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뉴스
"
우리
"(으)로 총 9,733건 검색되었습니다.
[테마영화]시간 속에서 완성된 ‘최고의 3부작 영화’ BEST 3
2018.08.04
골랐지만 혹시 모른다. 2022년, 오십 줄에 접어든 제시와 셀린느가 거짓말처럼 다시
우리
곁을 찾아올지도 . 어쩌면 이미 많은 이들이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 필자 소개 이상헌. 영화를 혼자 보는 게 전혀 부끄럽지 않은 사람. 시간은 한정적이지만 좋은 영화를 보고 싶은 당신에게 ... ...
[여기에 과학]유튜브 ‘먹방’ 보면 비만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8.03
조언으로 해결해 가길 바라겠습니다. ※ 편집자주: 일상에서 또는 여행지에서
우리
가 서 있는 바로 그 지점. ‘여기’에 숨어 있는 지구와 우주, 생물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봅니다. 매주 금요일 찾아올게요! ... ...
[사이언스 지식IN] 폭염 장기화 원인, 제트기류 못 움직이게 한 ‘북극진동’은 무엇?
동아사이언스
l
2018.08.02
그래선 안 되는게 맞을 겁니다. 기상학자들은 극진동의 변화 양상이 지난 100년동안
우리
가 발생시킨 온실가스로 인해 더 변덕스럽고 강도가 극단적으로 될 거라 예측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발생할 극진동의 양상이 치명적인 폭염이나 한파로 이어지지 않길 바래야 하겠네요 ... ...
잎새에 숨겨진 표정을 찾는 사람, 식물세밀화가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02
곳은 생각보다 많다”고 했다. 산속 깊은 곳의 들꽃부터 길가의 가로수까지, 오늘부터
우리
도 주변에 있는 식물에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관찰해 보면 어떨까? ● 이소영 작가님이 알려주는 식물 세밀화 그리기 비법 ①그리고 싶은 식물을 정하세요. 학교 갈 때 만나는 가로수도 괜찮고, ... ...
세포분자 전자현미경으로 장시간 관찰하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1
근본적 발전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동 제 1저자인 후안 왕 연구위원은 “
우리
는 전자현미경에서 고분자 시료가 손상되는 문제를 근본적인 단계에서 진전시켰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재료 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ACS나노 온라인판에 7월 18일자로 게재됐다. ... ...
200년만의 환생, 프랑켄슈타인...내 목소리가 들리나요
과학동아
l
2018.08.01
네 손길 작은 손톱까지 다 여전히 널 느낄 수 있지만 꺼진 불꽃처럼 타들어가 버린
우리
사랑모두 다 너무 아프지만 이젠 널 추억이라 부를게’ 노동요인 가수 태양의 ‘눈코입’이 오늘따라 구슬프게 들린다. 그의 반짝이던 눈이 지금은 꼭 소설 ‘프랑켄슈타인’에 나오는 괴물의 눈 같다. 오늘은 ... ...
[이달의 사물]플라스틱 빨대
과학동아
l
2018.08.01
먹이사슬에 따라 인간의 식탁에 다시 오르기도 합니다. 아름답고 건강한 바다와
우리
의 미래를 위해 오늘부터 불필요한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줄여 보는 것은 어떨까요. ... ...
집 나갔던 강아지
팝뉴스
l
2018.07.31
인터넷 사진 공유 사이트에 올려 인기를 얻은 사진이다. 사진 설명은 이렇다. “
우리
집 강아지가 가출을 했어요. 한참 후에 돌아와서는 집 안을 몰래 살피더군요. 뒷모습이 너무 귀여워서 촬영했어요.” 강아지는 선뜻 들어가지는 못하고 가족들의 눈치를 살피는 것 같은 자세다. 까치발까지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유전자에 왜 그렇게 많은 투자를 했는가?’라는 의아함을 상당 부분 누그러뜨렸다.
우리
가 냄새로 지각하는 게 후각 정보의 전부는 아니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숲을 슬쩍 들여다본 뒤 그때까지 나무만 봐왔다는 걸 깨달았을 때 기분이라고 해야 할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 ...
12년 조연 마치고 퇴장하는 와이브로
2018.07.31
기술은 남아서 LTE와 5세대 이동통신으로 이어지고 있다. 세계 표준과 독자 기술에 대한
우리
나라 통신 시장의 고집을 낳은 부작용도 없지는 않지만 새로운 이동통신에 대한 적응력을 키웠고, 통신사들의 경쟁력도 높아졌다. 내년 초 반납되는 2.3GHz대 주파수 역시 와이브로를 통해 활용성이 검증됐고 ... ...
이전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