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별자리, 누가 왜 만들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오래된 별자리 기록은 이라크 남부에서 발견된 점토판에 남아있어요. 기원전 약 1700년에 이곳에 살던 고대 바빌론 사람들이 밤의 신에게 올리는 기도문에 별자리를 언급한 것이지요. 하지만 바빌론 사람들만 별자리를 만든 것은 아니에요. 이집트, 인도, 중국, 잉카를 포함한 전세계의 사람들이 ... ...
- [현장취재] 미래 과학자를 꿈꿔라! 해외 탐방 체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기술을 엿보다! 탐방 대원들은 IT 관련 기관들을 탐방하는 시간도 가졌어요. 가장 먼저 1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국립 타이베이 과학기술대학교의 ‘인더스트리 4.0 센터’를 찾았어요. 이 센터는 공장의 모든 과정을 로봇과 인공지능으로 운영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곳이에요. “생산공장의 모든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나카야 우키치로’는 본격적으로 눈송이가 생기는 과정을 연구하기도 했어요. 그는 1936년에 토끼털을 이용해 최초로 인공 눈송이를 만드는 데 성공했답니다. 이후 그는 온도와 습도에 따른 눈송이의 모양을 분석해 ‘눈결정 형태학 도표’를 만들었지요. 하지만 실제 자연에서 만들어지는 눈은 ... ...
- Part 5. 실크로드 전기도 왔다 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만들고 바닷속에 설치할 수 있는 ‘해저 케이블’ 기술을 개발하고 있어요. 2012년에는 한국에서 최초로 개발한 HVDC 해저 케이블이 전남 진도에서 제주도까지 설치되기도 했답니다. 와! 이젠 전기를 보내는 케이블까지 전세계로 연결된다니, 내가 살던 때의 실크로드와는 완전히 달라졌구나!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별을 1등급, 가장 어두운 별을 6등급으로 나눴죠. 이를 ‘겉보기등급’이라고 불러요. 1856년에 영국의 천문학자 포그슨은 1등급과 6등급 별의 밝기 차이가 100배라는 점을 밝혀내고, 겉보기등급을 수학적으로 다시 정리했어요. 한 등급 올라갈 때마다 지구에서 관측하는 별의 밝기는 약 2.5배씩 ... ...
- Part 2.지금의 별자리는 누가 정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1922년 열린 제1회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별자리를 통일시키기로 했어요. 그리고 1928년에 88개의 별자리를 공개했지요. 우리에게 친숙한 바로 그 별자리예요. ●변광성 : 시간에 따라 밝기가 변하는 항성. 현재 천문학 연구에서는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좌표계를 사용해요. 하늘을 가로와 ... ...
- Part 1.새로운 실크로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고대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유럽을 잇는 과거의 무역로를 뜻해요. 1877년, 독일의 지리학자 페르디난트 폰 리히트호펜이 이란 책에서 처음으로 실크로드라는 이름을 붙였답니다. 중앙아시아에서 타클라마칸 사막의 북쪽이나 남쪽을 통과하는 길, 몽골 초원을 지나는 북쪽 길, 또 배를 ... ...
- [핫이슈] 크리스마스를 훔쳐라! 그린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순록은 사슴과 달리 수컷과 암컷 모두 뿔을 갖고 있어요. 그런데 다 자란 수컷 순록은 매년 12월 에 뿔갈이를 해요. 그래서 수컷 순록을 고른다면, 크리스마스에 썰매를 끌 때 뿔이 없을지도 몰라요. 영화 속에 등장하는 순록 프레드는 아직 뿔갈이를 하지 않은 모양이에요. 한편 루돌프의 빨간 코는 ... ...
- [지구사랑탐사대] 연어특별탐사, 강을 거스르는 마지막 질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우와! 엄청 커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은 무엇을 보고 이렇게 놀랐을까요? 바로 알을 낳기 위해 바다에서 강으로 돌아온 연어였어요 ... 연어를 묻어주며 잠깐 묵념의 시간을 가졌어요. 이렇게 고생하며 올라왔으니 내년에 어린 연어들이 무사히 태어나 바다로 돌아가기를 바라면서요 ... ...
- Part 2. 실크로드 다리 위를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있다는 것이 문제로 꼽혔어요. 강주아오 대교를 지나야 들어갈 수 있는 중국 선전항은 2018년 기준, 컨테이너가 228만 7000개씩 오가는 세계 4대 무역항 중 하나거든요. 그래서 강주아오 대교는 배가 지나다닐 수 있는 통로를 고려해 설계됐어요. 먼저 세 군데에 작은 배가 지나다닐 수 있도록 사장교 ... ...
이전5365375385395405415425435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