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d라이브러리
"
은하
"(으)로 총 1,32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방랑자 구상성단 무리 첫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밝혀냈다. 이 교수는 “구상성단은 우주 탄생 후 가장 빨리 태어난 천체이기 때문에 별과
은하
의 탄생, 진화 과정의 비밀을 밝힐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있다. 천문학 분야에서 고인은 단연 첫 손가락에 꼽히는 ‘베스트 필자’였다. 태양계와
은하
, 외계 행성을 넘나들며 흥미진진한 우주 이야기를 알기 쉽게 전달하는 고인의 글은 마치 옆에서 들려주는 듯 생생했다. 2006년 초에 서울 종로구 동아일보사에서 열린 과학동아 20주년 기념식에서 기자는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6000광년이나 떨어져 있다.그럼에도 류 씨는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아직까지 아무도 우리
은하
에서 암흑물질에 대한 정밀한 지도를 그린 적이 없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좀 더 가까운 곳에서 암흑물질이 발견된다면 실현 가능성은 있다.그렇다고 해도 문제가 모두 사라지는 건 아니다. 우주선에서 ... ...
태양보다 200배 큰 별 폭발 장면 잡았다 !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우주에서 형성된 별의 금속비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다. 따라서 금속비가 좀 더 낮은 먼
은하
내부에서 일어나는 또 다른 ‘쌍불안정성 초신성’의 발견을 기대해 본다. 별의 질량에 따른 운명과 초신성 폭발 별은 질량에 따라 운명이 달라진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다만 별의 진화는 여전히 ... ...
춤추면 작아져요! 난쟁이
은하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 난쟁이
은하
’는 보통
은하
보다 적은 별로 이루어진 작고 어두운
은하
예요. 이러한 난쟁이
은하
중에는 꽈배기처럼 꼬인 모습을 한 ‘난 ... 중력에 의한 파동 때문에 별이 빠져나가
은하
가 작고 길쭉한 꽈배기 모양이 되었다며, 두
은하
가 손을 맞잡은 것 같은 이 모습을‘ 우주의 춤’ ...
우주에도 거대한 장성(長城)이 있다고요?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은하
를 거의 발견할 수 없었다. 보이드는
은하
가 거의 없는 빈터라고 할 수 있다.
은하
의 90%가 우주공간의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는 걸 감안하면, 우주공간의 대부분이 텅 빈 것처럼 보이는 보이드로 채워져 있는 셈이다.보이드에 암흑에너지의 비밀이 담겨 있을지도 모른다. 현재 ... ...
한 시간에 지구 두 개를 꿀꺽!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유럽우주국의 XMM-Newton 망원경이 관측한 자료를 분석했어요. 그 결과 1H0707-495로 알려진
은하
의 중심에 있는 거대한 블랙홀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초거대 블랙홀은 빛조차 빨아들일 정도로 중력이 강해서 눈에 보이진 않지만, 그 주위에 있는 별과 가스의 움직임 등을 분석해 알아 낼 수 있답니다. ... ...
한 권으로 읽는 거대한 우주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우주론에 대한 증거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929년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은 외부
은하
에서 적색편이가 일어나는 것을 발견했고, 1965년 미국 천문학자 펜지어스와 윌슨은 우주 전체에 우주배경복사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빅뱅 우주론에 힘을 싣는 근거다. 빅뱅 우주론은 가장 확실한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각각 설치된 지름 21m짜리 KVN 전파망원경 3대가 그 주인공이다. 이 전파망원경은 주로 활성
은하
의 중심부 활동이나 나이가 많은 별의 표면에서 나오는 전파신호를 세밀하게 관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각 전파망원경으로 동시에 관측한 자료를 한데 모아 분석하는 ‘상관 작업’을 거치면 자료는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판단하고 있다. 우리
은하
안에 있는 수천억 개의 항성과 130억 년으로 추산되는 우리
은하
나이를 거꾸로 되짚어 얻은 결과다.항성들이 행성을 갖고 있을 확률은 0.1 정도로 과학계는 내다본다. 그동안 우주를 관찰한 결과 얻은 대략적인 값이다. 항성계당 거주 가능한 행성과 위성탄생할 조건에서 실제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