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뉴스
"
세기
"(으)로 총 2,39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마지막회)밤하늘은 왜 어두울까
2022.04.28
지구를 밝힐 것이다. 그 결과 밤하늘은 무한히 밝아야 한다. 이것이 올베르스의 역설로 19
세기
독일의 천문학자 하인리히 올베르스에서 따 온 말이다. 올베르스의 역설을 들여다보면 밤하늘이 어두운 것은 우리 우주의 물리적 특성과 큰 관련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즉, 우주가 정적이고 무한히 ... ...
[기고]지금은 '유리의 시대' 혁신은 계속 된다
2022.04.28
유리 안경을 쓰게 되면서 유럽의 과학적 발전을 이끌게 된다. 17
세기
에 이르러서는 망원경과 현미경이 연이어 발명되면서 그 용도는 더욱 확장했다. 돌이켜보면 인류가 시력의 한계를 넘어 다른 대상을, 먼 우주를 보게 된 것도 유리 덕분이라 할 수 있겠다. 산업화와 함께 유리 기술의 혁신도 ... ...
대한수학회 교육상에 이석종 충북대 교수·최건호 KA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4.25
왼쪽부터). 대한수학회 제공 이번 연구발표회에서는 보형형식의 주기 연구를 통해 21
세기
정수론 분야 최대 난제로 알려진 ‘L함수’ 특이값을 이해에 한 걸음 다가가게 한 것으로 평가받는 최영주 포스텍 수학과 교수가 기조강연에 나선다. 총 177편의 논문이 발표된다. 김민형 영국 에든버러 ... ...
인류 역사상 최대 규모 지진 3800년전 칠레 북부에서 일어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4
지진과 쓰나미는 인간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재앙적인 사건 중 하나다. 19
세기
시작된 지진 관측 역사상 가장 큰 지진은 1960년 5월 22일 칠레 남부에서 발생한 발디비아 지진으로 분석된다. 미국지질조사국에 따르면 발비디아 지진은 규모 9.5를 기록했다.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는 칠레 남부와 ... ...
[주말N수학] 러셀의 일격
2022.04.23
‘두 집합의 각 원소를 일대일로 대응할 수 있다면, 두 집합의 크기는 같다’입니다. 18
세기
영국의 철학자 데이비드 흄의 이름을 따서 ‘흄의 원리’라고 부릅니다. 흄의 원리는 논리학의 기호들로 아래와 같이 기술할 수 있습니다. 이 식은 프레게가 저서 《산술의 기본 법칙》에서 소개한 다섯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미생물 대사물질 생산 최적화하는 밸브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15
전사할 때 합성이 끝나도록 조절하는 서열이다. 연구팀은 전사종결부위를 통해 대사회로
세기
를 수도꼭지처럼 조절해 대사물질 생산을 최적화하는 대사밸브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31일 국제학술지 ‘핵산 연구’에 실렸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최영재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현대화학의 시조, 반핵 운동가 라이너스 폴링
2022.04.14
큰 영향을 미친 것과도 비슷하다. 실제로 화학 분야에서 그런 일이 일어났다. 화학이 20
세기
의 현대 화학으로 자리 잡은 것은 양자역학의 원리로 화학결합의 비밀을 규명했기 때문이다. 화학은 원소들 간의 결합에 관한 학문이고 이 과업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람이 미국의 물리화학자인 라이너스 ... ...
10일 새벽 경북 영덕 동쪽서 규모 3.4 지진 올 들어 가장 강력해
동아사이언스
l
2022.04.10
특히 고층 건물에 있는 사람이 현저하게 느끼며 정지해 있는 차가 약간 흔들릴 수 있는
세기
다. 지진을 느꼈다고 하는 신고는 경북에서 10여건 접수됐으나 붕괴 등 피해 신고는 없었다. 강원도에서는 진도 2의 진동이 감지됐다. 진도 2는 조용한 상태나 건물 위층의 소수만 진동을 느끼는 수준이다. ... ...
[프리미엄 리포트] 암흑물질을 찾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22.04.09
전 세계 95개국, 600개 이상의 대학 또는 연구소가 참여하고 있다. 이들의 목표 중 하나는 21
세기
과학계의 가장 주요한 탐험과제인 암흑물질을 ‘만드는’ 것이다. 지금껏 보지 못한 새로운 입자를 만들기 위해 LHC에서는 1초에 4000만 번씩 양성자 등의 입자가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한 뒤 충돌한다. ... ...
나노미터 크기 백신 실험실·감염병 조기 알아내는 AI 경보기…다음 팬데믹을 준비하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8
감염병의 발생 주기도 짧아지고 있다. 미국립보건원(NIH)에 따르면 코로나 이전 지난 반
세기
동안 매년 평균 1~2개씩 새로운 전염성 바이러스가 발견돼 확산됐고, 최근엔 연 평균 3건으로 늘었다. 애런 번스테인 미국 보스턴어린이병원 연구원팀은 지난 2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