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똑똑해서 슬픈 베르테르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모방 자살 현상에 주인공 베르테르의 이름이 붙었다.지난 4월 11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표
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자살한 대학생은 한해 평균 230명이다. 매년 200명 안팎이 자살하는 것에 비해 2008년에는 대학생 자살자 수가 332명에 이른다. 전문가들은 이 해에 안재환, 최진실 같은 유명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시간은 ‘잠깐’이었다. 일본 문부과학성이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교과서 검정결과를
발표
하자 두 나라의 관계는 또 다시 급속도로 냉각됐다. 일본의 억지 주장을 잠재울 묘수가 없을까 고민하던 찰나, 뜻밖에도 국회로부터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다. 정부가 독도에 종합해양과학기지(이하 ... ...
글로벌 벤처 내 손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결합한 아이디어로 주목을 끌었다.“EPC에서 좋은 평을 받으니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발표
가 끝나고 나온 질문을 통해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었습니다. 한의학 정보를 쉽고 친근한 방식으로 사람들에게 알리는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입니다.”이 행사는 참가자들이 네트워크를 만드는 데도 많은 ... ...
3D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한 태양폭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11’에서 “3D 시뮬레이션 결과 자기장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태양폭발이 일어난다”고
발표
했다. 연구팀은 태양표면에서 자기장에 의해 플라스마가 이동하며 고리 모양의 ‘플라스모이드’를 형성한다고 밝혔다.플라스모이드는 플라스마분출물 덩어리로 자기선 고리로 이뤄진 ‘자기 덮개’에 ... ...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포스터 교수의 발견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를 지난해 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에
발표
했다. 연구자들은 멜라놉신을 만들지 못하는 쥐(따라서 ipRGC가 제기능을 못한다)에서 배외측슬상핵에 있는 뉴런의 절반 정도가 빛자극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ipRGC가 ... ...
입학담당관 전형 46%로 확대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다른 영재고 입학담당관 전형 지원자들과 달리 지필평가뿐 아니라 개인연구주제
발표
도 준비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대구과학고는 입학담당관 전형인 거경 전형이 모집정원의 40%(36명)로 늘어났다. 거경 전형은 서류와 서류에 근거한 면접 평가로 진행된다. 이는 다른 영재고 입학담당관 ... ...
존 밀너, 2011년 아벨상을 받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밀너는 미해결 문제의 증명을 바탕으로 매듭곡선의 곡률에 관한 논문을 써서 수학연보에
발표
했다.존 밀너가 대학교 1학년 때 증명한 페어리-밀너 정리. 밀너가 해결한 문제는 폴란드의 위상수학자 카롤 보숙이 제시한 증명되지 않은 추측으로 매듭이론 분야의 대표적인 미해결 난제였다. 실뜨기 ... ...
Part 2. 잘 살고 있니? 고기공장에 갇힌 가축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항생제 내성이 훨씬 심각할 수 있다는 뜻이다.박용호 서울대 수의대 교수는 2007년
발표
한 보고서에서 “질병 치료보다 질병 예방 및 성장 촉진 목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가 전체의 42~53%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항생제를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다는 얘기다.동물은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자기장이 얽혀 진행하는 파동이라는 놀라운 제안을 했다. 그는 이 결과를 1865년에
발표
한 ‘전자기장의 역학적 이론’에 집대성했다. 이 책은 뉴턴의 ‘프린키피아’를 잇는 인류의 위대한 지적 성취다. 맥스웰이 죽은 지 8년이 지난 뒤 독일 물리학자 하인리히 헤르츠가 마침내 맥스웰의 주장대로 ... ...
선글라스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풀었다. 아인슈타인은 빛이 광량자(광자)라는 입자의 연속적인 흐름이라는 광량자설을
발표
해 192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이후 톰슨과 데이비슨 등에 의해 빛의 입자설이 실험으로 증명됐다. 결국 빛은 파동적 성질과 함께 입자적 성질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림 1]주로 여름철에 ... ...
이전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