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반짝 반짝 빛이 그린 그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사실을 보여 주고 있어요.또한 황제 부부의 머리에 금박으로 된 원이 보인다는
점
도 특이한데, 이것은 예수나 성모, 성인의 후광을 표현한 거예요. 하늘나라를 중시하는 마음을 나타낸 것이지요. 그림에서 사람과 사물을 특이하게 표현한 예는 다른 시대, 다른 지역에서도 볼 수 있어요. 지금부터 240 ... ...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있을 뿐 모든 역경을 딛고 끝내는 도착
점
에 도달하지요. 중세 사람들은 미로의 이런
점
을 매력적으로 느꼈습니다. 가톨릭을 믿었던 당시 사람들은 ‘고난이나 시련을 통해 깨달음을 얻어 천국에 가자’라는 의미를 담아 성당 입구에 미로를 만들었습니다. 이로 인해 예배를 드리는 곳으로 들어가기 ... ...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해밀턴은 모든 꼭짓
점
을 단 한 번만 지나는 회로와 경로를만들었다. 회로는 시작
점
과 끝
점
이 같을 때를, 경로는 다를 때를 말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오일러 회로나 경로와 달리 해밀턴 회로와 경로가 존재하는 조건은 밝혀지지 않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로 탈출의 명수를 찾아라! ... ...
밀레니엄 문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축소해 나가면
점
으로 만들 수 있다. 만약 어떤 입체도형의 표면에 닫힌 곡선을 그린 뒤
점
으로 만들 수 있다면 그 입체도형은 구와 위상이 같다는 것이 푸앵카레의 추측이다. 푸앵카레의 추측은 밀레니엄 문제 중 지금까지 유일하게 해결된 문제다.6. 버치와 스위너톤-다이어 추측1994년 영국의 ... ...
거꾸로 생각하는 방정식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배열하게 된 기원은 ‘낙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낙서란 한 개의
점
부터 아홉 개의
점
을 네모 모양으로 나열한 것을 말합니다. 고대 중국의 하 왕조를 세운 우제가 낙수라는 곳에서 치수 공사를 할 때 강에서 건져 올린 거북의 등에는 낙서의 그림이 새겨져 있었다고 합니다. 생활 속의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형제자매가 사회성을 키우는 통로 역할을 한다는
점
을 발견했다. 형제자매가 어릴 때부터 돈독하게 지내며 서로 존중하고 협동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운다는 것이다.형제자매 사이가 중요한 걸 보여 주는 또 다른 연구도 있다. 이탈리아 ... ...
수학의 영웅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만들 수 있다는 데서 시작한다. 만약 어떤 입체도형에 똑같이 닫힌 곡선을 그린 뒤
점
으로 만들 수 있다면 그 입체도형은 구와 위상이 같다는 것이 푸앵카레의 추측이다. 푸앵카레의 추측은 약 100년 동안 위상학의 가장 중요한 문제였다. 마침내 2006년 그리고 리 페렐만의 증명이 공식적으로 ... ...
올록볼록 공간도형의 세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서양에서 생일을 맞은 사람이 쓰는 고깔모자도 마찬가지다. 원뿔은 밑면이 원이라는
점
에서 밑면이 다각형인 각뿔과 다르다. 고대 이집트의 건축물로 익숙한 피라미드는 밑면인 정사각형 하나와 옆면을 이루는 삼각형 네 개로 이뤄졌다. 피라미드는 영어 철자가 pyramid인데, 이 단어는 고대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높아질 전망이다. 이 가운데 육지로 올라온 수중동물이 식물이 번성하는 습지에 살면서
점
차 대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먹이를 많이 먹을수록 덩치가 커지는 파충류 가운데는 현존하는 코끼리보다 훨씬 큰 거대동물이 출현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수컷코끼리보다 몸무게가 무려 24배 더 나가는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가장 큰 업적으로 천문학이 이론적인 공상이 아니라는 걸 확인시켜 줬다는
점
을 꼽았다. 허블우주망원경은 또 시뮬레이션에 의존하던 이론을 실제 영상으로 확인시켜 줬다. 우리가 볼 수 있는 가장 깊은 곳까지 관측함으로써 빅뱅이론의 증거도 제시했다.최근 이 교수는 미국 볼티모어 ... ...
이전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