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뉴스
"
세기
"(으)로 총 2,399건 검색되었습니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빛 본지 10년...세상에 없었던 치료법이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1
유전자 교정 토마토가 식탁에 오를 전망이다. ● 특허 분쟁·생명윤리 논란도 관심 ‘
세기
의 특허 전쟁’으로 불리는 특허 분쟁도 관심사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하버드대가 공동으로 설립한 브로드연구소가 다우드나 교수가 속한 UC버클리보다 유리한 판정이 잇따라 나오고 있는 가운데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지속가능한 연구실
2022.06.30
과학기술연구개발비는 대부분 국가재정에서 충당한다. 그리고 그 규모는 이미 20
세기
말 최대치에 도달했다. 정부가 연구개발에 투입할 수 있는 자원에는 분명한 한계가 존재한다. 출처 미국의과학대학협회(AAMC) 틸먼 교수는 연구개발비 및 박사학위자를 위한 일자리는 정체되어 있으면서, ... ...
여성은 남성보다 과학 논문 저자로 인정 덜 받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보고 DNA의 구조를 처음 예측한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의 이름만 있다. 정작 20
세기
생명과학에서 가장 위대한 발견자인 인물의 이름이 빠져있는 것이다. 과학에서 뛰어난 연구업적을 냈지만 여성이라는 이유로 평가절하되고 있는 ‘다크 레이디’는 지금도 있다. 줄리아 레인 미국 뉴욕대 ... ...
반년 가까이 이어온 역대급 가뭄, 더 잦아질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지난 2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에 라니냐 현상의 결과로 20
세기
에 비해 21
세기
에 가뭄 현상이 10배 더 증가할 것이란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에 따르면 북미와 중미, 동아시아, 남아시아 등 전 세계 곳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가뭄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 가뭄이 더 자주 ... ...
레고처럼 원하는 기능 맞춤형 조립하는 'AI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모듈에 설치한 발광다이오드(LED)에서 정보를 담은 빛을 쏘면 다른 모듈들이 빛 패턴과
세기
를 인식해 다시 정보로 변환하는 원리다. 빛이 칩 전체로 전달되기 때문에 모듈을 어디에 배치해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연구팀은 빛뿐 아니라 음파나 냄새로도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
2022.06.18
발사된 1957년을 우주 탐사의 원년이라 한다면 우리 인류의 우주 탐사 역사는 반
세기
를 훌쩍 넘은 지 오래다. 그런데도 지금껏 천왕성에 가까이 간 탐사선은 보이저 2호뿐이다. 1977년 지구를 떠난 보이저 2호는 9년여의 항해 끝에 천왕성을 만났다. 보이저 2호가 보내온 사진 속 천왕성은 연한 ... ...
'과학외교 전담조직' 필요성 띄운 외교부…신흥안보 대응 포석
연합뉴스
l
2022.06.16
뒷받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귀국 후에 관계부처와 협의해서 외교부가 21
세기
도전에 선제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추진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외교부가 과학기술사이버국 신설을 검토하는 것은 점차 중요성이 커지는 과학기술 대외 업무를 소화하기에 현재의 부내 ... ...
유럽 초토화시킨 흑사병, 중앙아시아에서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6
묘비의 주인 치아에서 흑사병의 조상으로 추정되는 균주 DNA가 발견됐다. 네이처 제공 14
세기
중반 유럽을 휩쓸며 최소 수천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전염병인 흑사병이 중앙아시아 지역인 지금의 키르기스스탄 북부에서 시작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마리아 스피루 독일 튀빙겐대 고고학 과학 ... ...
21
세기
의 교통 사고
팝뉴스
l
2022.06.15
것이다.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었던 아찔한 순간이었다. 20
세기
에는 없었지만 21
세기
에 일어나고 있으며 갈수록 빈번해질 교통 사고 패턴이라는 평가가 많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 ...
"온실가스 안 줄이면 금
세기
말 극한 강수량 최대 78% 증가 전망"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약 2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2019년 일누적 강수량 기준이 187.1~318.4㎜인데 이번
세기
전반기에 이보다 21.4~174.3mm 늘어난다는 의미다. 중반기(2041~2060년)에는 약 46%, 21
세기
후반기(2081~2100년)에 약 53%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기상청 대권역 분포. 기상청 제공 권역별로 보면 100년 재현빈도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