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운동 능력이 3배 향상됐다는 연구결과를 지난해 11월 11일 과학학술지 ‘뉴롤로지’에
발표
했다. TMS를 이용했을 때보다 효과가 16% 높았다.“우리 몸은 양쪽 뇌 중 망가진 쪽의 기능을 더 떨어뜨리고 멀쩡한 반대편을 더 활용하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래서 시간이 갈수록 마비 증상이 더 심해지죠 ... ...
“자기주도학습 전형 50%로 확대”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이어진다.오는 11월 5일에 자기주도학습 전형 합격자와 함께 과학창의성 전형 대상자를
발표
한다. 이때 과학창의성 전형 대상자는 모집 정원(70명)의 2배수다. 과학캠프는 어떻게 치르는가?우리 학교의 과학캠프는 숙박 없이 11월 18일~19일, 2일간 진행한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도구 ... ...
Part 1. 눈과 귀 사로잡는 오디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아닌 것이다. 디너 교수는 이 같은 결과를 ‘성격사회심리학 저널’ 2010년 7월호에
발표
했다.이런 경향은 실험에서도 증명됐다. 미국 코넬대 연구팀은 164명의 사람들에게 물건을 고르게 한 뒤 그들이 고른 물건보다 더 나은 조건의 물품이 있다는 정보를 줬다. 그러자 다짜고짜 새 물건을 산 사람들은 ... ...
게보린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검사를 실시해줄 것을 요구했다.건약이 이런 주장을 펼치게 된 근거는 유엔이 2005년에
발표
한 ‘통합 약물(Consolidated List of Products) 보고서’다. 이 보고서는 위험성이 높은 약물들이 각 국가에서 어떤 역사로 퇴출되고 규제를 받았는지를 담고 있는데, 여기에 IPA가 포함돼 있다고 주장했다.또 비영리 ... ...
내 몸에 맞는 생체시계 공부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nm에 해당하는 푸른색 빛이 멜라토닌 분비를 가장 잘 막는다고 2001년 ‘신경과학저널’에
발표
했다. 브레이너드 교수팀이 새벽 2시 잠을 자는 실험자들에게 푸른빛을 쪼였더니 각성 주기가 3시간이나 빨라졌다. 그는 “눈에서 빛을 받아들이는 수용체 단백질이 특히 푸른빛에 민감하기 때문에 이런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과학발전에도 이바지 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 미라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해 조만간
발표
할 계획이다. 김한겸 교수는 “2009년 기증돼 MD-CT와 X선으로 조사한 정보를 분석 중”이라며 “1년 이상 연구하며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한국 미라 ... ...
네안데르탈인, 정말 현생인류 만났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더 넓은 지역에 살았으며, 현생인류와도 더 오래 공존했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논문이
발표
됐다. 러시아과학원 고고학과 파벨 파블로프 박사팀은 “기존보다 훨씬 북쪽인 북위 약 65도에 위치한 러시아 비조바야 지역에서 네안데르탈인의 중기 석기 유적인 무스테리안 석기를 발견했다”며 “이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경우 분열이 멈춘 사이 고장난 부분을 고칠 시간을 벌 수 있다. 1993년 저널 ‘셀’에
발표
된, p53과 WAF1의 연관성을 밝힌 논문은 지금까지 ‘셀’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이라고 한다. 한편 세포가 돌이킬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p53은 세포가 자살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이를 아포토시스(apoptosis ... ...
빛의 속도로 변화하는 시대의 생존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2007년 애플에서 아이폰을
발표
하고, 구글에서 안드로이드를
발표
하면서 본격적인 스마트폰 시장이 열렸다. 빛의 속도로 변화하는 세상을 살아가며 너무 빠른 변화에 당황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변화를 살펴보면 다 그만한 이유가 있다. 네트워크의 힘으로 더 많은 연구를 더 ... ...
과학 고전 시리즈물 부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현상을 함께 연구하고 있었다. 이 자리는 국내연구자들이 중력파에 관한 연구 성과를
발표
하고 국제 동향을 나누기 위해 마련한 자리였다.중력파는 아인슈타인이 우주에 존재하리라 예측한 물리현상이다. 마치 물에 던진 돌이 수면에 파문을 일으키듯이, 천체와 같이 거대한 중력원이 우주 공간에서 ... ...
이전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