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두께"(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쌓아 올린다. 지금까지 개발된 3차원 프린터는 1시간당 높이 2.8cm를 쌓아올린다.레이어의 두께는 약 0.01~0.08mm로 종이 한 장보다도 얇다. 쾌속조형 방식으로 인쇄한 물건은 맨 눈에는 곡선처럼 보이는 부분도 현미경으로 보면 계단처럼 들쭉날쭉하다. 그래서 레이어가 얇으면 얇을수록 물건이 더 ... ...
- 오로라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달빛 아래 펼쳐진 오로라겨울에는 몇 m 두께의 얼음이 덮여있는 호수이지만 여름 한철은 이렇게 맑은 물 위로 오로라의 반영을 볼 수 있다. 9월 말이 되면 벌써 얼음이 얼기 시작하고, 11월 말이 되면 차가 지나가도 될 정도로 두껍게 얼음이 언다. 이 사진을 촬영하던 날, 물 위로 수달 같은 동물이 ...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크기로 부풀려서는 감을 잡을 수 없다. 태양계만큼 키워야 한다. 그래도 머리카락 한 올 두께만큼 울퉁불퉁할 정도로 둥글다. 인간이 걸어온 무모한 도전에 자연은 아주 작은 전자로 크게 한 방 날려버렸다.전자의 모양은 영국 런던 임페리얼대의 물리학 연구팀이 10년 이상 관측해서 얻었다. 그런데 ... ...
- 천 년의 기술, 인쇄로 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1호
- 공기 흐름이 생겨, 건물에 머무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다.또한 마구리가 경판 두께보다 두껍다. 이 때문에 경판을 쌓았을 때 사이에 통로가 생겨 자연스럽게 환기가 되는 ‘굴뚝효과’가 생긴다. 잠깐! 장경판전 108개 기둥의 의미장경판전은 목판을 과학적으로 보관하는 것 뿐만 아니라 ... ...
- 과학으로 야구 한판! 삼진왕 vs 홈런왕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0호
- 자, 이제 나의 새 방망이를 꺼내 볼까? 음~, 두께나 무게, 길이 모두 적당해. 야구방망이는 두께나 길이, 무게에 따라 공에 미치는 힘이 달라져. 그래서 나 같은 홈런 타자는 너무 두껍거나 짧지 않으면서 가볍지도 않은 방망이를 써야 해. 방망이가 두꺼우면 공기의 저항을 많이 받아 회전 속도가 줄고 ... ...
- 눈은 번쩍! 얼굴은 반짝! 과학으로 쓰는 안경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8호
- 눈이 나쁘면 각막을 깊이 깎아 내야 해요. 그런데 각막의 두께는 보통 *500~550㎛로, 이보다 두께가 얇거나 근시가 심각한 환자는 수술을 받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답니다. 반면 각막 안쪽에 렌즈를넣는 렌즈삽입술은 심한 근시와 원시, 난시 환자도 시력을 교정할 수 있어요.하지만 이런 시력교정수술은 ... ...
- 내 건강은 전자피부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7호
- 군, 먼저 친구들에게 자기 소개를 간단히 부탁할게.안녕하세요. 전 가로 2㎝, 세로 1㎝, 두께 37㎛의 전자피부예요. 전 사람들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여러 센서들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회로도 갖추고 있어요. 또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이를 빛으로 알릴 수 있는 LED도 달려 있지요 ... ...
- 빨간모자도 깜짝! 똑똑한 모자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6호
- 생기는 충격을 대신 흡수해 머리를 보호해 주는 충격흡수재가 들어 있어요. 보통 두께 1㎝ 이상의 스티로폼이 쓰이지요.안전모의 기능을 100% 활용하기 위해서는 잘 쓰는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해요. 우선 자신의 머리에 바르게 쓴 뒤, 턱끈을 알맞게 조이고 두상에 맞게 조절해요. 그 다음 머리를 ... ...
- 포개기의 달인 '아네 또인냐'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6호
- 4m인 상자를 넣는다고 했을 때, 큰 상자에는 모두 몇 개의 상자가 들어갈까?(단, 상자의 두께는 생각하지 않는다.) 정답과 해설1. 길이를 재어 곱하면 작은 것부터 5-1-4-2-3-6 순이 된다.2. 텐트의 지지대. 안으로 집어 넣는 게 아니라 밖으로 접어서 보관하는 방식이다.3. 모두 1096개. 정육면체 상자 ... ...
- 남극 알프스 미스터리 풀렸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km 두께의 얼음에 숨겨져 있던 ‘남극의 알프스’ 미스터리가 드디어 풀렸다. 1958년 옛 소련 과학자들이 남극 중앙 얼음 아래에서 길이가 700km나 되는 거대한 산맥을 발견했다. 과학자들은 이 갬부르체프 산맥이 어떻게 빙하 속에서 만들어졌는지 알 수가 없었다.최근 영국과 미국 공동연구팀이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