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잡아먹혀 사라지는 경우도 허다하다.홍도와 흑산도를 찾는 철새들이 대부분 1년생이라는
점
도 아직까지 풀리지 않고 있다. 실제 홍도에서 해마다 포획되거나 관찰되는 철새들 가운데 태어난 지 2~3년 된 성조(成鳥)들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이에 대해 홍 팀장은 “일부 새들은 무리 내에 암수의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개발하는 지금과 달리 예전에는 우연히 발견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요리를 알게 됐다는
점
이다. 고추장 역시 고추를 처음 본 사람이 멥쌀을 넣고 발효시키는 요리법을 떠올려 개발한 것이 아니라, 고추를 오랫동안 저장하기 위해 여러 사람이 수없이 시행착오를 겪은 끝에 우연히 발견된 음식이다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할 벽은 더 있다. 우리 사회에서 글쓰기를 통해 소통하려는 과학자를 찾기가 쉽지 않은
점
도 어려움 중의 하나다. 사이언스온은 필자수를 30~50명 선으로 늘릴 계획이다. 하지만 연구를 주업으로 하는 연구자에게 글쓰기는 과외일이나 다름없다 보니 학교나 연구실에서 주위의 눈치를 보게 되는 것도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전작과 동일하지만, CD로 게임을 하려면 반드시 배틀넷 계정으로 로그인 해야만 한다는
점
이 달라졌다. 일부에서는 블리자드가 스타크2를 온라인 게임으로 전환하면서 서비스를 부분적으로 유료화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올 6월 출시를 앞둔 스타크2의 귀추가 주목된다. 글 이영혜 기자 yhlee ... ...
태평양을 넘어 하와이를 향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화려한 하늘색으로 아름답다. 하지만 배로 올려지면 색소판이 작동되지 않아서인지 검은
점
들만 남고 화려한 색상은 사라진다. 자연의 생명체가 죽어서 자신의 빛을 잃는 것은 아쉽지만 우리에겐 신선한 단백질 공급원이다.하와이에만 서식하는 하얀 새가 날아왔다. 이 새는 생긴 모양과는 다르게 ... ...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그림과 같이 ‘ㄴ’ 모양의 도형을 그린다. 그리고 그 위에
점
을 찍는다. 그린 도형과
점
을 순서대로 하나씩 연결하면 미로를 그릴 수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로 탈출의 명수를 찾아라!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 ...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보세요. 총 9번 만나지요? 이미로는 아무리 용을 써도, 아무리 뛰어난 수학자가 와도 도착
점
까지 갈 수 없습니다.정말인지 궁금하신 심사위원 분들은 미로 A와 B의 길을 찾아보세요.탈출할 수 있는 미로인지 없는 미로인지 알려 주는 이 이론을 조르당 곡선 정리라고 해요. 이 정리는 미로뿐 아니라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쓰이기도 한다.한편 작다는 것을 나타낼 때는 나노라는 말이 자주 쓰인다. 나노는 소수
점
아래로 9번째 자리에 1이 붙는 작은 수다. 나노라는 용어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난쟁이 ‘나노스’에서 가져왔다.나노는 마이크로보다 1000분의 1만큼 작고, 밀리보다는 100만 배나 작다. 머리카락 1가닥의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있어야 했는데, 이를 위해 사용하던 기호를 0이라는 수로 인정한 것이 인도인들의 위대한
점
이다.인도의 숫자와 위치 원리의 편리성, 실용성을 가장 먼저 받아들인 사람들은 아라비아인이었다. 인도에서 만들어진 숫자는 아리비아인의 손을 거쳐 아랍 제국의 일부였던 스페인을 통해 가장 먼저 ...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따라 이동하는 암 슬라이딩형을 결합했다. 그래서 여기저기 닿지 않는 곳이없다. 특이한
점
은 건물 중간중간마다 건물을 둘러싸는 레일을 만들어 크레인이 그 레일을 타고 빙글빙글 돌아갈 수 있도록 했다는 것이다. 게다가 크레인이 원하는 위치에 서면 세워져 있던 팔을 내리면서 동시에 쭉 뻗을 ... ...
이전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