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d라이브러리
"
두께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수 있는 크기로 잘라주는 나노가공장비다. 생쥐의 뇌세포를 관찰할 때는 시료를 50~100nm
두께
로 만든다.이 세포의 3차원 구조를 분석하려면 전자단층촬영(ET)기법을 쓴다. 잘 알려진 CT(컴퓨터단층촬영)처럼 단층 사진을 여러 장 찍은 다음, 합성해 3차원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차이점이라면 CT는 환자가 ... ...
세균만 골라 죽이는 휴대용 플라스마 손전등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위해 장에 기생하는 ‘장구균’을 배양시켜 25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의
두께
로 만든 뒤 5mm 떨어진 곳에서 약 5분간 플라스마를 쏴줬다. 두꺼운 생체막 속에 있는 세균은 대부분 파괴됐지만 세포는 손상되지 않았다. 코스타 오스트리코브 연방과학원 교수는 “플라스마는 세균이나 ... ...
‘별의 단발마’ 항성풍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빛이 산란됐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다시 편광 비율과 변화 형태를 분석해 먼지층의
두께
와 먼지 입자의 크기를 쟀다. 그 결과 먼지층은 항성 지름의 약 2배였고, 입자의 크기는 지구의 미세먼지 수준인 반지름 약 300nm(나노미터. 10억분의 1m)였다.연구팀은 “기존에 알려졌던 것보다 입자 크기가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신카이6500은 수심6500m의 해저 탐사가 가능한 유인 잠수정으로 전방과 측면의 관측창에 7cm
두께
의 메타크릴 수지 글래스가 두 겹으로 끼워져 있다. 글래스 두 겹만으로 6500m 심해저의 압력을 버틸 수 있다는 의미다.롤렉스는 지난 3월말 화제가 됐던 영화감독 제임스 캐머런의 심해저 탐사에 실험용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연료캡슐의 껍질은 폴리에틸렌 등 플라스틱 재질인데, 외부에서 레이저를 쏘면 가열돼
두께
가 팽창한다. 팽창은 캡슐의 바깥쪽뿐만 아니라 같은 비율로 안쪽으로도 향한다. 이 힘이 캡슐 내부에 엄청난 압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레이저빔을 맞은 뒤에도 관성 때문에 캡슐은 계속 팽창한다. 이때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자기장이 카메라나 휴대전화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벽에 바짝 붙어
두께
가 15cm 정도 되는 두꺼운 벽을 통과하자 유리벽 너머로 병원에서만 봤던 커다란 자기공명영상장치(MRI)가 보였다. 한국기초과학지원 연구원이 지난해 12월 도입해 설치를 완료한 ‘3T MRI’였다. MRI가 있는 방문을 열자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줌기능이 없다. (…중략…) 액체렌즈를 사용하면 이런 불편함이 사라진다. 렌즈의
두께
를 바꿀 수 있어 거리에 따라 초점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미 2004년 삼성전기에서 세계 최초로 액체렌즈 방식으로 130만 화소의 휴대 카메라 모듈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② 액체로 종이를?현재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유치하고 바보 같으며 간단한 실험’이라고 말했던 실험에 돌입했다. 너비가 34cm이고
두께
가 12.5μm밖에 안 되는, 둥근 모양의 플라스틱 필름을 너비가 10.2cm인 원통 안에 넣고 그 위로 피스톤을 눌러 필름을 구기는 것이었다. 이 필름의 이름은 마일라(Mylar)로 알루미늄을 덧댔다.연구팀은 누르는 힘에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진동을 처음으로 감지하는 곳은 고막이다. 고막은 외이와 내이의 경계에 있는데
두께
가 0.1mm 밖에 되지 않는 매우 가냘픈 근육이다. 우리가 보통 사용하는 샤프심의 지름이 0.5mm 인 것을 보면 고막이 얼마나 얇은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이렇게 고막이 얇을 수밖에 없는 이유는 소리의 진동을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꾸준히 활동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뇌가 기억하는 현상과 비슷하다.이들은 먼저
두께
60~70μm(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1m)인 실리콘 웨이퍼로 고리를 만들었다. 여기에 접착용 단백질을 붙이고 배양한 뇌세포를 붙였다. 시간이 지나 뇌세포가 자라면서 스스로 신경망이 생겼다. 연구팀이 여기에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