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뉴스
"
지점
"(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상온 초전도체 시대 열릴까
2021.09.01
4.2K로 내려가는 순간 전기저항이 사라지는 초전도체가 되는 현상(이런 변화가 일어나는
지점
을 초전도 임계온도라고 부른다)을 발견한 뒤 내로라하는 물리학자들이 이를 설명하는 이론 연구에 뛰어들었지만 다들 쓴맛을 보고 떠났다. 거의 반세기가 지난 1957년 미국 일리노이대 존 바딘 교수와 ... ...
D-60, 15년 미뤄진 인류 최대 우주망원경 마침내 발사장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8.27
STScl)가 JWST의 지상 관제를 맡아 경로를 모니터링한다. JWST는 목표
지점
에 날아가는 동안 접혀있던 길이 6.5m의 거대한 거울도 펼친다. 거울은 지름 1.32m인 육각형 거울 18개를 이어 붙인 독특한 구조로 JWST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거울 여러 개를 이어 붙인 것은 멀리 떨어진 천체에서 나오는 ... ...
일 후쿠시마 오염수 연안방류 대신 원전서 1㎞ 떨어진 원거리 방류 선택
동아사이언스
l
2021.08.25
원거리 방류는 5호기 앞바다의 암반을 뚫어 해저 터널을 건설한 후 해변에서 1km 떨어진
지점
에서 방출하는 방식이다.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먼바다에 방출하는 쪽이 희석한 오염수의 확산을 촉진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오염수가 빠르게 확산할수록 농도가 떨어진다는 ... ...
[과학게시판] GIST, 2021학년도 하반기 학위 수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22
관측 정보를 한눈에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해양기상정보포털에서 서비스한다. 원하는
지점
의 상세한 해무 정보를 시간과 공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해무 예측정보는 최대 48시간까지 1시간 간격으로 제공된다 ... ...
아틀라스 혜성, 5천년 전 태양 방문한 혜성서 쪼개진 일부
연합뉴스
l
2021.08.20
혜성은 당시 태양에서 1억6천㎞ 이상 떨어진 곳에서 태양 쪽으로 이동 중이었다. 이
지점
은 모 혜성이 쪼개지기 전에 통과했던 곳보다 훨씬 더 바깥쪽에 있다. 예 박사는 "이 정도 거리에서 쪼개졌다면 5천 년 전 태양을 더 가까이서 통과할 때 어떻게 살아남았는지 큰 의문이 남는다"면서 "장주기 ... ...
“20초 간 격렬하게”…물리학으로 입증한 바이러스 제거용 손 씻기의 정석
동아사이언스
l
2021.08.20
파동 운동을 하는 수리물리 모델로 만들었다. 이를 토대로 물이 파동 운동을 할 때 각
지점
에서 입자의 운동에너지를 계산했다. 그 결과 물 입자의 운동에너지가 크고 지속 시간이 길수록 손에 붙은 바이러스가 잘 떨어져 나갔다. 특히 바이러스가 떨어져 나가는 데 필요한 최소 시간은 20초였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국제 사회는 허위정보에 어떻게 대처하는가
2021.08.18
있다. 머지않아 한국에서도 청소년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 비슷한 일이 일어날 것이다. 이
지점
에서 ‘루머를 앞선 팩트’ 캠페인의 교훈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즉 백신 접종 관련 팩트체크가 완료된 허위정보를 국내는 물론 백신 접종이 늦어진 나라에 알리는 것이다. 그러면 허위정보 확산을 미리 ... ...
파이(π) 값 소숫점 아래 62조8000억 번째 자리까지 알아냈다…세계 기록 경신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아래 15번째 자리까지 사용하면 보이저 1호가 지구에서 250억 마일(약 402억km) 떨어진
지점
에 있을 때 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둘레 오차가 1.5인치(약 3.8cm) 수준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NASA는 450억 광년인 우리은하의 둘레를 양성자 크기(1000억분의 1m)보다 작은 오차로 계산하는 데는 원주율이 소수점 ... ...
[표지로 읽는 과학] 날랜 다람쥐 나뭇가지 오가는 비밀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8
도약하는 장면 96회를 고속 카메라에 담아 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다람쥐는 도약하는
지점
이 약하면 더욱 조심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삼고 있음을 발견했다. 다람쥐는 가지가 구부러져 있다면 구부러진 곳을 밟기 전에 먼저 뛰는 모습을 보였다. 밟다가 가지가 부러지기라도 하면 위험에 ... ...
나쁜 기억 제거해 PTSD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7
처음 실험으로 확인됐다. 사이언스 포토 라이브러리 제공 기억이 신경세포(뉴런)의 연결
지점
인 ‘시냅스’에 저장될 것이라는 ‘기억저장 시냅스’ 가설을 2018년 실험을 통해 처음 확인한 국내 연구진이 이번에는 공포기억을 이용해 기억저장 시냅스의 존재를 한 차례 더 명확히 밝혀냈다. 또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