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민요
d라이브러리
"
전통요
"(으)로 총 1,79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HVEM)은 아파트 4층 높이인 14.5m의 거대한 위용을 자랑한다. 큰 덩치에서 강력한 전자빔을 물체에 투과시켜 반도체나 세포 속의 원자 구조까지 생생하게 관찰할 수 있다.]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공 모양의 물체에 전통 가옥에서 보던 육각형 문양이 새겨져 있다. 파란 ... ...
화학생물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1 화학생물공학이 뭐죠?화학생물공학부는 이름처럼 화학·생물·공정을 근간으로 공학을 연구하는 학부다. 공업화학, 화학공학 및 생명공학 분야를 공부한다. 전통적인 공정개발 및 설계, 공정 자동화, 유·무기재료(고분자·반도체 재료), 촉매 개발 등 원천기술을 배우고, 실용화 기술에 대한 지 ...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내 장유형은 뭘까?’지난해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장유형(enterotype)에 대한 논문이 나간 뒤 언론이 크게 다루면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어떤 장유형인지 궁금해했다. 저마다 정해진 혈액형이 있듯이 장에 거주하고 있는 미생물의 분포에 따라 장유형이 있다는 사실을 독일을 비롯한 다국적연 ... ...
화마 잡는 골목대장, 골목소방차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작다. 그러나 강하다. 자신보다 몸집이 큰 차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다. 큰 차가 갈 수 없는 길을 요리조리 누빌 수 있다. 큰 차에서는 볼 수 없는 ‘신기술’도 탑재했다. 가격은 절반에 불과하다.” 새로 나온 소형차 광고가 아니다. 올해 서울시가 개발해 동작소방서와 종로소방서에 배치한 ... ...
제11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올해로 제11회를 맞는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접수가 4월 2일부터 시작된다. 전국 초·중·고생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이 대회는 과학논술과 과학독후감 2개 부문으로 진행된다. 이번 대회 과학논술의 논제는 유엔이 지정한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에너지의 해’를 기념해 선정하였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최초의 인류는 누구이며 어떤 모습을 하고 있었을까요. 그리고 언제 나타났을까요. 이 세 가지 질문은 서로 얽혀있습니다. 2012년 현재, 최초의 인류 조상은 500만~700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서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여기에는 2000년대에 발견된 세 종이 치열한 다툼을 벌이고 있습니다.하지만 이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2011년 2월 14~16일 미국의 유명한 퀴즈쇼 ‘제퍼디’에 얼굴 없는 참가자가 나타났다. 목소리만으로 대결에 임한 이 색다른 참가자의 이름은 왓슨이었다. 왓슨의 상대는 역대 제퍼디 출연자 중 상금을 가장 많이 획득한 브랫 러터와 가장 오랫동안 연속으로 우승한 켄 제닝스. 왓슨은 이 막강한 퀴즈 ... ...
창의적인 서울을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도시를 설계한다“도시를 건축하고 설계하는 일은 별자리를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우리가 매일 밤 보는 별은 밤하늘에 떠 있는 수천 개의 별 중 하나에 불과하다. 각기 만들어진 시기도 다르다. 하지만 이들을 모아 별자리를 만들면 하나의 별도 특별한 의미를 갖게 된 ... ...
경험하라. 학교가 기회를 줄 테니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아직은 바람이 쌀쌀한 늦은 겨울에 찾아간 문산여고에는 학생들이 삼삼오오 모여 있었다. 방학 보충수업을 받기 위해 나온 학생들이었다. 자율적으로 동아리 활동을 위해 학교에 온 학생까지 하나 같이 순한 얼굴에 웃음이 가득했다. 지나가는 교감 선생님과 자연스럽게 인사하고 안부를 묻는 문산 ... ...
물처럼 꾸준하고 쉼없이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새롭게 무엇인가 시작한다는 것은 늘 두려움과 미지의 세계를 정복한다는 야릇한 희열을 동시에 느끼게 한다. 대학원에 처음 들어왔을 때도 마찬가지였다.필자는 저수지를 어떻게 이용해야 기후변화에 잘 대응할 수 있는지 계산하고 대안을 찾는 연구를 했다. 연구실에서는 저수지 말고도 다양한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