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동기획] 미래 연구자를 키운다! 과학영재 창의연구수학동아 l2022년 08호
- 27개 과학고 및 과학영재학교에서 총 484개 과제를 지원했습니다. 2022년 5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R&E 도입 20주년을 계기로, ‘R&E 지원 체계화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다양하고 전문적인 R&E 활동을 위해 전문가 연계형 R&E를 확대하고 여러 분야 전문가 컨설팅단을 ...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필즈상 외에도 네반리나상, 가우스상, 천 메달을 시상한다. 네반리나상은 정보과학, 가우스상은 공학·응용수학, 천 메달은 기하학 분야에 업적을 세운 수학자를 선정해 각각 수여한다. 허준이 교수가 해결한 난제 │ 어디에나 있는 ‘로그-오목’을 증명하다 허준이 교수는 어떤 문제들을 ... ...
- 10년 뒤에도 잘 나갈까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사용하는 반도체다. 시스템반도체는 중앙처리장치(CPU)나 그래픽처리장치(GPU)처럼 정보를 처리하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하는 반도체다. 한국은 작은 시장에서 거인이다. 한국은 전체 반도체 시장의 30%를 차지하는 메모리반도체 영역에서 20년간 점유율 1위를 유지했다. 대표적인 메모리반도체인 D램 ... ...
- [이달의 책] 생각의 열쇠로 연 내면 세계의 문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맥스웰의 로맨스를 어렵게 만드는 데 에디슨이 한몫했다고 말한다. 에디슨이 주가 정보 송신기를 발명하지 않았다면, 나아가 전기가 발명되지 않았다면 주인공이 덜 바빴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문학은 상상력을 토대로 쓰인 글이지만, 실제 시대 상황이 반영된다. 그래서 우리는 그 시대를 ... ...
- 통계로 보는 필즈상수학동아 l2022년 08호
- 4명의 수학자가 수상의 영광을 안았어요. 수상자들의 출신 학교, 국적, 연구 분야 등 핵심 정보를 속속들이 알아봤습니다. [출신 학교] 필즈상 수상자들은 어느 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밟았을까요? 미국 프린스턴대학교가 64명 중 7명으로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했어요. 다음으로 미국 ... ...
- 정수론 만능 열쇠로, 고차원 케플러의 추측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문제보다 훨씬 더 많이 응용됩니다. 가령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중간에 일부 정보가 손실되더라도 원래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부호 체계를 고안하는 데 이 방법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고차원에서도 피라미드형 공 쌓기를 고려할 수 있는데, 차원이 높아지면서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아바쿠스상] 컴퓨터의 연산 불가능 연구를 선도하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할 때 균형점을 찾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구하고 인공지능 학습에 필요한 표본 크기와 정보복잡도 이론을 접목하는 등 개척하신 기술들을 여러 방면으로 활용합니다. 직관적으로 생각할 때 어떤 연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선 그 알고리듬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이면 됩니다. 하지만 연산이 ... ...
- [가상인터뷰] 박테리아씨, 제 눈에 당신이 보여요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세포 안에서 자유롭게 떠다니는데, 제 DNA는 페핀 안에 압축돼 있답니다. 그래서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죠. 이런 DNA 구획화는 복잡한 유기체만의 특징이라 절 연구한 분들은 “혁신적으로 진화했다”고 칭찬하셨어요! 거기다가 이 세포 구획마다 단백질이 생성돼 제가 이만큼 클 수 있었어요 ... ...
- 학교 밖 과학을 사랑한 예술가들 '외계공작소'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배우들의 대화만으로 가득히 구성됐다. 스페이스X니 생물 다양성이니 하는 복잡한 정보들이 계속 거론됐다. 그럼에도 관객들은 몰입했다. 배우들과 함께 웃다가도 진행자 역의 배우가 관객들에게 우주개발에 대한 의견을 묻자 활발하게 토론했다. 생소한 광경이었다. 과학 콘텐츠를 만드는 게 업인 ... ...
- [4컷 만화] 벽돌 모양 장치로 초대형 홀로그램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그만큼 처리해야 하는 정보량이 많아져요. 특히 입체인 홀로그램은 처리해야 하는 정보량이 너무 많아서 낮은 해상도로만 만들 수 있었어요. 확대하면 이미지가 흐릿해 보일 테니, 홀로그램의 크기도 작게 만들어야 했지요.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려 ‘홀로브릭’ 장치를 만들었어요.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