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차례
등급
등위
단계
순위
순차
d라이브러리
"
서열
"(으)로 총 705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의 이라크 전에 대한 각국의 지지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분해됨으로써 발생한다DNA에서 발현돼 만들어진 mRNA를 이용해 거꾸로 만든 DNA 염기
서열
조각 발현된 부분이기 때문에 유전자이거나 그 일부일 가능성이 높다컴퓨터 시스템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프로그램의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핵심 장치 중앙처리장치라고도 부른다원자핵이 α입자 ... ...
에이즈 범인 잡은 계통유전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과학계의 대표적 3D업종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생물 분류는 이처럼 DNA 염기
서열
을 해독하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컴퓨터 상에서 다른 생물들과의 상관관계를 밝혀내는 계통유전학으로 급진전하고 있다. 현대 생명과학의 대표 주자인 게놈 해독과 생물정보학이 한데 모인 셈이다. 그 결과 ... ...
데이터 저장의 새로운 매체, 박테리아 게놈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세상’(It's Small World)라는 팝송의 가사를 DNA의 특정 염기
서열
에 1대1 대응시켰고, 이 염기
서열
로 이뤄진 1백50개 염기 길이의 DNA 메시지를 만들었다. 그런 뒤 이 인공DNA를 다이노코커스(Deinococcus radiodurans) 박테리아의 게놈에 삽입시켰다. 이 박테리아는 고온과 건조, 자외선은 물론 방사 ...
병주고 약주는 두 얼굴의 초콜릿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이 유전자가 혀의 단맛 수용체를 결정한다고 결론지었다. 현재는 이와 비슷한 염기
서열
을 가진 인간 유전자를 찾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달콤한 유전자에 대한 분석이 끝나면 이 유전자의 발현 정도에 따라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에 비해 단맛에 좀더 민감하며 더 좋아하는지를 유전적으로 설명할 수 ... ...
국내 연구팀 단백질 구조예측대회서 아시아 최고 성적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밝히는 과학자들이다. 이들은 단백질 구조가 밝혀질 즈음에 CASP의 웹사이트에 아미노산
서열
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 단백질 구조가 밝혀져 저널에 출판될 즈음을 답안 제출 마감일로 정해놓는다.CASP는 처음 20여개 연구팀으로 출발해 올해는 출전팀이 2백20여개로 늘어났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제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침팬지의 게놈지도 초안을 만들어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침팬지의 염기
서열
은 사람과 98.77%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고유의 특성은 단지 1.23%의 게놈 차이에서 나온다는 의미다.이처럼 원숭이는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이기 때문에 2000년 1월 미국 오리건 영장류연구센터와 ... ...
판타지 전쟁 2라운드 -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오크를 개량해 ‘우르크 하이’라는 강력한 몬스터를 만들어 냈다. 힘에 따라 무리의
서열
이 정해지는 오크는 종종 자신의 종족을 잡아먹기도 한다. 반지 제왕에서 메리와 피핀을 잡아 사루만에게 돌아가는 오크 무리가 서로 잡아먹는 장면이 나온다.재미있는 사실은 사루만의 오크 부대가 대 ... ...
자유롭게 계단 오르는 새로운 휠체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이룬다 AT 염기쌍이 많은 부분을 AT 염기
서열
이라 하고, GC 염기쌍이 많은 부분을 GC 염기
서열
이라 한다어떤 플라스틱 제품에 열을 조금 가한 후 그것을 구부리거나 손가락으로 조금씩 누르면, 그 플라스틱은 깨지거나 파괴되지 않고 조금씩 변형된다 그리고 나중에 힘을 가하지 않아도 구부려진 채로 ... ...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 개발사업단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가능성을 한층 높일 것”이라고 말한다.유 단장에 따르면 프로테오믹스 기술은 DNA 염기
서열
분석처럼 쉽게 모방할 수 있는 기술이 아닌 하이테크 분야고, 질환 관련 단백질은 그 자체가 특허 대상이기 때문에 기술도입이 불가능해 국내에서도 관련 연구개발이 시급하다는 것. 그러나 국내 여건상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반복돼 있는 부분이 있다. 이를 극소위성(microsatellite)이라 부르는데, 극소위성에서 염기
서열
이 반복되는 횟수는 개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극소위성들의 반복횟수를 조사하면 실제 동일한 DNA를 갖고 있는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그림 2). 친자를 확인할 때 사용되는 DNA 프로파일링이 바로 이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