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어린이과학동아
"
뇌
"(으)로 총 756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를 흘리는 돌이 있다고?!?!?!?!
기사
l
20200427
물 속에서 살고, 어릴 때는 올챙이 같아 보이는 생물체이지만, 성체가 되면 자신의 모든 기관을 소화시켜 퇴화시켜 버립니다. 심지어
뇌
까지도 말이죠! 그리고 단단해 보이는 껍질(?)은 식물성 섬유질로 이루어져 있다는데요, 이 피부는 식물로부터 수평 전파 된 것으로 추측됩니다. 성체가 되고 나서 바위에 붙어 물을 빨아들이고 그 안에 있는 ...
바나나에 대한 몰랐던 비밀
기사
l
20200420
집중력이 올라간다는 것입니다. 바나나에는 잠을 깨우는 물질인 세로토닌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편안해진
뇌
가 활동적인
뇌
보다 훨씬 집중을 잘 합니다. 또 몰랐던 비밀은 바나나를 먹으면 우울증이 나아집니다.(100% 확신은 아니고) 연구 결과에 따르면 행복해지는 호로몬인 세로토닌이 합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덤으로 설명 ...
육지를 걷는 상어가 있다고?!
기사
l
20200414
농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웅덩이의 산소 결핍을 견디기 위해 진화한 것이죠. 썰물 때가 되면 에폴렛상어는 심장 박동과 호흡을 늦추며
뇌
로 혈액을 공급해서, 무산소상태에서도 견딜 수 있어요. 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에서만 발견되는 에폴렛상어는 썰물 시간에 맞춰 가면 한밤중이나 새벽에 암초를 걷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육지를 걸어다 ...
동물에 관한 신기한 15가지 사실 1편
기사
l
20200411
혹등고래는 숨을 쉬고 싶을 때만 숨을 쉽니다. 숨을 쉬어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하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아마 흑동고래는 잘 때 두
뇌
의 반만 활동을 멈추는 것이라고 추측을 했다고 합니다. 우리는 숨을 잘 못 참는데 숨을 자기가 원할 때 쉰다고 놀라운 일이네요. 사람도 숨을 쉬고 싶을 때만 쉰다면 어떻게 될까요? 우리는 숨 쉬는 것이 너무나도 자연 ...
잠을 잘자야 하는 이유
기사
l
20200410
쓸데 없는 시간이 아니라 우리 몸을 위한 재충전 시간이라 꼭 필요합니다. 잠에는 5단계가 있습니다. 자 1단계는 거의 깨어 있지만
뇌
가 느리게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얼마 뒤 2단계 잠에 우린 빠지게 됩니다. 이것도 거의 깨어 있지만 1단계보단 깊게 잠들게 됩니다. 자 이제 3단계 잠에 빠지게 됩니다. 이때 몸은 더더욱 풀어지고 심장 박동도 더 ...
소리는 어떻게 들릴까?
기사
l
20200406
뼈로 되어 있는데, 이 뼈가 서로 부딪치면서 진동을 50배 크게 만들어 달팽이관으로 보낸답니다. 그 진동이 청세포와 청각 신경을 통해
뇌
로 전달되어 소리를 듣게 되는 거예요. 소리의 전달 과정을 간단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소리->귓바퀴->귓구멍->고막->귓속뼈->달팽이관->청세포->청각 신경->
뇌
*** ...
우워 지면 안대는데ㅔ ..
포스팅
l
20200402
소민언니 짱쎄요 .. 멍청해서 또 디스
뇌
는 깨어 있네요 ㅋㅋㅋ .. 행님이 자꾸 말을 지어내셔서 진짜 싸우는 줄 큐ㅠㅠ .. 소민언냐 진짜 아니져어 !?!?!? ...
게임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기사
l
20200402
중 대다수가 주의력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 지각적 학습에 도움이 됨 한 논문에서 비디오게임을 습관적으로 하는 사람들의 두
뇌
를 PET(양전자단층 촬영법)을 이용해 촬영했더니 보상과 학습에 관여하는 부분에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게임을 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활발하게 분비되었다고 합니다. - 신체 재활에 도움을 줌 여기서 말하는 재활 ...
어제 했던 이야기잇기 내용정리
포스팅
l
20200331
그런데 1초 후 과학소년이라는 악당이 쳐들어왔어요 그 과학소년의 원래 이름은 악당옥당이었어요 그 아이는 사이보그였어요
뇌
속에 컴퓨터가 들어있었어요 근데 한지민 공주가 딱밤을 먹였더니 날아갔어요 그리고 그 세상을 한지민 공주가 지배했어요 그렇게 한지민 공주의 승리로 이야기는 끝났답니다~ 우와 해피앤딩이에요????? 겁나 길었어요 그냥 심심해 ...
시끄러운 곳에서 식사하면 더 많이 먹은다고?!
기사
l
20200327
결과는 A그룹이 더 과식을 했답니다! 여러분도 맞추셨나요? 그럼 왜 그런 건지 알려들이겠습니다. 음식을 씹을 때 나는 소리는
뇌
세포로 전달되 포만감을 갖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시끄러운 곳에 있으면 포만감을 천천히 늦기게 되어서 오히려 과식을 할수 있답니다! 또 다른 연구를 하나 알려드릴까요? 그 연구는 음식을 먹을 때 '쩝쩝' 소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