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질
방사성
뉴스
"
방사성물질
"(으)로 총 591건 검색되었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인근 주민 방사선 피폭 거의 없어”
2014.11.14
하세가와 아리후미 후쿠시마의대 교수. - 한국원자력의학원 제공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1년간 인근 지역 주민 43만5788명의 방사선 피폭량을 조사한 결과 94.8%가 연간 세계 평균 자연 방사선량인 2.4mSv(밀리시버트·방사선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단위)보다 낮았습니다.” 한국원 ... ...
녹조 광합성이 방사능 물질 제거한다
2014.11.12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강이나 호수 등에 서식하며 ‘녹차 라테’로 오명을 떨쳤던 미세조류(일명 녹조류)가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승엽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폐기물처분연구부 책임연구원팀은 서강대 정광환·이승엽 교수팀과 공동으로 미세조류가 햇빛 ... ...
미래형 원자로에 쓸 핵연료 피복, 국내 연구진이 개발
2014.11.05
PGSFR 고성능 핵연료 피복관 FC92의 모습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사용후핵연료(핵폐기물) 문제의 해결사로 주목받고 있는 4세대 원자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핵연료 피복관’을 국내 연구진이 독자적으로 개발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차세대핵연료기술개발부 핵연료피복관개발팀은 소듐냉각 ... ...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에 야생동물 수명 줄어
2014.09.23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서 배출된 방사성 물질이 야생동물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기형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 'BMC 진화 생물학' 24일자에 발표됐다. 조지 오타키 일본 류큐대 교수팀은 나비에게 방사성 물질인 세슘에 오염된 먹이를 먹였더니 수명이 짧아지거나 날개 모양 ... ...
“당신이 마신 물-와인에도 방사능… 과도한 공포심 버려야”
2014.09.11
같은 주류가 천연 알코올로 만들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방사능 검사를 한다. 와인에서
방사성물질
이 검출되지 않으면 가게에서 팔 수 없다는 뜻이다. 그런데 ‘와인이 방사능을 띠고 있다’고 말하면 다들 놀란다. 방사능은 무조건 나쁘고 해롭다는 잘못된 인식 때문이다.” 방사능을 띠게 만드는 ... ...
원자력발전소에 어린이 기자가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8.28
원자력안전에 대한 교육을 마친 15명의 어린이과학동아 8기 명예기자들. 8월 18일 오전 10시, 대전 유성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 어린이 기자들이 모였다. 1박 2일로 원자력안전 캠프를 가기 위한 어린이과학동아 8기 명예기자들이다. 이번 캠프는 명예기자 15명을 비롯해 가족까지 총 40명이 참여했 ... ...
암 진단과 치료를 한 번에
2014.08.19
국내 연구진이 세포 내에 구리를 전달하는 시스템과 구리의 방사성 동위원소(구리-64)을 이용해 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 한국원자력의학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암을 진단하면서 동시에 치료도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한국원자력의학원 강주현 ... ...
고장난 신경세포 복구 단백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6.25
사실을 처음 알아냈다고 25일 밝혔다. ATM은 본래 음식물 속 탄화물질이나 라돈 등의
방사성물질
, 강한 자외선 등에 의해 손상을 입은 DNA를 복구하는 일을 한다. DNA 정보를 일정하게 유지해 유전자 변형 등을 막아 건강한 삶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연구팀은 ATM에 이상이 생기면 신경세포의 ... ...
방사성 세슘 다 잡는 신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6
북서부에 위치한 가시와 시의 방사능 '핫스팟'. - 위키미디어 제공 국내 연구진이
방사성물질
인 세슘 137을 1ppm 이하의 저농도에서도 흡착할 수 있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했다. 세슘 137은 반감기가 30년인 방사성 물질로 2012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많이 알려졌다. 세슘 137이 다량 농축되면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만일 암흑물질이 2030년에도 발견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면, 물리학자들은 새로운 중력이론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다. - 마리오 리비오 & 조 실크, 3월 6일자 ‘네이처’에 기고한 글에서. 멋진 제목에 혹해서 (속는 셈치고) 산 책이 막상 읽어보니 내용도 좋으면 마음이 뿌듯하기 마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