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통
요부
d라이브러리
"
허리
"(으)로 총 612건 검색되었습니다.
카타스트로피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이유는 무엇인가. 그 원인은 오래 전부터 서서히 진행돼 왔을 것이다. 그러다가 낙타의
허리
를 부러뜨린 마지막 지푸라기처럼 어느 날 갑자기 모든 공룡이 절멸했을 것이다.현재 지구의 환경 오염은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 어느 날 갑자기 인간이 절멸할 시기가 올 수 있다. 이런 예가 실감이 ... ...
1. 태고의 유인원, 2천3백만년 전 첫 출현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따다 보니까 서서 걷게 됐다는 설명이나 제라다 바분처럼 꼿꼿이 앉아서 씨앗을 먹게 돼
허리
를 펴는 습관이 붙어서 직립하게 됐다는 설도 있다. 그리고 인류의 조상이 사바나에 살게 되면서 사바나의 키 큰 풀 위로 멀리 보려고 자주 일어서게 됨으로써 직립보행이 이루어지게 됐다는 설명도 있다 ... ...
침술(鍼術), 초과학의 영역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강하던 것은 약하게 조절된다. 소장과 대장의 경우도 같다.비뇨기 계통은 신수(腎兪 :
허리
부위의 경혈 중 하나)에 침을 놓으면 콩팥의 기능을 뚜렷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변의 비중이 높으면 낮춰주고 낮으면 높여준다. 내분비 계통도 당뇨병, 갑상선 질환 등의 침치료 효과가 동물실험을 ... ...
그림 솜씨 보고 얼굴형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비음의 사용이 두드러진다. 이는 역시 일본인쪽이 한국인쪽보다 중안의 길이가 길고 코
허리
가 높은 북방계의 해부학적 구조를 지니고 있는 것과 결코 무관하지 않은 현상이다. 각 지역에 따라 단 몇 명이 더 가진 이러한 체질적 경향으로 인해 주위에 문화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결과적으로 문화의 ... ...
치아 맞물림 부조화가 갖가지 증세 부른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벌리거나 다물 때 불편을 느끼게 된다. 때로는 목 어깨주위 근육에 영향을 주어 목이나
허리
등의 자세에 나쁜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갑작스런 치아교합의 변화 이외에도 치열이 고르지 못하여 좋지 않은 턱운동이 지속될 경우 저작계에 미세외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과거 우리 음식습관은 비교적 ... ...
지역별로 본 한국인 얼굴의 특징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거의 직선적인 모양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얼굴이 오목해 보인다는 것은 귓구멍에서 코
허리
코밑까지의 투영적 직선거리가 짧다는 뜻이다. 특히 코 있는 언저리가 오목하게 보여서 평면적인 얼굴로 보이는데, 한국인의 얼굴을 구성하는 형태소에 이것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이 ... ...
나의 얼굴은 어느형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한반도에는 세 방향에서 도래한 사람들이 모여 살아온 것으로 추정된다. 작은 눈동자에 흐린 눈썹은 황해바다 건너에서, 세로로 높고 가로로 ... 세로로 높고 가로로 좁은 이마와 큰 턱은 북방으로부터, 합죽이형의 꺼진 코
허리
, 넓은 코 유전자는 남쪽의 해로를 통해 이 땅에 들어온 것 같다 ... ...
장님 눈뜨는 시대 곧 온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수신기 미세전극의 네가지로 구성된다. 귀 안의 마이크로폰이 소리를 모아서
허리
에 휴대한 음향처리장치로 보내면 소리가 전기적 신호로 바뀐다. 이 신호는 두개골에 이식된 수신기로 중계된다. 수신기의 신호는 전선을 따라서 와우각의 오목한 부분에 박혀있는 미세전극으로 보내진다. ... ...
수치로 비교분석한 한국·일본 여대생의 평균 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귓구멍에서부터 얼굴 정중선의 윤곽선에 걸리는 중요한 곡각점의 위치, 이를테면 미간 코
허리
코끝 턱 등에 방사성의 투영적 직선을 가상적으로 그어 그 길이를 측정해 비교할 수 있다.가장 중요한 자료로 삼을 만한 곳은 귓구멍에서 코 바로 밑까지의 투영적 직선거리(鼻下点放射徑)로서 호감이 ... ...
봄바람과 더불어 기지개 켜는 바람꽃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식물이라고 생각하여 그런 이름을 붙였을 가능성이 크다.한방에서는 이 꽃의 근경을
허리
와 다리의 병을 치료하고 관절염 월경불순 등을 해소시키는 데 사용하고 있다. 북한에서는 감기약으로 또 가래를 제거하기 위해 쓴다고 한다. 그러나 남한 내에서 이 식물을 약용으로 썼다는 기록이 없다.꿩의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