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뉴스
"
천문
"(으)로 총 2,23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별 1호' 발사 30년...달 궤도선까지 우주기술 고도화 시대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8.12
소장은 “우주를 향한 한국의 도전이 시작됐던 것”이라 말했다. 우주과학과 우주
천문
학 연구가 본격 도약하고 우주를 꿈꾸는 인재 육성도 늘어나는 등 우리별 1호 발사가 국내에 가져온 긍정적 효과가 크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제는 차세대 중형위성 2호 등 민간기업 주도로 인공위성을 개발하는 ... ...
"국내 우주개발, 뉴스페이스 아직 아냐...접근방식 다변화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8.10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뉴스페이스 시대에서 정부의 역할도 제시됐다. 이재진 한국
천문
연구원 우주과학본부장은 "다누리 프로젝트에서 '달에 간다'는 목표만 강조되고 '왜 달에 가야 하는지'에 대한 것들이 잘 전달되지 않아 아쉽다"며 "우주산업은 장기적인 계획과 기다림이 필요해 그 과정을 ... ...
[과학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노벨상 수상자 브라이언 슈미트 초청 강연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8.10
확보가 쉽지 않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향후 고해상도 광학 현미경은 물론
천문
관측이나 군용 광학 장치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광학분야 국제학술지 ‘옵틱스익스프레스’에 최근 게재됐다 ... ...
전세계서 로켓 발사 경쟁 “우주쓰레기 처리 기술도 함께 발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8.08
감시시스템(OWL-Net∙아울넷)으로 인공우주물체의 동향을 실시간으로 살핀다. 최은정
천문
연 우주위험감시센터 우주위험연구실장은 “저궤도에 있는 인공우주물체는 결국 지구로 떨어진다”며 “작은 것들은 지구로 추락하는 과정에서 대기권을 거치며 타버리는데, 크기가 크거나 연료 추진제 ... ...
제임스웹 과학자 "최고의 우주이미지 위해 30명이 6주간 매일 회의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06
임무에 참여한 클라우스 폰토피단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 박사가 3일 국제
천문
연맹(IAU) 총회에서 강연하고 있다. 부산=이영애 기자 yalee@donga.com 그는 이날 5가지 공개된 사진에 대한 작업 정보를 모두 공개했다. 폰토피단 박사는 "허블과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대중에 공개해 누구든 볼 수 있게 한다"며 ... ...
[한국 첫 달궤도선] “모두가 흥분하고 있다” 외신도 주목하는 ‘다누리’
동아사이언스
l
2022.08.05
편광 카메라 덕분에 이를 연구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누리는 한국
천문
연구원이 개발한 광시야 편광카메라(PolCam)를 비롯한 첨단 과학 장비를 탑재했다. 한국이 개발한 5개의 장비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개발한 달 영구음영지역 관측카메라 ... ...
[한국 첫 달궤도선] 전문가들 "다누리 발사로 우주탐사 서막 열렸다"
2022.08.05
며 "풍화작용이 없는 달은 지구보다 과거를 더 쉽게 연구하기 좋은 곳”이라고 설명했다.
천문
연 연구팀은 광시야편광카메라로 달의 표면을 관측해 지도를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지구의 과거를 분석하는 연구를 계획 중이다. 이 또한 세계 최초로 시도되는 연구다. 정 선임연구원은 다누리 탑재체 ... ...
[한국 첫 달궤도선] 다누리가 156만km까지 돌아 가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8.05
소형차 크기에, 무게 678kg이다. 고해상도 카메라(항우연 개발)와 광시야편광카메라(한국
천문
연구원 개발), 자기장측정기(경희대 개발), 감마선분광기(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개발), 우주인터넷탑재체(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발), 섀도캠(미국항공주국 개발) 등 임무를 위한 총 6개의 탑재체가 실리는 ... ...
5일 발사 한국 첫 달 궤도선 '다누리' 전세계 관심받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2.08.04
또 인류가 보낸 달 궤도선 가운데 처음으로 광시야편광카메라인 '폴캠'이 실린다. 한국
천문
연구원이 개발한 폴캠은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인 편광을 활용해 달 표면의 입자 크기나 티타늄 분포를 확인하는 데 쓰인다. 입자 크기에 따라 다르게 산란하는 편광의 특성을 활용한다. 지구에서 ... ...
'더 선명해진 수레바퀴'…제임스웹 포착 고리 은하 이미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8.03
발견한지 1주일 만에 최고(最古) 은하 관측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영국 에든버러대
천문
학연구소의 캘럼 도넌 연구원팀은 “138억 년 전 빅뱅이 일어난 지 2억 3500만 년이 지났을 때 존재했던 은하 ‘CEERS-93316’을 관측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20일 스위스와 미국 연구진이 JWST를 통해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