. 눈이 크면 초점거리가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