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맥
meal
mill
mille
d라이브러리
"
밀
"(으)로 총 639건 검색되었습니다.
1. 누가 뉴턴의 세계에 돌을 던졌나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바로 그 주인공. 그는 푸앵카레 로렌츠 스메일 요크로 이어지는 카오스의 로얄패
밀
리와는 조금 다른 길을 걸었다. 그러나 그는 영원히 이방인은 아니었다. 현재 혼돈과학은 프랙탈이라는 훌륭한 도구가 없었다면 한걸음도 나아가지 못하는 불구의 신세로 전락했을지도 모른다.맨델브로트는 학교 ... ...
우리별 1·2호 그후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지구 자기장과 자기장에 잡혀 있는 입자들의 분포
밀
도가 태양의 활동과 상당히 긴
밀
한 관계가 있음을 CPE 관측 결과에서 알 수 있었다. 이 입자들은 인공위성의 부품에 계속 부딪치므로 인공위성 내부에서는 메모리나 디스크 상에 저장된 정보가 손상을 입기도 하고 부품 수명 자체를 단축시키기도 ... ...
꽃가루의 힘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따뜻하게 하는 것이다. 탕의 관찰에 의하면 보다 원시적인 소철류로 보이는 자미아 푸
밀
라의 커다란 수술에 있는 꽃가루는 아주 작은 껍질들로 보호되고 있는데, 이 껍질이 열리면서 온도는 정확히 5℃ 증가한다고 한다. 풍뎅이는 수술이 가지는 온기와 향기 그리고 즙액에 유혹당해 이끌려 ... ...
안드로메다 은하계서 두개의 핵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지닌 현상이 얼마나 일반적인 것인지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은하계의 중심에 관한 비
밀
은 아직까지는 그 중심이 먼지나 가스로 가려져 있기 때문에 거의 밝혀지지 않고 있는데, 조만간 천체관측기술의 진전과 함께 사정이 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라우어박사와 파버박사는 안드로메다에서 새로 ... ...
잠자리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성숙해진다. 몸의 색상도 점점 변해 우화 직후와는 다른 경우가 있다. 고추좀잠자리속과
밀
잠자리속에서 그런 경향을 많이 볼 수 있다.잠자리는 성충이나 유충이나 일생동안 육식성이다. 산 계곡에 사는 잠자리무리는 주로 하루살이나 각다귀과의 곤충을 먹고 살며, 연못이나 저수지에 사는 ... ...
슈퍼컴퓨터로 초대륙 판게아의 해체 모습 재현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만드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이는 대륙을 안쪽(초대륙의 뒷쪽)에서 바깥쪽(바다 방향)으로
밀
어내는 역할을 담당한 듯하다. 시뮬레이션에서 나타난 열점이 대략 현재의 그것들과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는 점도 흥미롭다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장의 변수를 과잉결정하는 구상을 가지고 있었던 듯하다.그 경우 이론파악까지도 엄
밀
히 인과적일 것, 중력과 전자기력은 통합되어야 할 것, 소립자는 장의 일반방정식의 특별해(解)로서 출현하는 것이 될 것, 여기에 양자가설도 장의 일반방정식의 결과로서 얻어질 것 등을 요청한 것이다. 이것이 ... ...
화학- 같은 원자끼리의 결합 어떻게 가능하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고급 분자생체 내의 분자들의 구조는 매우 복잡하다. 생체 내에서는 매우 섬세하고도 치
밀
하며 융통성있는 기능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담즙에서 분비되는 산은 생체 내의 무기염류와 물의 대사에 관계한다. 예를 들어 나트륨과 칼륨의 농도를 적정하게 조절하는 기능도 이에 해당된다. 필요시에 ... ...
한국조류보호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산불조심'리본을 5만장, 쓰레기수거용 비닐봉지를 10만장이나 나눠주기도 했다.
밀
렵꾼의 총질이나 농약중독 등으로 죽어가던 새도 많이 구해냈다. 그동안 현지 주민들의 신고를 받고 달려가 병들거나 다친 새를 인수해다 구해낸게 1백50여마리 쯤 되는데, 이중에는 서울 대공원에 넘겨진 희귀조류도 ... ...
한반도 숲 식물들의 세력다툼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판단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지만, 현존하는 식물사회의 종조성을 식물사회학적으로 면
밀
히 조사해 보면 그 지역의 잠재자연식생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잠재자연식생은 국토의 자연 회복을 위한 올바른 '적지적소(適地適所)의 생태학적 정보'로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우리나라의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