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1. 노벨상에 성큼 한국 과
학자
들 역주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화학연구소 20년의 결과물이다. 김완주박사는 대단한 사람이다. 하버드의 경우 저명한
학자
밑에 20여명의 포스트닥(박사후과정 연구원)을 거느리고 1년에 1-2백만달러의 연구비를 사용한다. 김박사 밑에는 박사 7명뿐이다. "김용준박사는 우리의 여건 속에서 김완주박사팀의 연구성과는 노벨상 ... ...
이곳만은 지키자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엮어낸 같은 이름의 책을 CD-ROM 타이틀로 담은 것이다. 책은 35명의 자연 생태계 전문
학자
들과 10여명의 취재기자들이 1년 6개월 동안 전국에서 원시의 건강함을 잃지 않고 있는 자연 생태계 54곳을 발굴해 만들어 작년 디자인 대상을 수상한 책으로도 유명하다. 국내의 CD-ROM 타이틀 제작 방향이 아동 ... ...
지구환경문제의 새 시각 '가이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가이아이론의 창시자 러브록은 지구환경 문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다. 그는 살아있는 지구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지구의학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획득했다는 측면에서 러브록은 당대에 일정 수준의 사회적 보상을 받아낸 행복한 과
학자
임에 틀림이 없는 것 같다 ... ...
지구과학 - 신대륙이동설 판운동의 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생각인 것이다. 이것은 베게너의 천재적인 두뇌에서 비롯됐다고 보기보다 수많은 과
학자
들의 희생과 용기에서 얻어진 방대한 양의 자료에 의해 진실이 밝혀졌다고 하겠다 ... ...
허블 관측결과 M87은 거대블랙홀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관측된 M87은 강력한 거대블랙홀 후보. 미국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의 천문
학자
그룹은 허블망원경을 사용해 지구로부터 5천만광년 떨어진 처녀자리은하단에 있는 M87의 중심영역을 관측 한 결과,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가스원반을 발견했다. 이는 M87의 중심으로부터 60광년 거리에 있고 초속 7백5 ... ...
알기쉬운 미적분이야기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뉴턴과 라이프니츠에 의해서 거의 동시에 독립적으로 발견됐다. 특히 라이프니츠는 논리
학자
이기도 했으므로 기호를 만드는 것에도 매우 유능한 실력을 보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미적분학의 기호는 거의 라이프니츠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위 그림에서 x가 △x만큼 변하면 y도 △y 만큼 변한다. ... ...
1. '도전-실패' 되풀이 개발역사 50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쉽게 다른 분야로 일반화시킬 수는 없을 듯하다.한편 인공지능의 기초를 연구하는
학자
들은 계속적으로 강력하고 범용성 있는 방법론을 탐구할 것이다. 그러나 지식 처리형 시스템과 같이 강력하면서도 인공 신경망과 같이 범용성의 방법론을 가까운 장래에 찾을 전망은 희박하다. 따라서 그들은 ... ...
물리 - 손쉬운 직류 전동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우리 손으로 만들어 봅시다.전자기란 전기와 자기를 합친 말입니다. 1820년 덴마크의 물리
학자
외르스테드(Oersted)가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 놓인 자침이 힘을 받아 움직이는 현상을 우연히 발견하기 전에는 전기와 자기를 별개의 것으로 다루었습니다. 그러다 이후 전기와 자기의 상호작용에 대한 ... ...
금성탐사선 마젤란 5년활동 마치고 최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결과 드러난 지름이 수십㎞나 되는 분화구, 높이가 수천㎞나 되는 활화산의 모습에 행성
학자
들은 감탄하지 않을 수밖에 없었다.마젤란에게는 곧바로 2차 탐사 지시가 내려졌고 92년 1월까지 95% 완성된 지도를 만들어냈다. 3차 탐사는 완성률을 99%까지 높였을 뿐 아니라 일부 지역의 중력측정도 ... ...
쥐라기 익룡, 박쥐와 조류 어느쪽에 가까운가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뼈와는 다른 모양으로 배열된 뼈를 이용하여 펭귄처럼 걸었다는 것이다. 영국의 고생물
학자
사이에 널리 퍼진 또다른 의견은 익룡의 뒷다리가 어색하게 뻗쳐 있었으며 이것이 익룡으로 하여금 기어다니게 했으리라는 것이다."그는 이 논쟁에 대해 아직 판정을 내리지 않았다. 새로운 익룡의 화석과 ... ...
이전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