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1. 온실기체 계속증가, 당분간 상승추세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열수지 연구를 근거로 하면 앞으로 지구는 당분간 더 더워질것이다.그러나 일부 기후
학자
들은 지난 1백년간 관측된 자료 분석으로는 지구 온난화의 증거를 보이기에는 다소 미흡하다고 보고 있다. 사실 북반구에서는 대부분의 기온 상승이 대기 중 온실기체 함유량의 증가가 급격하지 않은 2차대전 ... ...
3 평균수명 120세 실현눈앞에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중요한 곳에는 효력이 도달하지 못한다는 맹점이 있다.미국 오클라호마 대학 독극물
학자
로버트 플로이드 박사진은 노화의 주범인 유해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제 PBN을 개발, 노화속도를 늦추고 건망증과 뇌졸중을 예방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발표했다.이밖에 흰머리를 없애고 본래 색깔의 ... ...
2. 온난화현상 일시적-곳곳서 빙하기 조짐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사이의 패널(IPCC)에서 기후
학자
들은 21세기 중반 지표 온도 상승이 1.5-4.5℃에 달하리라 예측하고 있다.그러나 지구 역사를 통한 온도의 기록은 빙하지역이 확장되고 지구 온도가 곤두박질치는 빙하기가 우리 세대 어느 때라도 시작될 수 ... ...
화석생물-신비의 삶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의해 보고되는 새로운 생물종의 수가 매년 1만여 종을 넘고 있고, 화석의 경우도 고생물
학자
들에 의해 매년 새로운 종들이 추가되고 있다. 위에서 알아본 것처럼 화석이나 현생 생물 모두 알려진 종류보다 알려지지 않은 종류가 훨씬 더 많기 때문에 새로운 종이 발견됐다는 소식은 어찌 보면 ... ...
일본 과학기술 앞날 심각한 위기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지난 1987년 미국에서 방위산업체에 연관된 인원은 미국내 전체 기술자의 16%, 전체 과
학자
의 11%에 달했으나 그 수치는 92년에는 각각 13%와 8%로 점점 떨어지고 있는 편. 반면 일본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이 수치가 성장하고 있다고 백서는 밝히고 있다.일본의 연구력은 최근들어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 ...
1 크게 보면 같은 꼴-시작도 끝도 없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이라는, 아직 정체를 모르는 물질로 채워져 있다는 것이다. 수많은 천문
학자
들과 물리
학자
들이 이 암흑물질의 분포와 정체를 밝히려 했으나 헛수고였다. 준정상우주론은 그 까닭이 우주에는 암흑물질이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한편 최근 관측에 따르면 우주에는 많은 수소구름으로 이루어진 흐릿한 ... ...
내부은하 공간 얇은 헬륨이온구름 발견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천문
학자
들은 별과 별 사이의 우주공간에는 먼지와 가스가 흩어져 있다고 믿고 있다. 1960년대 고립돼 있는 은하 크기의 수소구름을 발견하기도 했다. 최근 허블 ... 상태의 중간 결론이다. 앞으로 허블이 더욱 많은 물질을 발견해야 암흑 물질을 찾아 헤매는 천문
학자
들을 만족시킬 것이다 ... ...
2 IQ 검사 왜 하는가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낳았다. 측정가능하다는 것은 측정되는 무엇인가가 존재할 것을 기대케 한다. 많은 심리
학자
는 이 부작용을 생각지 못하고, 지능검사를 옳지 못한 방향으로 유도하고 말았다. 그중 대표적인 것은 IQ를 입시나 이민의 허가등 선발을 위해 사용한 일이다.현대교육에서 지능검사는 옳건 그르건 간에 ... ...
5 지능 결정요인, 유전인가 환경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들어간 집의 친자식들과 비슷한 지능지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또 유전을 중시하는
학자
들이 연구수단으로 자주 사용하는 쌍둥이에 대한 조사에 항의를 제기한다. 즉 이란성 쌍둥이에 비해 일란성 쌍둥이는 두 사람이 보다 비슷한 성장환경을 갖기 때문에 일란성 쌍둥이가 지능지수의 상관이 더 큰 ... ...
사라진 문화재 컴퓨터 그래픽으로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과학의 힘'만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어 고미술이나 고건축을 연구해온 전문
학자
들의 고증이 필수적이다. 이 작업에도 문화재 연구소를 비롯한 여러 전문가들의 고증이 따랐음은 물론이다.한편 기와와 서까래 등의 모델링은 작성된 모델을 X Y축, 또는 그 반대 축으로 휘어주는 기법인 ... ...
이전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