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보도블록과 도서관, 어떤 것을 먼저 만들까?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연말이 되면 집 앞 보도블록을 바꾼다. 멀쩡해 보이는데도 바꾼다. 그렇지만 정작 동네에 필요한 도서관이나 공부방은 턱없이 부족한 것 같다. 보도블록을 바꾸는 대신 차라리 도서관을 짓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이런 때 막연한 이유 대신 숫자로 설명하면 좋을 텐데….이런 생각에 경제학자들은 ... ...
- 인공눈, 누가 만들까?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사이언스’ 2008년 2월 29일자에 발표했다.눈 만드는 세균 발견1975년, 미국 위스콘신대의 대학원생인 스티브 린도우는 식물에 냉해를 입히는 세균인 ‘슈도모나스 시링가이(Pseudomonas syringae )’가 눈을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이 세균은 세포벽에 물을 끌어 모으는 특이한 단백질을 가지고 있다. ...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학부 때 철학과목인 형이상학에서 D학점을 받은 탓에 불합격했다. 결국 그는 피츠버그대 대학원에 진학해 미생물학을 연구했다.1963년 박사학위를 받은 보이어는 예일대에서 박사후과정을 하게 되는데 여기서 연구주제가 바로 제한효소였다. 1960년대 발견된 제한효소는 박테리아가 외부에서 들어온 ... ...
- 학교생활기록부를 100배 더 알차게!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및 인증도 기록한다. 입학사정관이 가장 관심을 갖는 내용은 역시 교과 성적이다. 어떤 대학이든 학업 능력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교과 성적의 변화는 발전 가능성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한다. 따라서 교과 성적은 전과목이 우수하면 좋지만, 여의치 않다면 자연계열의 경우 ... ...
- 산타수송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4호
- 이어져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실제는 그렇지 않아요. 미국 미시간대학교의 마이클 플래너간과 마이클 시바크는 비행기와 자동차의 사고를 비교해 2003년 과학저널 ‘사이언티스트’에 발표했어요. 자동차는 사고가 덜 발생하는 시골 국도에서의 교통사고 발생 자료를, 비행기는 사고의 ... ...
- 겨울 간식 삼총사 찐빵, 호떡, 붕어빵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4호
- 찬 바람이 서늘하게~, 두 뺨을 스치니~, 아…, 춥다~. 따뜻한 찐빵, 호떡, 붕어빵이 먹고 싶은데…, 오늘도 성냥 한 갑 팔지 못했어. 추운데 성냥 불이라도 켜야겠다.‘탁! 탁! 또로록~.’아이고…. 힘이 없으니 성냥 불도 붙이기 힘드네. 다행이 성냥이 부러지진 않았으니 주워서 써야겠다. 응? 그런데 ... ...
- 하늘에서 만드는 대동여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4호
- 똑같은 물체라도 보는 각도에 따라 전혀 다르게 보인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왼쪽 사진이 건물을 위에서 바라 본 모습이란 걸 한 눈에 알아 본 친구는 많지 않을 거예요. 건물 하나만이 아니라 주변 지형까지 한꺼번에 내려다 보면 어떤 모습일까요?비행선으로 하늘에서 유적지를 찍어 온 항공 사진 ... ...
- 1만 년 전 매머드가 살아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4호
- 4톤에 달할 정도로 엄청나게 크지요. 러시아 사하공화국 매머드 박물관과 일본 킨키대학교 연구팀은 시베리아에서 발견한 매머드 화석으로 복제를 시도했답니다. 연구팀은 화석에서 DNA를 추출해 코끼리의 난세포에 이식한 뒤, 암컷 코끼리 자궁 속에서 매머드를 키워 낼 계획이에요.연구팀은 DNA ... ...
- 독약도 소화시키는 점박이응애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4호
- 도와 지구 정복에 나서지 않을래?지금은 제 코가 석자예요. 연구팀의 리처드 클라크 유타대학교 교수가 우리의 해독 유전자를 바꾸거나 비활성화시켜 우리가 먹는 걸 방해할 계획이라고 발표했거든요. 사람들이 제 식성을 괜히 분석한 게 아니었어요. 저를 없앨 궁리를 했던 거라고요. 지구 정복은 ... ...
- 화학에 만화를 더하면 펑! 박동곤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3호
- 생각해요. 화학 기호 때문에 더 생소하게 느껴지지요. 특히 인문계나 예체능계 대학생은 더 심하답니다. 그런데 초등학생 때는 누구나 과학에 관심이 높았거든요. 그래서 어떻게 하면 초등학생 때 가졌던 과학에 대한 관심을 다시 끌어 낼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누구나 만화를 좋아한다는 사실을 ... ...
이전54854955055155255355455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