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스페셜
"
생물학
"(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세플라스틱 몸속 들어오면 세포 꼼짝 못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크기가 작아 체내 깊숙이 침투할 수 있다. 하지만 구체적인 체내 흡수 과정이나 분포,
생물학
적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밝혀진 바 없었다. 미세플라스틱이 유입된 제브라피시 배아의 미토콘드리아(오른쪽)은 정상(왼쪽)에 비해 형태가 일그러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자료: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대 수궁류는 티라노사우르스 때문에 멸종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경쟁에서 도태됐다는 기존 주장과 배치되기 때문이다. 토마즈 술래즈 PAS 고
생물학
연구소 연구원은 논문에서 “리소비치아 보자니와 같은 트라이아이스 후기의 디키노돈트들은 점점 커지는 육식 천적들의 등장에 맞서 음식을 저장하고 소화하는 능력이 도리어 극대화됐을 것”이라며 “거대한 ... ...
[표지로 읽는 과학]'부자연 선택설'로 진화한 박테리아 효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캘리포니아공대 교수가 주도했다. 생체 물질인 효소의 ‘방향적 진화’를 연구해 화학과
생물학
을 결합한 공로로 노벨상을 받았다. 아널드 교수는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화학반응에서 촉매가 되는 효소 단백질을 진화 원리로 개발하는 길을 열었다. 아널드 교수는 이 방법으로 농업 부산물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시간대 평균 9시간에 불과 2015년 학술지 ‘셀 대사’에 발표된 논문을 보자. 미국 소크
생물학
연구소의 연구자들은 스마트폰 앱을 만들어서 사람들의 식습관을 실시간으로 조사해보기로 했다. 설문지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오늘날 정말 많은 사람들이 시도 때도 없이 먹고 있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피할 수 있다. 두 논문은 비슷한 내용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독일 뮌스터대 식물
생물학
생명공학연구소 요르그 쿠들라 교수팀과 공동연구자들의 결과를 소개한다(쿠들라 교수가 논문 파일을 보내주면서 글이 실리면 사이트 주소를 꼭 알려달라고 부탁했다!). 연구자들은 작물 토마토(학명 Solanum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가설과 맞는 않는 얘기다. 이런 와중에 페보 박사팀은 2013년 학술지 ‘분자
생물학
및 진화’에 약간의 반전을 꾀한 논문을 발표했다. 즉 FOXP2 유전자의 8번째 인트론(아미노산으로 번역되지 않는 부분)의 특정 영역에서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의 차이를 발견했고 호모 사피언스 사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화제가 됐다), 리버먼 교수는 해부학과 생리학에 기반한 고전적인 인류학자이자 진화
생물학
자다. 그의 연구를 보면 어떤 건 방법이 좀 ‘무식해’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도구를 써 식재료를 가공한 게 인류 진화(턱과 치아, 소화계)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 ...
[팩트체크] 옥중단식·수사압박으로 알츠하이머병 걸릴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그렇지 않은 쥐보다 기억력 감퇴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국제학술지 ‘유럽분자
생물학
기구(EMBO) 저널’에 발표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경험한 쥐는 나이가 들수록 뇌에 점점 더 많은 Aβ 단백질이 쌓여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2015년 제임스 로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진단하기도 하지만 이는 우리가 한동안 잊어버리고 있었던 ‘잡식동물이라는
생물학
적 사실’을 일깨우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폴란에 따르면 “우리의 뛰어난 관찰력과 기억력 그리고 자연 세계에 대한 궁금증과 실험적 자세”도 여기에서 비롯된다. 19세기 프랑스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때문에 치료법도 달라야 한다. 암이 정복하기 어려운 이유다. 그런데 100여 년 전 독일
생물학
자 테오도어 보베리는 ‘악성종양의 기원’이라는 책에서 암이 고대의 표현형이 드러난 결과라고 관점을 제시했다. 즉 단세포생물에서 다세포생물이 나왔기 때문에 다세포생물의 세포에는 여전히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