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배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물을 만드는 거예요. 영국의 바스대학교 화학공학과 미렐라 디로렌조 박사팀은 지난 2016년 오줌을 넣으면 세균이 반응해 전기를 만드는 연료전지를 개발하기도 했답니다. ● 스토리 “으악, 아무래도 아저씨를 따라잡긴 어렵겠어.” “어떻게 해야 하지?” 그때였어요. ‘우르르 쾅쾅 ... ...
- Part 3. 정밀농업, 과학자, 식물과 통(通)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바깥 환경뿐만 아니라 식물 내부 정보를 확인하면 농작물을 더 잘 기를 수 있어요. 2017년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이정훈 교수팀은 ‘텔로팜’이라는 회사를 세우고 식물의 생체 정보를 파악하는 칩인 ‘MEMS(미세전자기계시스템)’를 개발했어요. ‘MEMS’는 환경 센서 등에 쓰기 위해 매우 작게 ... ...
- [시사과학 뉴스] 햄에서 나온 세균, 왜 문제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세균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지요. 그러면서 천안공장에서 만든 햄 중 유통기한이 2019년 5월 15일로, 해당 햄과 같은 제품을 모두 회수하고, 판매를 중단하도록 했답니다. 통조림 햄은 왜 멸균으로 만들어야 할까? 보통 통조림 햄이나 데우기만 하면 먹을 수 있는 ‘레토르트 식품’은 유통기한이 2~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매리는 색깔을 맞힐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982년 미국의 심리철학자 프랭크 잭슨은 ‘매리의 방’ 생각 실험을 고안했어요. 실험은 이렇습니다. 매리는 색깔에 알레르기가 있어요. 그래서 줄곧 흑백 방에 갇혀 살며 단 한 번도 색깔을 본 적이 없지요. 심지어 흰 우유와 흰 쌀밥과 같은 무채색 음식만 먹고 살 정도였답니다. 다행히 매리는 흑백 ... ...
- Part 5. 농부야, 개발자야? 로봇도 자급자족, 청년 농부 하병욱 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박스 일부를 분양해 농사를 짓게 도와요. 스퀘어루츠가 도시에 텃밭을 만든 이유는 청년이 농업에 매력을 느끼도록 하기 위해서예요. 농부의 평균 연령은 미국이 58세, 한국이 66세에 달할 정도로 높지요. 머스크는 젊은 농부가 늘어나 농업에 활력을 불어 넣을 뿐만 아니라 도시에 사는 사람도 ... ...
- [가상인터뷰] 혹등고래가 세레나데를 멈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있지. 도움이 필요할 땐 언제든 나를 불러. 나는 위험에 빠진 친구를 잘 구해준단다. 2018년 1월에는 남태평양에서 스노클링을 하던 사람을 구해준 적이 있어. 일리 : 친구들이랑은 어떻게 의사소통해? 혹등고래 : 우리 고래들은 소리로 의사소통을 해. 머리에 있는 ‘소리 입술’이라는 기관에 ... ...
- Part 2. 평범한 일상도 우주 실험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말했다. 연구 2 우주에서 재활용을 할 방법을 찾아라! 일반적으로 네 명의 우주인이 1년 동안 ISS에서 생활하면서 배출하는 쓰레기는 약 2500kg에 달한다. 현재는 우주인이 직접 쓰레기 봉투에 쓰레기를 넣어서 모은 뒤, 이를 지구로 귀환하는 우주선에 한꺼번에 실어 처리하고 있다. 여기서 문제는 ... ...
- [과학뉴스] 사람보다 민첩한 휴머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다이내믹스’가 만든 휴머노이드 ‘아틀라스’예요. 키 175cm에 몸무게는 80kg 정도로, 2013년에 처음 만들어진 이후 현재까지 꾸준히 개발되어 점차 다양한 동작을 선보이고 있답니다. 이번 영상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민첩함’이에요. 대부분의 로봇은 앞에 장애물이 있으면 걸음을 멈추고 위치와 ... ...
- [가상인터뷰] 네안데르탈인은 면역의 조상?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먼 조상으로 잘 알려진 ‘네안데르탈인’이란다. 대략 20~45만 년 전에 등장해서 2~4만 년 사이에 멸종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 우리 네안데르탈인은 창의적인 종족이었어. 2018년 2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동굴 벽화가 네안데르탈인이 그린 것으로 밝혀졌거든. 이뿐만 아니라 우리가 불을 사용하며 ... ...
- [지구사랑탐사대] 숲 속에 숨겨진 보물 상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썼어요. 탐구보고서를 바탕으로 매년 프로그램이 업그레이드 된다고 하는데, 내년에는 어떤 프로그램이 준비될지 궁금해요.우리 산림생물 바로알기 탐험대! 앞으로도 많은 친구들이 참가해 다양한 산림생물을 알아보고 숲과 생물의 소중함을 알아가는 좋은 경험이 되기를 바랄게요. ● 박지환 대원 ... ...
이전538539540541542543544545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