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2013년 치료백신으로는 처음으로 유럽에 시판될 것으로 알려졌다. 강창율 서울대 약학
대학
교수는 “임상 중인 유방암치료백신들이 안전성과 효과 면에서 좋은 결과를 내고 있다”고 전했다. 강 교수가 HER2/neu 단백질을 이용해 만든 유방암치료 DNA백신도 현재 임상 1단계에 있다. 강 교수는 이어 ... ...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 “제올라이트 연구로 사이언스 10대 성과에 뽑혔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명은 유지할 수 있지만 지금은 한 명 뿐이다. 그래도
대학
원 학생들이 워낙 열심이다.“
대학
들이 국내에서 포닥을 하면 연구결과가 좋아도 교수로 잘 뽑아주지 않아요. 그러니 우수한 박사들이 오지 않죠.”최근 서울대 공대에 수시로 합격한 16살 영재학생이 결국 연대 치대를 택했다는 뉴스에 ... ...
숫자 세는 똑똑한 비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적이 있어요. 그런데 사람들은 기억을 못하나 봐요. 2005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 듀크
대학
교의 에릭 저비스 교수팀은 새의 뇌가 포유류의 뇌와 매우 비슷하다고 신경학 저널 ‘네이처 리뷰스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주장했어요. 저비스 교수는 새대가리는 이제 칭찬으로 받아들여야 ... ...
상금 100만 달러를 잡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미국 스탠퍼드대, 영국 캠브리지대 등 17개국에서 각국을 대표하는 수학교수와 연구원,
대학
원생들이 참가했다. 모두 지도교수의 추천서와 사전 심사를 거쳐 뽑힌 베테랑 연구자들이다.올해로 2회를 맞이하는 ‘포스텍 국제 겨울학교’는 매년 하나의 연구주제를 정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강 교수는 해오던 연구를 마무리할 곳을 찾지 못해 고민하고 있었다. 그런데 다행히
대학
총장이 3년 동안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주기로 약속했다.사실 강 교수는 자신이 평생 모은 씨앗을 고려대에 기증하기로 했다.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엄청난 생물자원을 후학들을 위해 선뜻 내놓은 것이다.[➊ ... ...
신나게 꿈꾸고, 치열하게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위해 성적을 끌어올릴 정도로 성실함을 갖췄다는 점을 충분히 부각시켜야 해. 그리고
대학
에 가면 부족한 공부를 어떻게 하고 세상을 보는 안목을 어떻게 키워나갈 것인지를 써야지.”자기소개서에는 스스로 자신의 부족한 점을 메우기 위한 계획을 쓰는 것이다. 잘못하는 것을 일부러 빼고 숨길 ... ...
비전을 솔직하게 쓰고 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벌써 KAIST에서 열심히 생활하는 그의 모습이 보이는 듯했다. “신소재공학을 공부해서
대학
원에 갈 거예요. 그리고 KAIST 안에 있는 연구소에서 열심히 연구하고 싶어요.” 이현종 군의 꿈을 응원한다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학부 때 철학과목인 형이상학에서 D학점을 받은 탓에 불합격했다. 결국 그는 피츠버그대
대학
원에 진학해 미생물학을 연구했다.1963년 박사학위를 받은 보이어는 예일대에서 박사후과정을 하게 되는데 여기서 연구주제가 바로 제한효소였다. 1960년대 발견된 제한효소는 박테리아가 외부에서 들어온 ... ...
학교생활기록부를 100배 더 알차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및 인증도 기록한다. 입학사정관이 가장 관심을 갖는 내용은 역시 교과 성적이다. 어떤
대학
이든 학업 능력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교과 성적의 변화는 발전 가능성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한다. 따라서 교과 성적은 전과목이 우수하면 좋지만, 여의치 않다면 자연계열의 경우 ... ...
냄새 맡는 능력이 인류를 살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사라지고 호모 사피엔스가 번성한 이유가 냄새를 맡는 능력 때문이래요. 독일 튀빙겐
대학
교의 카테리나 하르바티 교수가 참여한 국제 연구팀은 고성능 영상검색 기술로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 화석의 뇌 구조를 분석했어요.그 결과 호모 사피엔스는 네안데르탈인보다 언어와 기억, 사회적 ... ...
이전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