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전주기 800년 10번째의 행성을 찾아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것이 난점이다. 하나의 별을 관측하는데 지금까지는 10년 이상 걸리던 것이 1년으로
끝
날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나가면 새 행성이 발견될 가능성은 시간문제인것 같다. 태양계의 신비를 벗겨나간 행성탐사위성의 활동 태양계 행성 탐사위성의 활동은 1962년8월27일에 발사된 NASA의 마리너 2호 ... ...
옛 괴물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타조는 살아있는 새들중에서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새이다. 긴 목까지 합쳐서 땅
끝
에서 머리까지의 길이는 8피트이고 무게는 2백80파운드로 시속 40마일의 속력으로 달릴 수 있다. 그러나 몇 세기 전만 해도 뉴질랜드에는 타조와 유사한 '모아'가 살고 있었다. 키는 13피트 무게는 5백파운드나 ... ...
PART 4 초신성 폭발의 수수께끼 「초신성1987A」는 청색초거성이었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최후의 0.1초동안 일어나는 이 뉴트리노의 방출이야말로 초신성 이야기의 처음이자
끝
이라고 할 수 있다. 뉴트리노는 이처럼 투과성이 크기 때문에 초신성1987A로부터의 최초의 빛이 지구에 도착하기 3시간 전에 지구에 도착했다. 뉴트리노를 검출한 곳은 미국 클리블랜드의 지하에 설치된 장치와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관광단을 모집해 제한적인 관광을 실시하고 있다. 해면의 수백길 낭떠러지의 얼음 절벽,
끝
없는 소설원(小雪原), 펭귄 물개 등의 집단서식지, 혹독한 자연환경 등이 일상에 지친 지구인을 유혹하고 있다. 18개국, 64개 과학기지에서 연구중 남극대륙에서 맨처음 상주기지를 설치한 나라는 칠레. 1947년 ... ...
수학은 인간이 만든 또 하나의 우주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없다. 박사학위란 본격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자질을 인정받는 것, 그러니까 공부의
끝
이 아니라 시작을 뜻하는 것이다. 연구생활은 평생토록 계속해야 하는 것인데, 그 정열은 학문 그 자체에 대한 애착없이는 지탱하지 못한다. ●―수학의 역사는 언어의 역사 인간의 중요한 특징은 말을 ... ...
상상을 초월한 첨단의 종이과학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천으로 짜넣는 방법도 있으나 종이로 만드는 편이 훨씬 원가가 적게 든다. 면발열지 양
끝
에 전압을 걸면 전류가 통하고 금방 따뜻해진다. 사방 10cm의 면발열지를 12V 정도의 배터리에 연결하면 계산상으로 표면온도가 80℃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것. 이 특수종이는 두께가 1mm이하이며 구부리고 접고 ... ...
PART 3 오존층이 파괴되고 있다 구멍뚫린 생명의 보호막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시도되었지만 불발로 그쳤다. 그러나 작년 9월16일 몬트리올에서는 우여곡절
끝
에 마침내 CFC의 단계적 소비감축에 49개국이 합의에 이르렀다. 내년 1월부터 발효되는 이 협약의 주요 내용은 CFC의 소비를 86년 수준에서 동결하며 1999년까지 CFC의 소비량을 50% 감축시킨다는 것. 그러나 이 협약의 ... ...
사진촬영성공-담배연기의 모세혈관 수축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담배연기의 유해론은 널리 알려졌다. 폐암유발, 혈관장해등. 여기 그림은 일본국립공중위생원의 '아사노 마키시게'씨가 찍은 현미경 연속사진을 보기 쉽 ... 모세혈관 수축은 피부온도를 저하시키거나 피부 노화를 빠르게 한다. 민감한 사람이면 손가락
끝
의 온도가 5도 가까이나 내려간다 ... ...
레이저 개척자 「굴드」특허 획득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발명가 '고든 굴드'씨가 30년간의 지루한 투쟁
끝
에 지난해 11월 가스원(源) 레이저의 특허권을 얻는데 성공했다. 미국 특허국은 보통 3, 4년이내에 특허권 심사를 마치는데 '굴드'씨의 경우는 매우 예외적으로 길었으며 학계에서는 '굴드'씨는 당연히 받을만한 자격을 가진사람이라고 평가. 그러나 이제 ... ...
대통일이론의 아버지 셸든 글래쇼 Sheldon Glashow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때문이었다고 그는 뒷날 말하고 있다. 아뭏든 이 논문의 테마가 계기가 돼 그뒤 오랜 연구
끝
에 마침내 노벨상을 타기에 이른 것이다. 글래쇼의 연구를 지도한 물리학자 '줄리안 슈와잉거'는 '약한 상호작용'과 '전자력'과의 관계를 '게이지 이론'으로 알려진 단일의 복잡한 수학적이론으로 설명하는데 ... ...
이전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