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보기
model
모범
모형
견본
귀감
전형
뉴스
"
모델
"(으)로 총 5,548건 검색되었습니다.
'뉴런' 계산
모델
60년만에 '업데이트'…"AI인공신경망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초반부에 있는 뉴런에 '피드백'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새로운 뉴런
모델
은 이전에 설명하기 어려웠던 몇 가지 생물학적 현상을 설명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생물학적 정보를 기반으로 한 현대적인 인공신경망 구성의 기본 단위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현재 ... ...
[과기원NOW] 신경세포 연결의 숨은 지휘자, MDGA 단백질의 비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조건부 낙아웃 모형'이라는 유전자 조작법을 사용해 MDGA 단백질 기능을 배제한 정교한 쥐
모델
을 활용했다. 실험 결과 MDGA1 단백질이 삭제되면 억제성 시냅스의 숫자와 강도가 증가하고 MDGA2 단백질이 삭제되면 흥분성 시냅스의 특성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고재원 교수는 "논란이 많았던 MDGA ... ...
해녀의 긴 잠수 이유 '심박수 감소'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영향을 미치는 신경 회로 메커니즘을 알아내기 위해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시킨 실험용 쥐
모델
을 개발하고 동물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실험쥐의 대뇌 신피질과 중앙 전뇌를 자극할 수 있는 훈련·보상 활동을 반복했다. 5일 간의 반복적인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진행한 뒤 실험쥐는 30분 이내로 ... ...
역대 최고 '고에너지 중성미자' 발견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6.23
단서지만 오랫동안 실체를 알 수 없었다. 우주를 설명하는 현대물리학 이론인 표준모형
모델
은 중성미자가 질량을 갖지 않는다는 전제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번에 고에너지 중성미자를 발견한 장비는 ARCA의 '큐빅킬로미터중성미자망원경(KM3NeT)'이다.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 남동쪽 3500m(미터) ... ...
은행으로 파고드는 생성AI…대출 서류 적정성도 검토
과학동아
l
2024.06.22
AI 기반의 혁신적 은행 서비스도 더 많이 출시될 것이다. 생성AI의 할루시네이션 문제도 AI
모델
이 사전에 학습한 데이터 외에 현재 추가된 자료까지 검색해 답변을 보강하는 검색 증강 생성(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등의 기술로 대응하고 있으며 생성AI의 윤리성 문제도 은행마다 AI 윤리강령을 ... ...
AI가 지어낸 '헛소리', AI가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1
처음 한 답변에 얼마나 확신이 있는지 파악하는 방식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평가
모델
은 인물 전기나 퀴즈, 일반 지식 등을 주제로 한 질문에 LLM이 생성한 답변에서 AI 환각을 효과적으로 감지해 냈다. 연구팀은 "LLM 답변을 조심해야 할 시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광범위한 영역에서 ... ...
[과기원NOW] KAIST "GPT-4V 보다 뛰어난 대형언어
모델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0
크기를 키우거나 고품질의 시각적 지시 조정 데이터셋을 만들지 않고 멀티모달 대형언어
모델
의 시각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백승렬 인공지능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이 기존 지식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정보를 학습할 수 있는 'SDDGR' 기술을 개발했다고 2 ... ...
[과기원NOW] KAIST, 거대언어
모델
로 기업 의사결정 문제 풀이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KAIST 전산학부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김민수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이 거대언어
모델
을 이용해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찾고 비즈니스 규칙에 부합하는 최적의 의사결정을 도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계획 RAG(PlanRAG)'라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 ...
우리 아이 뇌는 어떻게 성장할까…두뇌 발달 ‘열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성인기로 넘어가면서 ‘현저성 네트워크’와의 연결성이 주축이 돼 외부수용성과 내부
모델
링 시스템이 분리됐다. 이는 구분된 각 시스템이 서로 명확히 다른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기능적 세분화가 일어났다는 의미다. 또한 연구진은 발달 시뮬레이션으로 시상-대뇌피질 연결성과 기능적 전뇌 ... ...
텍스트 입력만으로 정밀한 3D 동작 '뚝딱'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결과. UNIST 제공 두 번째는 트랜스포머
모델
이 적용된 동작 생성 기술이다. 트랜스포머
모델
은 문장 속 단어와 단어의 관계를 추적해 맥락과 의미를 학습하는 신경망 기술이다. 텍스트에서 파생된 지시와 접촉 지도에서 파악된 구조적 정보를 결합해 실시간으로 3D 손-물체 동작을 시뮬레이션하는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