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고유의 한선(韓船) 황포 돛단배가 복원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우수성을 알아보았다. 세계에서 가장 앞선 방향타 우선 겉으로 보아서 한선은 앞
끝
이 높이 치솟은 모습을 하고있어 파도를 타거나 배의 안정성에 유리하다. 또 앞부분의 물과 닿는 부분은 바가지를 엎어 놓은 것처럼 둥근 모양을 해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되어있다. 이에 비해 일본배처럼 ... ...
책의 혁명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파피루스(혹은 양피지 혹은 종이)의 낱장들이 나머지 것들의 위에 하나씩 쌓여지고 한 쪽
끝
에 다같이 풀칠이 되었다. 그것이 오늘날 우리가 아는 책의 모습이다. 코덱스는 두루마리보다 훨씬 편리하다. 많은 페이지들이 한 번에 넘겨질 수 있어서 코덱스는 편리함의 상실없이도 두루마리보다 훨씬 ... ...
한국산 가전제품 대일진출 전망 밝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약하고 대규모 생산제품에는 강하나 소규모 물량에 대응이 둔하며 디자인과
끝
마무리가 조금 약하다고 분석했다. 한국산 브랜드의 인지도는 삼성 현대 금성 대우 선경 순으로 나타났다 ... ...
1천여점의 유물도 찾아냈어요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켤코 범상한일로 보이지 않는다. 직업윤리라는 말이 새삼 연상 되기도 했다. -
끝
으로 자신에 대해 소개해 주시죠. 이름도 보통의 프랑스사람 이름 같지 않은데. "아, 저의 선조는 지금의 노르웨이에서 프랑스로 왔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름이…. 그런데 아주 오래된 일이어서 자세한 내력은 ... ...
이상한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상업용 주파수 및 직류전력의 수송과 이용, 고주파의 전력시스팀이 여기 해당한다.
끝
으로 시스팀의 기능과는 관계없이 전자파를 내는 것으로서 고전압 송전계통에서의 코로나 방전, 전차의 팬더그라프 접촉점에서 일어나는 방전 등이 그 원인이다. 우리나라도 예외 아니다 이상과 같은 불필요한 ... ...
황금과 불로장생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금의 본질 혹은 금을 만드는 매개체인 '철학자의 돌(Philosopher's Stone)'을 찾으려고
끝
없는 노력을 기울였던 것이다. 동양의 연금술 연금술 사상은 서양에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동양에도 있었다. 그러나 동·서양의 연금술사는 우선 목적이 달랐다. 중국의 연금술에 관한 저술로는 도교학자 갈홍(葛洪 ... ...
초전도체의 열풍속에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밖에 없어 자동차제작비는 자동화이전보다 높아진 결과를 가져 왔다. GM은 수년간의 노력
끝
에 최근 '제작자동차 프로토롤(MAP)'이라는 이를테면 만국공통용어인 '에스페란토'어를 개발하여 납품사들에게 기준을 설정하는 한편 지난 6월부터 '폰티액'등 자동차공장에서 MAP중심의 컴퓨터망으로 연결된 ... ...
중국의 황산(黃山) 마치 수묵화를 보는 듯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환상과 꿈의 고향바위와 소나무 등의 지상의 정화(精華)만을 얘기해왔지만 변환(變幻)이
끝
이없는 구름도 빼 놓을 수 없다. 황산은 '예로부터 구름바다를 이루는 곳'이라하여 다른 이름으로 '황해'(黃海) 라고도 한다. 1년의 3분의 2는 구름과 안개에 싸여 있는 곳인 것이다.중국 수묵화에서도 알 수 ... ...
미진동제어법을 새로 개발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진동을 억제하는 회전수조절신호를 입력하는 것이다.종래의 시스팀은 팔의
끝
에 센서를 달아 감지한 미진동에 맞춰 제어지령이 나가도록 되어 있었다. 이 방법으로는 로봇1대마다에 센서를 달지 않으면 안되고 자세마다 계산도 필요하여 제어율이 최고 60%밖에 안되었다. 이에비해 새 방식은 진동 ... ...
어떻게 감지하고 어떻게 적응하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식물은 어디에서 이러한 변화를 감지하는 것일까? 이같은 신호는 잎에서 받아 잎꼭지의
끝
에 전달되어, 그곳에서 복잡한 과정을 통하여 잎의 탈락이 일어난다. 이때 잎은 습도의 감지를 함께 낮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도 동시에 느끼게 된다.그러나 이때의 신호는 물리적인 신호이기 때문에, 식물체가 ... ...
이전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