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3,0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들쭉날쭉 CO2 농도, 범인은 농사과학동아 l201412
-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지 않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진다. 보스턴대 지구환경학과 마크 프라이들 교수는 “경작지의 면적은 일정해도 기술이 발달하면서 면적당 수확량은 늘어난다”며 “농업 기술의 발달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계절 편향성을 더 심해지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수학동아 l201411
- 호소하는 공개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수학저술가로 유명한 키스 데블린 스탠포드대 수학과 교수는 NSA가 헌법을 준수하고 수학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모습을 보일 때까지 수학자들은 NSA의 일을 하면 안 된다는 글을 ‘미국수학학회지’ 2014년 6~7월호에 실었다. 더불어 그는 무분별한 개인정보 수집이 ...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수학동아 l201411
- 사람의 표정을 읽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데 이어, 작년에는 최기호 광운대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눈 깜박임만으로도 졸음운전을 잡아내는 기술을 선보였다. 눈이 깜박이는 패턴을 이용해 일정 시간 동안 눈의 크기가 평소보다 작아지면 카메라가 이를 포착해 졸음운전을 파악한다. 숭실대 ... ...
- [과학뉴스] 덩치 크다고 싸움 잘하는 거 아니다과학동아 l201411
- 동물이나 덩치 큰 쪽이 싸움에 유리하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캐나다 퀸즈대 생물학과 폴 마틴 연구원이 새들의 싸움을 관찰한 결과,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마틴 연구원은 새 246종이 서로 싸우는 모습을 2만3362회 관찰한 결과 특이한 점을 발견했다. 가까운 종에서는 덩치 큰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11
- 이 중성자로 문제의 핵종을 태워 안전하게 변환시킨다. 홍승우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는 “노벨상 수상자인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카를로 루비아 박사에 의해 효과가 검증됐다”며 “334t의 납 구조물을 이용해 실험한 결과, 미량 악티늄 핵종의 제거가 가능했다”고 말했다.가속기 방식은 ...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과학동아 l201411
- 설도 있습니다.그렇다면 코끼리의 후각은 얼마나 뛰어날까요. 스웨덴 린셰핑대 생물학과 마티아스 라스카 교수팀은 아시아코끼리 세 마리를 대상으로 후각능력이 얼마나 정밀한지 연구한 결과를 2012년 12월 학술지 ‘화학감각’에 발표했습니다. 원소의 종류나 위치가 한두 개 정도만달라 ... ...
- Part 2 테러리스트 검거, 데이터 분석이 책임진다수학동아 l201411
- 상암 DMC에서 폭탄이 터졌다고? 역시 11월 23일이었군! 현장 요원 모두 상암으로 가라고 하고 CCTV는 물론, 거기 있었던 사람들이 찍은 사진과 동영상도 모두 확보하라고 전해. 사무실에선 테러 조직 내 핵심인물이 누군지 알아내고 있을 테니까.누가 주동자? 사회네트워크 분석(SNA)으로 찾는다!지난 20 ... ...
- EPILOGUE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1411
- 잘 연구해도 세계적인 상을 받을 수 있다. 체코생명과학대 경영게임·야생생물학과 블라스티밀 하르트 연구팀은 개가 똥 싸는 모습을 2년 동안 참을성 있게 지켜봤다. 37종의 개 70마리가 대변 1893번, 소변 5582번 싸는 걸 지켜본 결과, 개들이 자기장의 남북방향으로 변을 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과학동아 l201411
- 해열제를 잘못 쓰고 있다.이런 발열공포는 어디에서 유래된 걸까. 김도균 서울대 응급의학과 교수는 “열에 대한 공포는 세균과 바이러스에 인간이 무방비로 당할 수밖에 없던 과거의 아픈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말한다. 지금보다 생활 환경이나 의료 수준이 열악했던 시절, 특히 심각한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11
- 연구 결과도 그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2011년, ‘사이언스’에 실린 미국 컬럼비아대 심리학과 벳시 스패로 박사팀의 연구에 따르면, 어려운 문제를 접한 사람들은 자동적으로 검색부터 떠올렸다. ‘검색형 인간’이 된 것이다. “검색만 잘 하면 되지, 그게 뭐가 문제일까? 도서관에서 책 찾는 것과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