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SW.2 아직은 형편없지만 2001년에는 세계5위 목표로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마찬가지로 소비자 지향적인 양질 저가의 상품은 경쟁력 있는 상품이 되고 잘 팔릴 수
밖
에 없다. 사실 현재까지는 국내에서 개발된 S/W가 별로 믿을 만한 것이 없었고, 그렇기 때문에 보호법이 무슨 필요성이 있겠느냐는 비판이 없지 않았음을 상기해 볼 때 양질 저가의 S/W 개발이야말로 오늘의 S ... ...
희귀동식물의 보고 설악산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힘입어 설악산에서만 사진촬영에 성공했다. 현재 산양은 세계적으로 국한된 지역에 5종
밖
에 알려져 있지 않다. 주로 경사진 가파른 바위틈에 사는 산양은 신갈나무 피나무 등을 주식으로 하며 28종의 푸른 잎과 연한 줄기를 먹고 산다. 우리나라에는 평안남북도 함경남북도, 황해도 및 강원도 ... ...
PART 2 지구와 물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평균 매년 1만1천5백mm나 되는 강우가 있는데 24km 떨어진 곳에서는 불과 4백50mm
밖
에 내리지 않는다. 이것은 지구의 표면을 흐르는 구름이 지형의 영향을 극단적으로 받기 때문이다. 바람이 증발률이 높은 바다쪽에서 육지로 불면, 수분을 머금고 산기슭을 거쳐 위로 불려올라가 냉각되며, 그 결과 ... ...
내년 2월까지 60억들여 남극에 연구기지 세운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기지가 세워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식수를 위한 눈은 기지
밖
수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가져와야 하는데, 이는 가까운 곳의 눈은 기지의 집들을 난방할 때 생기는 그을음에 의하여 크게 오염되어 있기 때문이다. 극지의 추위 하에서는 쓰레기가 썩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 ...
과학자의 보람과 좌절이 점철된 연구소 24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아뭏든 연구원을 놀릴 수는 없으니까 삭감된 연구비라도 감수할 수
밖
에 없다. 자연히 연구결과는 '벽돌집 대신 블록집'이 된다. 과기처로서는 '연구비를 줄여도 하겠다니 애초에 불린 것 아니냐'고 반문한다. 이처럼 상호불신이 악순환하게 된 근본적 원인을 한국화학연구소의 ... ...
값싸고 사용에도 편리한 쑥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뜨는데 끝을 뾰족하게 하여 불을 당기면 천천히 타들어간다. 쑥 대신으로 솜이나 그
밖
의 대용품을 써보면 일정하게 천천히 타들어가지 않아 쓰기에 불편하다. 불이 잘 붙고 고루 천천히 타는 재료로서는 아마도 쑥을 능가하는 게 없을 것이다. 뜸은 침과 더불어 한방요법의 독특한 영역. 인체 ... ...
서독 막스-플랑크연구소의 「보다 좋은 감자」생산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된다. 이렇게 얻은 감자는 저항력은 다소 증강되나 수확량에 있어서 원 재배종의 50%정도
밖
에는 안된다. 따라서 수확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또다시 이것을 재배종 감자와 교배하지 않으면 안된다. 2차 교배후 나타나는 신품종은 재배종의 75%의 유전질을 포함하게 되며 저항 유전자도 포함한다. 결국 ... ...
지구 최후의 오지 아마존과 그 유역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한 종의 생물이라도 멸절 시키지 않는 합리적인 자원개발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그 길
밖
에 없읍니다. 인간은 나일강을 비롯하여 세계의 대하에서 많은 것을 뺏어 손상시켜 왔읍니다. 이런 강은 이미 ‘과거의 강’이 되었읍니다. 그러나 아마존은 ‘미래의 강’인 것입니다. 그 미래는 우리 손에 ... ...
녹색 혁명 이야기 나무 쟁기에서 유전자 조작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말해서 먹이로 얻은 나무 열매나 풀의 씨앗 그리고 과실 등이 그들이 살고 있던 움막
밖
에서 싹틀 기회가 많았으리라. 때로는 나무 뿌리나 부러진 가지에서 새로운 싹이 나오는 경우도 있었을 것이다. 이 현상을 인공적으로 이용하자는 생각은 사실상 인류의 역사에 있어서 커다란 전진이라 하지 ... ...
곤충의 세계 제비나비와 큰밀잠자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접근하는 행동이 결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꿀벌은 인간의 시력의 80~1백분의1정도
밖
에 볼수 없다는 보고도 있으며 대부분의 곤충들이 60~90cm거리 만을 볼수 있다고 한다. 또 빛이 약해지면 고양이 처럼 동공을 벌리어 빛을 더 많이 받아 넣을수도 없을 뿐 더러 어둠침침한 환경속에서는 잘 보이지도 ... ...
이전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