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출판 대백과사전을 한장의 디스켓에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기록하여 제4판을 발행한 것이다. 신형 광사원의 무게는 6g이고 지름이 12cm, 두께가 1.2mm
밖
에 안되지만 그 내용은 2천4백페이지의 책과 같은 것이다. 이것을 독자의 컴퓨터에 넣고, 찾으려는 단어를 키보드에 입력시키면 모니터 화면에 해당단어가 있는 페이지가 나타난다. 유럽에서는 네덜란드의 ... ...
벌은 방사능 오염을 일찍 알았나?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않았던일을 이상하게 생각했다. 그날 원자력발전소 사고에대한것은 아무도 알지 못했다.
밖
은 좋은 날씨인데 어째서 벌들이 나오지 않나해서 모두가 이상하게 생각했다. '오스터치'씨가 벌통 뚜껑을 열어보니 벌들은 모두 여왕벌에 엉겨붙듯이 몰려붕붕날개짓을 하고 있었다. 그 모습은 마치 ... ...
PART 1 물의 신비한 특성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이론대로라면 지구상의 온도하에서는 액체로는 존재치 않고 약간의 수증기 상태로
밖
에 존재할 수 없게 된다. 다행히도 모든 생물의 근원인 물은 같은 종류의 화합물중에서 유별나게도 그 비등점과 빙점이 최저가 아니라 최고이다. 실제로 물은 빙점이 32℉(0℃), 그리고 비등점이 212℉(100℃)이다 ... ...
신약자체개발을 목표 동아제약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쉽게 해결될 것이다. 마치 첨단의 전자장비를 갖춘 미사일이 핵폭탄을 싣고 가서 수만km
밖
의 목표물을 명중시키는 것처럼 말이다. 최신의 암 정복기술은 실제로 이같은 미사일요법을 이용해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룩해가고 있다. 미사일의 유도기능에 해당하는 게 암세포만 식별하는 모노클로날 ... ...
AIDS백신, 연내 인체실험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자꾸 변이를 하고 있어 이 합성 단백질이 인체에 무해 하더라도 역시 효과는 제한적일 수
밖
에 없다. 파스퇴르연구소 vs 미 국립 암 연구소AIDS휴전 AIDS 바이러스를 누가 먼저 발견했는가, 그리고 AIDS 진단약에 대한 특허권을 누가 가져야 하느냐 하는 AIDS 전쟁이 휴전에 들어갔다. 미국과 프랑스의 ... ...
욕심장이 생화학자 월터 길버트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같다"고 그는 비유하고 있다. 그런데 이 목표는 너무나 엄청난 일이라는 말로 표현할 수
밖
에 없을 정도로 거창한 것이다. 유전자의 언어는 이를테면 4자로 쓰여져 있는데 이것은 쌍으로 결합된 뉴클레오티드라고 불리는 불록을 만들고 있다. 사람의 세포 하나 하나에는 이런 불록을 30억 개나 갖고 ... ...
수수께끼에 싸인 사자신 스핑크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의문이다. 이에 대해서도 종래의 학자들은 '대피라밋을 세울만한 암반이 이곳 기자에
밖
에 없었기 때문'이라고 쓰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이 설명에 납득이 가지 않음을 느끼고 있었다. 사이스왕조(기원전 664년경)에 만들어진 '목록비판'(目錄碑板)은 대피라밋에 부속되어 있던 이시스신전의 비문을 ... ...
디자이너로서의 생물학 창조의 제8일은 시작되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대한 과학적 연구는 아주 완만하게 발전하였다. 단지 백만분의 1그램 정도의 인터페론
밖
에는 제조할 수 없었다. 핀란드의 분자 생물학자 '카리 칸텔'이 마침내 효과적인 정제방법을 개발하였지만 역시 천분의 일 그램의 인터페론을 제조하기 위해서 백만리터의 혈액이 필요하였다. 한때 인터페론 ... ...
PART 3 생명의 시작은 물에서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식물은 몸의 95%를 수분이 차지하고 있는데 직접 접하고 있는 물을 빨아 들인다.그러나 물
밖
으로 끌어올리면 곧 고사해 버린다. 습지대의 반수생 식물은 일부분을 2~5cm정도 축축한 지면 속에 넣어 수분을 섭취한다.육상의 식물은 지하9m 깊이까지 뿌리를 내리고 있다. 라이보리는 한 그루가 1백40억 ... ...
한국 화학 연구소 이서봉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많이 있다는 이야기도 되지요. 먼저 기존의 축전지는 수명이 2~3년인데 비해 개발품은 1년
밖
에 안됩니다. 또 플래스틱 축전지가 겨울과 여름의 혹심한 상황에서 어떻게 적응하게 하느냐도 과제이지요. 현재 실험은 성공적입니다." -연구과정에서 어려웠던 점은 무엇이었읍니까? "전도성 ... ...
이전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