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콤달콤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 길고 짧은 건 직접 재봐야 알아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놀이북 6쪽과 함께 보세요! 수콤이가 책상에 학용품을 꺼내놨어요. 필통도 있고, 연필, 지우개, 수첩도 있네요. 학용품마다 길이가 어떻게 다를까요? 자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을 이용해서 길이를 비교할 수 있어요.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7화. 샤롱가 납치 사건의 대 반전!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저, 저는”“다 알고 있어요. 당신이 해적단과 짜고 샤롱가를 납치했죠? 예고장과 쪽지를 갖다둔 것도, 샤롱가를 가방에 넣어서 데리고 나간 것도 알고 있어요. 돈을 가져오라고 한 건 아마 도망치는 동안 우리를 멀리 떼어놓기 위해서였겠죠.”“샤롱가는 당신을 믿었을 텐데, 도대체 얼마를 받기로 ... ...
- [엣지 사이언스] NASA 임무 나서는 한국 달 관측기기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눕혀져 있다. 라이너 감마의 위치에 이유가 있다. 이 지역은 달의 적도에서 약 7도 북쪽에 있는 지역으로 태양 빛이 강하게 내리쬔다. 이번 프로젝트의 시스템 엔지니어로 참여하는 이덕행 천문연 선임연구원은 “관측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받기 위해서는 태양 빛에 3분 이상 노출되면 안 된다”며 ... ...
- [특집] 외계인은 새해가 헷갈려! 달력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놀이북 4쪽, 23쪽과 함께 보세요! “5, 4, 3, 2, 1!”‘펑! 팡팡! 삐요유우우우우~.’으악, 이게 무슨 소리야! 내 ‘반짝 귀’ 떨어지는 줄 알았네지구에서 나는 소리였구나. 설마 나를 보고 기뻐하는 거? ‘지구말 통역기’를 켜고 뭐라고 환호하는지 들어봐야지~!“와아~, 여러분 드디어 2022년 새해가 ... ...
- [이달의 식물사연] 겨울에 만나는 아카시아 꽃의 비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바쁜 와중에도 그 길을 지날 때면 지친 마음이 스르르 녹을 만큼 위안이 됐다. 길의 한쪽 벽면은 바깥으로 수련 연못이 보이는 커다란 유리창으로 돼 있어 햇살이 비스듬히 비치는 저녁 무렵이면 환상적인 분위기가 절정을 이뤘다. 국립세종수목원 사계절전시온실에도 여러 종류의 아름다운 ... ...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이들이 사는 건물은 단 한 채도 파손되지 않았다. 장만은 카메라 배율을 높여 둑의 오른쪽 상부를 살펴보았다. 둑은 그가 바라던 모습 그대로 완성돼 있었고, 둑 너머로 일렁이면서 하늘을 반영하는 테네 강의 물이 보였다.장만은 기억 연계가 단숨에 녹아내리는 것 같은 안도감을 느끼면서 지구인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용암동굴에서 어떻게 석회동굴 생성물이 자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선정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첫 자연유산이었지요.거문오름용암동굴계는 제주도 북동쪽 거문오름에서 바다를 향해 14km를 흘러간 용암이 만들어낸 동굴들입니다. 벵듸굴, 웃산전굴 등 8개가 세계자연유산으로 선정되었어요. 이 중 직접 가볼 수 있는 곳은 관광지로 개방된 만장굴이지만, 특히 ... ...
- [가상 인터뷰] 신체 최고 속도는 ‘핑거 스냅’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세 손가락은 삼각뿔 형태를 이루게 되지. 그 상태에서 새끼손가락과 약지를 손바닥 쪽으로 구부리면 손가락들 사이는 밀폐 상태가 돼. 그 상태에서 핑거 스냅으로 엄지와 중지를 교차시키면 중지가 손바닥과 부딪치고, 손가락으로 만든 삼각뿔 모양의 공간을 압축시켜. 이 과정에서 삼각뿔 공간에 ... ...
- [기획] 고문서 속에 등장한 염전 이야기에 주목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추정했어요. 반면 조선 초기(1530)에 쓰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엔 검당마을에서 바다 쪽을 향해 800m 들어간 갯벌에서 함수를 퍼왔다는 이야기가 있어요. 해수면이 낮아져 바다가 검당마을에서 멀어졌단 뜻이죠. 연구팀은 『택리지』, 『지방지도』를 추가 분석해 해수면이 1500년대에는 낮아졌다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손으로 돌리는 팽이는 가라 이제는 건전지로 돌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자석과 같은 성질을 갖고 있지요. 그래서 지폐에 자석을 가까이 가져가면 지폐가 자석 쪽으로 끌려오는 걸 확인할 수 있답니다. 여기에서는 5만 원권 지폐로 실험을 했지만, 만 원권과 천 원권 지폐도 똑같이 반응한답니다. 이는 외국 지폐도 마찬가지예요.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 각국에서는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