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스페셜
"
생물학
"(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핵 가진 인공생명체, 2년 내 세상에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새로 구성해도 결과적으로 같은 성능을 내는 인공생명체를 만들겠단 의미다. 합성
생물학
분야 전문가인 최인걸 고려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에 사용한 합성법이 효모 특성에 맞춘 방식이기 때문에 다른 진핵세포에 그대로 사용하긴 어렵다”면서도 “적어도 진핵세포 유전체 합성의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Bench-to-Bedside' 연구(임상 또는 실험 모델을 통해 질병의 진단·예방·치료기술의
생물학
적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에 관심이 많던 저에게는 적절한 곳이라고 생각해 선택하게 됐습니다. Q: 국제프로바이오틱스 학술대회(International Scientific Conference on Probiotics and Prebiotics) 회장을 맡고 계신데, 학회 소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
2017.02.21
식충식물 연구가 새로운 국면에 들어갔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일본 국립기초
생물학
연구소를 비롯한 다국적 연구팀은 호주에 자생하는 식충식물인 세팔로투스(Cephalotus follicularis)의 게놈을 해독해 식충식물 진화의 비밀을 어느 정도 밝혀냈다. 세팔로투스는 네펜시스처럼 포충낭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천연항생제 내뿜는 바다의 파수꾼 ‘해초’
동아사이언스
l
2017.02.19
순환, 퇴적물 안정화, 이산화탄소 감소 등 유익한 영향이 있다. 미국 코넬대 생태진화
생물학
과의 졸리 램 연구원과 동료 연구진이 인도네시아 스퍼몬드 일대 산호초와 해초밭을 조사하는 모습. - Science 제공 최근 세계 각국은 천연 항생제를 만드는 해초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한 예로 미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숲을 보는 방법으로 1년에 한 번 교양
생물학
교재를 통독하라고 권했다. 이렇게
생물학
전반을 훑어보면 자신의 연구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되고 뜻밖의 통찰을 얻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과학기자가 된 뒤 이 조언을 ‘확대 적용해’ 여러 분야의 학부 교재를 샀다. 시간 날 때 ... ...
시스템
생물학
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새로운 암 치료법도 개발했다.황 부연구단장은 의사, 암 연구자, 식물학자, 동물학자, 미
생물학
자 등 다방면의 전문가들과 함께 생명 시스템 전반을 연구해 온 것이 연구의 폭을 넓히는 좋은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노화 연구로 꿈꾸는 웰 에이징(Well Aging) 노화 연구로 건강하게 나이 드는 방법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아니지만 하루 24시간 생활 자체가 갈수록 뒤죽박죽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일주
생물학
연구결과는 자신의 생체시계를 무시하는 인류의 이런 행태가 결국은 스스로를 망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무엇을 먹느냐가 아니라 언제 먹느냐가 문제일수도 있다. 똑 같은 양의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존재했던 변이가 드러난 것처럼 보였다. 린드퀴스트는 문헌을 조사했고 영국의 저명한
생물학
자인 콘라드 와딩턴(Conrad Waddington)이 1942년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기술한 ‘수로화(canalization)’라는 개념에 주목했다. 와딩턴은 개체발생이 강력한 과정이기 때문에 사소한 유전형의 변이는 묻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태어난 페인은 어린 시절 자연의 품속에서 자랐고 하버드대에 들어가서는 고
생물학
에 심취했다. 화석을 연구하기 위해 미시건대 대학원에 진학한 페인은 그러나 생태학자 프레더릭 스미스의 강의를 듣고 생태학으로 전향해 ‘살아있는’ 화석인 개맛을 연구해 1961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2년 ... ...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통 관심사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저명 석학들이 고규영 혈관연구단장 등 IBS 과학자들과 함께 참여한 IBS-MPI 혈관
생물학
콘퍼런스도 70여명의 과학자들이 참여해 성황을 이뤘다. IBS-RIKEN 희귀동위원소 물리 콘퍼런스에서는 113번 원소 '니호늄' 발견에 한 축을 담당한 RIKEN 니시나가속기연구센터(RNC)의 과학자들이 정순찬 IBS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