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훈련
가르침
교훈
교시
양성
트레이닝
훈육
뉴스
"
교육
"(으)로 총 6,24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화로 미래로 과학나라 시즌2' 본격적인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4.07.01
1곳, 여수 1곳)에 전문 과학강사와 한화 임직원봉사단을 파견해 전문 과학실험‧실습 기본
교육
을 진행하고 있다. 오는 9월부터는 한화 ‘찾아가는 과학교실’을 본격적으로 시행,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강화해갈 계획이다 ... ...
[과학계 소식] 한국연구재단 단장 인사 등
과학동아
l
2014.06.30
‘UST 계약학과’ 설치를 골자로 한 삼자간 협약을 체결했다. KIST는 “두산전자 직원 역량
교육
을 위해 나노재료공학 전공 박사 학위과정에 계약학과(산업체 특별전형)를 신설하여 2014년 후기부터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한국연구재단은 국책연구본부 신약·차세대바이오 분야 단장에 ... ...
[기자의 눈]‘우주인 트라우마’ 모른 척 하는 정부
과학동아
l
2014.06.26
사실상 ‘우주인 트라우마’에 빠진 상태다. 예비우주인으로 선발된 고산 씨가 창업
교육
가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지만 우주인에 대한 취재 요청에는 일절 응하지 않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정작 논란의 일차적 원인 제공자인 미래창조과학부는 우주인 트라우마에 대해 ... ...
“구글X 프로젝트, 100만분의 1 성공확률에 도전”
동아일보
l
2014.06.26
몬테소리라는 이름의 의사가 1800년대 말 ‘아이들의 호기심을 존중하고 재미있는
교육
을 한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세운 학교의 유치원이다. 메이어 CEO는 “래리와 세르게이는 ‘왜?’라는 질문을 일상적으로 던지는 곳에서 자란 이들”이라며 “권위에 의문을 갖고 사회적으로 당혹스러운 질문도 ... ...
[단독] 8월부터 한국 우주인은 없다
과학동아
l
2014.06.26
8)도 2011년 항우연을 퇴사한 뒤 창업 관련 벤처기업인 타이드인스티튜트 대표를 맡아 창업
교육
을 하다 최근 3D 프린팅 벤처회사를 세우는 등 진로를 틀었다. ... ...
수학이 없는 나라로 가고 싶다던 아이는 어떻게 됐을까?
수학동아
l
2014.06.25
내용은 수학동아 7월호를 참고하자. * 수학동아 클리닉은 2013년 1월부터 한국수학
교육
학회와 수학동아가 수학에 흥미가 없고 자신감을 잃은 학생들을 위해 마련한 프로그램이다. 올해 3월부터 6월까지 진행한 수학동아 클리닉 봄학기 프로그램은 문제 풀이 위주의 수학 수업에서 벗어나 ... ...
자동차를 수소로 달리게 하려면?
과학동아
l
2014.06.25
각광받고 있다. 강정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27일 오후 6시 30분 대전
교육
과학연구원에서 ‘물과 수소 기술’이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강 교수는 미래에 인류가 생존하기 위해 미리 해결해야 하는 문제들을 알아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인 수소에너지 기술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에 ... ...
이론
교육
부터 전기제작 실습까지…교실에서 만나는 '친환경에너지'
동아사이언스
l
2014.06.24
서울 구로구의 지구촌학교를 시작으로 매월 1회씩 서울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를 방문,
교육
을 이어가고 있다. 지멘스그린스쿨에 참가한 이담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 - (주)한국지멘스 제공 수업은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고 친환경에너지 및 신재생에너지를 직접 만들어 보는 ... ...
[World Cup Brazil 2014: 대~한민국!] 2·3차전 경기장 기후, 승패에 어떤 영향 미치나
과학동아
l
2014.06.19
환경에 적응 여부가 2차전의 승패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서상훈 연세대 체육
교육
학과 교수는 “인체는 체온 조절을 통해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습도가 높으면 땀 증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열 방출에 어려움이 생긴다”면서 “체온 상승은 스트레스 증가로 이어져 경기력에 악영향을 ... ...
과학 수업 줄어드는데 과학적 소양 키울 수 있나
과학동아
l
2014.06.18
개정안의 결정 과정과 관련해 “문·이과 통합형 교과과정의 개정 연구위원 11명 전원이
교육
학자고 이중 10명이 문과 출신”이라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동 연구위원회에 이공계 출신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해야 한다”며 해결책을 제시했다. ... ...
이전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