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뉴스
"
지점
"(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스트롱 태웠던 달 착륙선 '이글' 아직 달 궤도 돌고 있을 수도
연합뉴스
l
2021.08.02
착륙선은 이글호가 유일하다. 미도르 연구원은 처음에는 달 표면에서 이글호의 추락
지점
을 찾는 것이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생각으로 연구에 착수했다. 지난 2012년 NASA가 달 궤도에 위성을 보내 달의 상세한 중력장 변화를 파악한 '그레일(GRAIL) 프로젝트'의 자료와 행성이나 달 주변의 우주선 ... ...
미 알래스카 앞바다서 규모 8.2 강진…쓰나미 경보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28일(현지시간) 오후 10시 15분경 알래스카주 페리빌에서 남동쪽으로 약 104km 떨어진
지점
에서 규모 8.2의 강진이 발생해 알래스카주에는 쓰나미 경보가 발효됐고, 태평양 전역에 대한 감시도 강화됐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진앙의 깊이는 32.2km이다. 8.2의 강진이 발생한 직후 규모 6.2와 5. ... ...
"한국이 유인 우주탐사 소외되지 않으려면 두 번째 우주인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7.28
L4가 태양에서 방출되는 방사선 관측과 코로나질량방출(CME) 등 우주기상 관측에 유리한
지점
이라며 이 지역에 위성을 보내면 한국의 심우주 탐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황 책임연구원은 “이곳에서의 연구를 통해 태양방사선 대비 역량을 높일 수 있고 태양에서 CME 등 지구 자기장에 영향을 ... ...
우주 다녀온 브랜슨도 베이조스도, 우주비행사 인정은 못 받을 듯
동아사이언스
l
2021.07.25
즐거워하고 있다. 블루오리진 제공 이달 11일(현지 시간) 지구 상공 86.1km(53.5마일)
지점
까지 비행하는 데 성공한 리처드 브랜슨 영국 버진그룹 회장도, 20일 고도 107km(66.5마일)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온 억만장자 제프 베이조스도 미 연방정부로부터 우주비행사로 인정받지 못할 전망이다. CNN 방송과 BBC ... ...
지구 밖 첫 지진파 연구로 화성 내부 구조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지각 두께를 최소 20km에서 최대 72km 정도로 추정했다. 연구진은 인사이트의 착륙
지점
바로 밑 지각의 두께가 약 8km인 층과 두께 약 12km정도의 층이 있고 그 아래 19km 두께로 같은 지각이거나 암석층인 맨틀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지구 지각 두께는 바다판에서는 약 5~10km, 대륙판에서 40~50km인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우주의 '괴물' 블랙홀
2021.07.22
되는 이른바 특이점이 있어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수학적인 기술로는 설명할 수 없는
지점
이 존재한다. 이는 중력붕괴를 겪는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영국의 로저 펜로즈는 이와 관련된 연구결과로 2020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사건의 지평선을 지나 특이점에 도달하는 ... ...
솔잎으로 대기오염도 측정한다…표준화 통해 유사 연구 활성화
연합뉴스
l
2021.07.21
수 있는 침엽 중에서 대표적인 솔잎을 활용했다. 대기 오염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
에서 주변의 솔잎을 채취해 실험실로 옮긴 후 오염도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됐다.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진은 솔잎을 활용해 대기 오염도를 분석하면 측정기기를 가져갈 수 없거나 측정소가 없어 ... ...
블루오리진과 버진갤럭틱 우주관광 뭐가 다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탄 유인 캡슐을 발사체에 싣고 지상에 설치된 발사대에서 수직으로 날아오른 이후 목표
지점
에서 유인 캡슐을 분리해 고도 100km 안팎의 준궤도 이상 오르는 발사체다. 이날 베이조스가 탑승한 뉴 셰퍼트 크루 캡슐은 해발 고도로 107km까지 올랐다. 반면 비행기 모양의 VSS 유니티는 모선에 매달려 ... ...
11분간 짧은 우주여행, 무중력 3분 체험하며 지구 내려다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가속한다. 탑승자들은 지구 중력의 3배를 몸으로 느끼게 된다. 3분이 지나면 고도 76km
지점
에서 캡슐이 발사체에서 분리된다. 탑승자들이 무중력을 느끼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이때 탑승자들은 벨트를 풀고 무중력을 만끽하게 된다. 가로 107cm, 세로 71cm의 창을 통해 지구와 우주의 아름다운 광경을 ... ...
매년 큐비트 수 2배 ‘2차 양자혁명’ 시작됐다…한국 수준은 어디까지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큐비트 50개로 양자컴퓨터 칩인 ‘시커모어’를 만들어 슈퍼컴퓨터의 한계를 뛰어넘는
지점
으로 불리는 ‘양자우월성’에 세계 최초로 도달했다. IBM이 운용 중인 65큐비트 양자컴퓨터용 칩 ‘허밍버드’. IBM은 2023년 큐비트 1121개로 만든 ‘콘도르’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IBM 제공 IBM은 현재 6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