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폴라리스
리스
표주
fall
folic
paul
pole
d라이브러리
"
폴
"(으)로 총 576건 검색되었습니다.
뼈·관절수술의 충실한 로봇 조수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이름을 가진 일종의 로봇이다. 바가와 캘리포니아대학(데이비스 소재) 수의학과 합
폴
교수는 병든 골반뼈에 플라스틱 구(socket)를 채워넣고, 손상된 넙적다리뼈에 금속 핀을 박을 때 그에 앞서서 수행하는 구멍뚫는 작업을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해내기 위해 로보닥을 만들었다.그들은 이 로보닥에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것이다.의학용 전문가시스템의 성공은 계속 이어진다. 그중 피츠버그대학 컴퓨터학자인
폴
과 내과의사인 메이어스의 합작으로 만들어진 캐두시스(CADUCES)는 야심적인 프로젝트였다. 약 7백가지 질병을 진단해 낼 수 있는 캐두시스시스템은 때론 전문의 조차도 놀랄 정도의 정확성으로 병을 진단해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감염여부를 10분내에 알려주는 새로운 AIDS진단시약이 개발됐다. 미국 무렉스(MUREX)사의
폴
마자페로연구팀이 만든 이 진단시약은 지시약 유상(乳狀)항원현탁액 항체효소결합체 등으로 구성돼 있다.여기에 AIDS감염이 의심되는 피 한방울을 떨어뜨리면 10분 후에 HIV-1바이러스 항체의 유무가 판별된다.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힘든 이름을 가진 철갑 익룡로봇이다. 한쪽 날개의 길이가 35피트인 이 괴물의 제작자는
폴
매크래디라는 항공학자이다. 드디어 1986년 5월 17일 에드워드 공군기지에 수백명의 군중이 운집한 가운데 실시된 공개시험에서 QN은 돌풍에 휘말려 추락했다. 사망원인(?)은 목뼈 골절이었다. "데모가 성공할 ... ...
새로운 통신시대의 개막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번거롭긴 하지만 책이 통째로 사라지진 않는다. 이것은 안전한 전화망개발을 주도한
폴
배런이라는 통신 전문가가 개발했다. 1964년 완성하여 미국 국방부에 제출하였으나, 그 시행은 보류되었다. 그러나 그것이 알파네트에서 성공적으로 돌아감에 따라서 새로운 방법으로 자리잡게 되었다.드디어 19 ... ...
윈도우의 시대는 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온 빌게이츠와 늘 어려운 컴퓨터 문제로 그를 골탕먹이곤 하던 빌의 대학 2년 선배인
폴
알렌은 항상 컴퓨터를 갖고 무엇인가 해야 한다는 꿈을 키우고 있었다.그리고 그 꿈은 74년 12월의 어느 추운 겨울날, '퍼플러일렉트로닉스' 1월호의 표지에 실린 8800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채용한 알태어(Altair) 880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사용가능하다. 왼손을 허용하게 되면 경기가 위험해진다는 다소 애매한 이유로 왼손잡이
폴
로스타의 등장을 원천적으로 막고 있는 것이다. 미국의 메디슨 스퀘어가든에서는 한동안 왼손잡이 복서를 링에 올리지 않았다. 이번에는 반대로 화끈한 경기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이러한 ... ...
4. 「타워링」의 비극이 현실화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넓은 경관을 한 눈에 바라보기를 원한다. 아테네도 시가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아크로
폴
리스 언덕이 있고 몽블랑 언덕에서 사람들이 파리시를 훤히 내려다보는 즐거움 때문에 사람들은 활기가 있다.뉴욕에서 사람들은 산 대신 마천루를 오르내리며 도시경관을 즐긴다. 뿐만아니라 50년대의 ... ...
세계 최초의 로봇의사 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로보닥은 IBM사가 회로기판을 제작할 때 이용하려고 만든 일렬작업 로봇이었다. 그것을
폴
이 수술에 적합하도록 개조한 것이다.로보닥과 공동수술을 하기 전에 의사는 컴퓨터를 활용해 모든 계획을 수립한다. 이어서 환자의 대퇴골 단층촬영 결과가 로보닥의 컴퓨터에 입력된다. 그러면 로보닥은 ... ...
왜 밤하늘은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난처하게 만들어 왔던 문제를 온타리오에 있는 워털루대학의 천체물리학자
폴
웨슨은 해결한 것일까?지난 1826년에 독일의 천문학자인 하인리히 올버스는 만약 하늘에 무한한 수의 별들이 존재한다면 어느 방향으로 쳐다보더라도 별 하나쯤은 볼 수 있어야 하지 않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별빛이 너무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